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초.중기 양반부녀복식의 복요(服妖) 유행을 응용한 구체관절인형 고증의상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for a Boll Jointed Doll's Costume with the Ladies' Vogue of Bok-yo in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9, 2009년, pp.1386 - 1397  

최해율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costumes for ball jointed dolls under the theme of Bok-yo(服妖): The Lady in Early-middle Joseon with relic costumes as a reference. The Bok-yo style was spread universally for Joseon women in the $15^{th}-16^{th}$ centuries, but it is an uncommon theme in the area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체관절 인형 고증의 상 완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사전고증자료를 추가하기 위한 것으로, 조선 초. 중기에 유행한 복요현상을 응용한 시제품 및 구체관절 인형의 신체 특성에 따른 기본 패턴 제작과 개선점 발견에 중점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역사적 문화현상이었음 에도 불구하고 여태 구체관절 인형 의 상 제품으로 제시되지 않은 복요현상'과 관련된 양반가 복식 유물을 응용하여 학술성을 강조한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고증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한 시제품을 제작하고 완제품을 위한 사전 단계 자료 및 개선점을 제시하여, 한국 복식문화에 대한 인형 오너들의 지식을 더욱 넓히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 또한 15-16세기의 특이한 유행을 보여주는 드레스 돌(dress doll)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복요차림 으로 수습된 유물들 중 복요의 핵심인 장 옷, 저고리, 치마를 중심으로 시대 특성이 강한 의복들을 참고 유물 로 삼았다. 아울러 고증제작과정을 확실히 나타내기 위한 기본 패턴과 시제품을 제시하도록 한다.
  • 또한 기존의 제품들은 한정판으로 제작되거나 장신구를 모두 갖춘 풀세트로 출시되어 선택의 폭이 좁고 가격대가 매우 높아지는 단점을 드러내고 있디-. 이 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의 시제품은〈복요: 조선 초중기 귀부인(Bok-yo style: The Lady in Early middle Joseon)>이라는 테마 하에 저고리, 치마, 장 옷의 세 가 지 아이템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오너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
  • 본 연구는 조선 초.중기의 중요한 여인복식 유행 현상으로서 장옷(長衣)을 저고리와 치마(衣裳) 밑에 받쳐 입던 복요(服妖) 유행을 응용하여, 학술적 가치를 중시한 구체관절인 형용 고증의상 디자인을 연구하고 효과적인 인형의 상 완제품을 만들기 위한 상세한 고증자료 및 시제품과 기본 패턴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가발(Doll wig). (2002).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 html xcode093&typeX&mcode003 

  2. 구체관절 예복. (2006). 주방실인형한복(dollhanbok). 자료검색일 2008, 11. 21, 자료출처 http://dollhanbok.com/zeroboard/zboard.php?idgallery01 

  3. 구체관절 테마한복. (2006). 주방실인형한복(dollhanbok). 자료검색일 2008, 11. 21, 자료출처 http://dollhanbok.com/zeroboard/zboard.php?idgallery01 

  4. 국역 조선왕조실록. (2004). KoreaA2Z 동방미디어 한국학데이터베이스연구소. 자료검색일 2009, 1. 21, 자료출처 http://www.koreaa2z.com/sil99/index.html 

  5. 권수현, 강순제. (2008), 구체관절인형의 고구려 복식 재현.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28(1), 109?126 

  6. 권영숙, 이주영. (1995). 조선 초,중기 여자 장의(長衣) 제도-임란전후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가정대학 가정대학연구보고, 21, 121?179 

  7. 김연자. (2005).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 고찰. 문경새재박물관 (편), 금선단치마 입고 어딜 다녀오셨을까 (pp. 77-121). 서울: 민속원 

  8. 김한겸. (2003). 4백 30년전 애달픈 사연담은 파평 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12, 94?100 

  9. 서거정. (1488). 국역 사가집 2. 임정기 옮김 (200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0. 시니어 델프. (2003). 루츠(Luts).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http://doll.luts.co.kr/FrontStore/iGoodsList.phtml?iCategoryId215 

  11. 심연옥. (2006). 세조(世祖)대의 회장저고리. 문화재청 (편),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복식자수 편 (pp. 214-217). 대전: 금강인쇄사 

  12. 안태현. (2005). 문경 연소리 출토 평산 신씨 미라의 가계. 문경새재박물관 (편),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딜 다녀오셨을까 (pp. 63-75). 서울: 민속원 

  13. 의상. (2003). 루츠(Luts).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http://doll.luts.co.kr/FrontStore/iGoodsList.phtml?iCategoryId215 

  14. 의상(Doll clothes). (2002).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html?xcode095&typeX 

  15. 의상(Doll clothes). (2002).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html?xcode095&typeX 

  16. 이은주. (2000a). 長? 鄭氏(1565-1614)墓의 출토복식과 기타 유물.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안동대학교박물관 총서 15,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pp. 25-68).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17. 이은주. (2000b). 장기 정씨 묘 출토유물. 안동대학교박물관(편), 안동대학교박물관 총서 15,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p. 117-162).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18. 이은주. (2006). 김덕령 장군 의복. 문화재청 (편),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복식자수 편 (pp. 282-285). 대전: 금강인쇄사 

  19. 이정섭. (2002). 문중 유물의 성격과 특징-경북 북부지방의 전적과 고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편),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pp. 150-160). 서울: 대성당 인쇄사 

  20. 정미경. (2005).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의 구성법에 관한 연구. 문경새재박물관 (편),금선단 치마 입고 어딜 다녀오셨을까 (pp. 123-181). 서울: 민속원 

  21. 정미경, 서수영. (2005).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화보. 문경새재박물관 (편),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딜 다녀 오셨을까(pp. 13-49). 서울: 민속원 

  22. 주몽과 소서노예요. (2006, 12. 23). NEWSIS. 자료검색일 2009, 3. 1, 자료출처 http://www.newsis.com/ 

  23. 최경희. (2006). 조선 중기 기녀복식에 관한 연구 -진주 '논개'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최해율. (2008). 16세기 조선 기녀의 일반 연회(宴會) 규정 복식 고증 디자인 연구-문화콘텐츠용 이미지 작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8), 1322?1331 

  25. 한광순. (2006). 16세기 후반 청주 한씨 회장저고리와 솜장옷. 단국대학교 석주선박물관 (편), 석주선박사 추모 10주년 우리옷 선뵈기: 조선시대 우리옷의 멋과 유행 (p. 12).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박물관 

  26. 한국국학진흥원 (편). (2002).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서울: 대성당인쇄사 

  27. 호조낭관계회도. (1550). 국립중앙박물관. 자료검색일 2008, 3. 1, 자료출처 http://www.museum.go.kr/kor 

  28. 희경루방회도. (1567). 동국대학교박물관 동국대 770. 자료검색일 2009, 4. 1, 자료출처 http://www.emuseum.go.kr/pages/portal/search/full.jsp?dbNoArr3&docNo00134452 

  29. Dae Jang Geum(大長今). (2006). Jigamaree/Kosaf. 자료검색일 2008, 11. 21, 자료출처 http://www.jigamaree.com 

  30. D.O.T. (2003). 드림오브돌(Dream of doll).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http://www.dreamofdoll.com/ 

  31. DRESS. (2003). 드림오브돌(Dream of doll).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 http://www.dreamofdoll.com/ 

  32. Model Doll. (2007).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html?xcode082&typeX&mcode036 

  33. SD한복-정한. (2007).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detail.html?brandcode095012000042&search&sortord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