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의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Dynamic Balance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0 no.9, 2009년, pp.2509 - 2515  

신원섭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창영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동엽 (선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석민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여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 뇌졸중 환자 38명으로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체간 안정화운동(n=20)과 기존의 일반적 균형운동(n=18)을 주 3회씩 7주간 시행하였다. 운동의 시작 전과 후에 동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았고 전과 후의 변화량을 가지고 운동방법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체간 안정화운동으로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능력(BBS, TUG)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두 그룹간의 치료 전 후차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BBS 측정에서 체간 안정화운동이 일반적 균형운동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재활 훈련 방법으로 체간의 안정화운동이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임상적 적용에서도 누운 자세에서 시행하는 체간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급성기 이후의 조기 적용에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with general balance exercise on dynamic balance for patients with chronic patients. Thirty eight subjec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trained trunk stability exercise and the other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체간 안정화 운동을 적용하여 전반적인 일상 생활 동작을 구성하는 앉기, 서기, 자세변화에 따른 균형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시행해온 기존의 균형운동과 효과를 비교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체간 안정화 운동을 적용하여 전반적인 일상 생활 동작을 구성하는 앉기, 서기, 자세변화에 따른 균형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시행해온 기존의 균형운동과 효과를 비교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균형능력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보행과 같은 목적 있는 활동을 수행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요소이다[29]. 본 연구에서는 두 운동의 동적 균형능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BBS와 TUG를 프로그램 시작과 종료 후에 평가하였다. 체간 안정화 운동군의 결과 BBS는 프로그램 전 38.
  • 따라서 뇌졸중 발병 후 편마비 환자의 균형 향상과 자세 조절을 위한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27].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주 3회씩 7주간 체간 안정화 운동과 일반적 균형운동을 적용하여 동적 균형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간 안정화 운동과 일반적 균형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력,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최종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38명으로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비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은?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의 대부분은 시상면에서 신체의한 쪽이 마비되는 편마비를 특징적으로 가진다. 편마비로인해 신체 좌우의 비대칭이 나타나고 전체 체중의 61~80%가 건측 하지에 편중되어 분포한다[1,2]. 그로 인해척주를 바로 유지할 수 없고 신체의 정중선에 대한 개념이 손상되어 몸통의 회전, 골반의 조절, 팔다리의 독립적운동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3]. 또한 골반부의 비대칭 정렬과 움직임으로 인해 하지의 운동과 체간의 안정성과균형조절에 제한을 갖게 된다[4,5]. 일반적으로 균형능력은 보행능력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일상 생활의 기능적 활동을 제한하는 원인이 된다[6,7].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대부분이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의 대부분은 시상면에서 신체의한 쪽이 마비되는 편마비를 특징적으로 가진다. 편마비로인해 신체 좌우의 비대칭이 나타나고 전체 체중의 61~80%가 건측 하지에 편중되어 분포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 M. Sackley, "Falls, sway, and symmetry of weight-bearing after stroke", Int Disabil Stud, Vol. 13, pp. 1-4, 1991. 

  2. B. Bobath,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3rd ed. London: Heinemman Medical Books, 1990. 

  3. J. H. Carr, R. B. Shepherd, L. Nordholm, and D. Lynne,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Vol. 65, pp. 175-180, 1985. 

  4. 김미선,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 관절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P. Davies, "Steps to follows: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New York: Springer Verlag, 1991. 

  6. 신원섭, 이석민, 이승원, 이동엽, 송창호, "과제지향적 기능운동이 만성 뇌졸중 편마비 장애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 16, pp. 149-165, 2008. 

  7. K. J. Dodd and M. E. Morris, "Lateral pelvic displacement during gait: abnormalities after stroke and changes during the first month of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Vol. 84, pp. 1200-1205, 2003. 

  8. C. L. Hsieh, C. F. Sheu, I. P. Hsueh, and C. H. Wang, "Trunk control as an early predictor of comprehensi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troke, Vol. 33, pp. 2626-2630, 2002. 

  9. P. W. Hodges and C. A. Richardson,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 motor control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Vol. 21, pp. 2640-2650, 1996. 

  10. D. G. Behm, K. Anderson, and R. S. Curnew, "Muscle force and activation under stable and unstable conditions", J Strength Cond Res, Vol. 16, pp. 416-422, 2002. 

  11. L. Moseley, "Combined physiotherapy and education is efficacious for chronic low back pain", Aust J Physiother, Vol. 48, pp. 297-302, 2002. 

  12. L. Niemisto, T. Lahtinen-Suopanki, P. Rissanen, K. A. Lindgren, S. Sarna, and H. Hurri, "A randomized trial of combined manipulation, stabilizing exercises, and physician consultation compared to physician consultation alone for chronic low back pain", Spine, Vol. 28, pp. 2185-2191, 2003. 

  13. E. Rasmussen-Barr, L. Nilsson-Wikmar, and I. Arvidsson, "Stabilizing training compared with manual treatment in sub-acute and chronic low-back pain", Man Ther, Vol. 8, pp. 233-241, 2003. 

  14. P. B. O'Sullivan, G. D. Phyty, L. T. Twomey, and G. T. Allison,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ly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Vol. 22, pp. 2959-2967, 1997. 

  15. B. Kladny, F. C. Fischer, and I. Haase,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low back pain and lumbar disk disease in outpatient rehabilitation", Z Orthop Ihre Grenzgeb, Vol. 141, pp. 401-405, 2003. 

  16. A. Keller, J. I. Brox, R. Gunderson, I. Holm, A. Friis, and O. Reikeras, "Trunk muscle strength, cross-sectional area, and dens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randomized to lumbar fusion or cognitive intervention and exercises", Spine, Vol. 29, pp. 3-8, 2004. 

  17. F. P. Carpes, F. B. Reinehr, and C. B. Mota, "Effects of a program for trunk strength and stability on pain, low back and pelvis kinematics, and body balance: a pilot study", J Bodyw Mov Ther, Vol. 12, pp. 22-30, 2008. 

  18. 이재학, "수중치료를 통한 체간 근력 강화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기 자세와 하지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김광수, "균형감각운동과 코어프로그램 복합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동적균형감각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0. C. Liebenson,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the transverse abdominus", J Bodyw Mov Ther, Vol. 2, pp. 218-223, 1998. 

  21. R. W. Bohannon and P. A. Larkin,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under various standing conditions in independently ambulatory patients with hemiparesis", Phys Ther, Vol. 65, pp. 1323-1325, 1985. 

  22. M. Lynch and V. Grisgono, Strokes and head injuries. London: John Murray, 1991. 

  23. B. Peath-Rohlfs, Erfahrungen mit dem Bobath-Konzept. Stuttfart: Thieme, 1999. 

  24. K. Berg, S. Wood-Dauphinee, and J. I. Williams,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Vol. 27, pp. 27-36, 1995. 

  25. D. Podsiadlo and S. Richardson,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Vol. 39, pp. 142-148, 1991. 

  26. F. E. Huxham, P. A. Goldie, and A. E. Patla,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balance assessment", Aust J Physiother, Vol. 47, pp. 89-100, 2001. 

  27. C. Walker, B. J. Brouwer, and E. G. Culham,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Vol. 80, pp. 886-895, 2000. 

  28. D. S. Nichols, T. M. Glenn, and K. J. Hutchinson, "Changes in the mean center of balance during balance testing in young adults", Phys Ther, Vol. 75, pp. 699-706, 1995. 

  29. M. Piirtola and P. Era, "Force platform measurements as predictors of falls among older people-a review", Gerontology, Vol. 52, pp. 1-16, 2006. 

  30. 오정림, "체간근력 강화운동이 뇌성마비아의 앉은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1. R. Dickstein, Y. Heffes, Y. Laufer, and Z. Ben-Haim, "Activation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symmetric functional activities in poststroke hemiparetic and hemiplegic patient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 66, pp. 218-221, 1999. 

  32. P. W. Brill and G. S. Couzen, "The core program", New York: Bantam Book, 2002. 

  33. M. Karatas, N. Cetin, M. Bayramoglu, and A. Dilek,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Vol. 83, pp. 81-87, 2004. 

  34. M. A. Clark and P. D. Cummings, "Treinamento de estabilizacao do core", Sau Paulo: Manole,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