$\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에 대한 고객이 선호하는 염도와 급식업체에서 제공하는 염도 사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alinities of Soups Preferred by Customers and Provided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3, 2009년, pp.444 - 450  

김선주 (경희대학교 외식산업학과) ,  조미희 (경희대학교 외식산업학과) ,  이경희 (경희대학교 외식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referred salinity levels of soups by different demographic groups in order to establish desirable serving conditions for soups with respect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health. The salinity levels were measured in August and November to determine seasonal variations using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및 사업체 급식소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국의 염도를 연령, 성별, 계절에 따라 조사하고, 고객이 선호하는 국의 염도와 실제로 급식업체에서 제공하는 국의 염도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국을 고객의 기호에 맞고 건강 유지에 적정한 상태로 제공하고 있는지 조사하며, 바람직한 국의 최저 염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의 권장량은 어떤 범위에서 결정되는가? 나트륨의 권장량은 고혈압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영양 섭취가 가능한 식사량이 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되며, 또한 나트륨 섭취량이 적으면 신체는 소변이나 땀으로의 나트륨 배설량을 감소시켜 결핍증을 막으므로, 일상적인 식사에서 건강한 사람은 나트륨 결핍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Rolfes et al 2006). 그러나 나트륨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데 매우 중요한 짠 맛을 내는 조미료의 기본 성분으로써 필요량보다 과도하게 사용되기 쉽다(박과 김 2006).
나트륨 섭취량이 적으면 신체는 어떻게 반응하는가? 나트륨의 권장량은 고혈압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영양 섭취가 가능한 식사량이 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되며, 또한 나트륨 섭취량이 적으면 신체는 소변이나 땀으로의 나트륨 배설량을 감소시켜 결핍증을 막으므로, 일상적인 식사에서 건강한 사람은 나트륨 결핍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Rolfes et al 2006). 그러나 나트륨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데 매우 중요한 짠 맛을 내는 조미료의 기본 성분으로써 필요량보다 과도하게 사용되기 쉽다(박과 김 2006).
우리나라의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나트륨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데 매우 중요한 짠 맛을 내는 조미료의 기본 성분으로써 필요량보다 과도하게 사용되기 쉽다(박과 김 2006). 특히,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밥 중심의 식사를 하면서 밥을 먹기 위한 수단으로 소금이 다량 함유된 김치, 장아찌, 장류 등을 섭취하게 되었고, 짠 맛에 대한 선호도가 강해져 소금섭취량이 세계적으로 높은 국가에 속한다(손숙미 2007). 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소금 섭취량은 5~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박태선, 김은경 (2006) 현대인의 생활영양. 교문사, 서울. p 186-187. 

  2. 손숙미 (2007) 우리나라 사람의 소금섭취 문제점과 저염 식생활을 위한 영양사의 역할. 국민영양 30(8): 10-14.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7)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 3기(2005) 심층 분석: 영양부문: 74-76. 

  4. 한복려 (1990) 한국의 밥상.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 25. 

  5. Cho MH, Kim SJ, Lee KH (2008) A study on preference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f soups served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 601-607. 

  6. Cho YY (2002) Practice guidelines for reducing salt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7: 397-405. 

  7. Han JS (1999) The effect of salt for cook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391-401. 

  8. LEE HS, O'Mahony M (2002) At what temperatures do consumers like to drink coffee? mixing methods. J Food Sci 67: 2774-2777. 

  9. Huh K, Kim MH, Hong MK, Song IS (1999) Safety evaluation of salt in food hygie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386-390. 

  10. Kim HA, No SY, Lee KH (2008) A study on the salt contents in foods served by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 739-745. 

  11. Kim KA, Kim SJ, Jung LH, Jeon ER (2002)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school food service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Chonnam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579. 

  12. Lee YN, Rho SY (2003) Effect of Korean soup (Tang) upon customers royalty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5): 482-493. 

  13. Ministry of Heath and Welfar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 24-31. 

  14. Moon SJ, Lee GY (1998) Choigun Youngyanghak(Recent Nutrition). Soohaksa, Korea. p 327. 

  15. Rolfes SR, Pinna K, Whitney E (2006) Normal & clinical nutrition. 7th ed. Thomson Wadsworth, CA. p 407-410. 

  16. Son SM, Huh GY (2002)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J Korean Diet Assoc 7: 383-388. 

  17. Song MR, Lee KJ (2008)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 stew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 84-91. 

  18. Teaching Material Editing Committee of Food and Nutrition. 2005. Fundamental nutrition. Kwangmoonkak, Korea. p 176-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