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도시 취약 가족의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Families in a Cit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0 no.3, 2009년, pp.371 - 380  

최경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at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and nursing needs of vulnerable families in a City. Methods: A total of 427 vulnerable families enrolled in the Visiting Health Care Center in K-gu of S city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or 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취약 가족이 갖고 있는 강점과 가족의 자가관리능력에 대해 분석한다.
  • 가족에 대한 지지에 대해서는 크게 가족에 대한 외부의 지지원과 가족 내 정서적 지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241가족 (5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문제를 많이 갖고 있으나 사회적 지지 및 자원은 부족한 노인 가족과 경제적 상태로 인해 취약성을 가진 의료수급자 및 차상위 30%에 해당되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단위로서의 가족적 특성에 대한조사를통해 취약 가족이 가진 간호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취약 가족을 위한 가족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강문제를 많이 갖고 있으나 사회적 지지 및 자원은 부족한 노인 가족과 경제적 상태로 인해 취약성을 가진 저소득층 및 의료수급자 가족의 가족적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취약 가족이 가진 간호문제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 가족이 갖고 있는 가족적 특성을 조사하여 간호문제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의 가족이 가족 결속력과 관련된 문제가 없다고 했으며 역할장애에 대해서는 316%, 지지 영역에서는 4Q7%의 가족이 문제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취약계층의 가족은 과반수 이상이 ' 건강에 대한 관심'을 제외하고는 설문에서 제시한 가족 강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가족의 자가관리점수는 '생활수준' 항목이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D. H., & Hong, K. E. (1987). A survey of child abuse in Korea. Mental Health Research, 6, 53-65. 

  2. Ahn, H. Y., Kim, S. J., & Ko, J. A. (2002). Child abuse in high risk grou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 775-783. 

  3. Chafetz, L., & Barnes, I. (1989). Issues in psychiatric caregiving.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3(2), 61-68. 

  4. Chang, S. O. (1998). A subject for family health assessment t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Choi, K. W. (2003). A comparative subject on the family strengths between families with a healthy child and families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Demi, A. S., & Warren, N. A. (1995). Issues in conducting research with vulnerable famili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7(2), 188-202. 

  7. Dunst, C. J., Trivette, C. M., & Deal, A. G. (1994).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families: Vol 1. methods, strategies and practices. Cambridge, MA: Brookline. 

  8. Dunst, C. J., Trivette, C. M., & Thompson, R. (1990).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ing: toward a congruence between principles and practice. Prevention in Human Services, 9(1), 19-43. 

  9. Fisher, L., & Feldman, S. S. (1998). Familial antecedents of young adult health risk behavior: A longitudinal subjec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2(1), 66-80. 

  10. Griesbach, D., Amos, A., & Currie, C. (2003). Adolescent smoking and family structure in Europe. Social Science & Medicine, 56, 41-52. 

  11. Hall, D. (1996). Health for all childre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2. Kim, H. G. (1997). An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perceived family characteristics, experienced abuse and mental health in childhood.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8(2), 289-303. 

  13. Kim, K. H. (1998). A subject on the adolescent's experiences in domestic viol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8(1), 70-80. 

  14. Kim, S. Y. (1989). A subject on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stability among low-income w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Kim, Y. H. (1998). Development of family health 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16. Kim, Y. J. (1992). A subject on family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problems of urban low income families requiring visiting health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Ok, S. W. (1992). Marital problem in low-income families. In Korean Family Studies Society (Eds.), Family Problems in Low-income families in a city (pp. 15-25). Seoul: Hau. 

  18. Olson, D., & DeFrain, J. (2000).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Mountain View, CA: Mayfield Publishing Company. 

  19. Pender, N. J. (199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Seoul. Hyunmoonsa. 

  20. Powell, D. S., Batsche, C. J., Ferro, J., Fox, L., & Dunlap, G. (1997). A strength-based approach in support of multi-risk families: Principles and issu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7(1), 1-26. 

  21. Sheperd, M. P., & Mahon, M. M. (2002). Vulnerable families: research findings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Journal of Family Nursing, 8(4), 309-314. 

  22. Van Eys, J. (1981). The truly cured child. In. J. Spinetta & P. Deasy-Spinetta (Eds.), Living with childhood cancer. St. Louis: Mosby Co. 

  23. Weissman, A. M., Jogerst, G. J., & Dawson, J. D. (2003). Communit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hild abuse in Iowa. Child Abuse & Neglect, 27, 1145-11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