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해수와 구연산을 이용한 양상치의 품질 향상 및 미생물 저감화 효과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itric acid On Quality Enhancement and Microbial Inhibition in Head Lettuc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5 = no.207, 2009년, pp.578 - 586  

김영국 (화중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태웅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딩티안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오덕환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해수, 구연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단독 또는 병용 처리에 의한 양상치에 오염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는 물론, 인위적으로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살균효능은 침지 시간(3, 5, and 10분)과 침지 온도(1, RT, 40, and $50^{\circ}C$)의 변화에 따른 각 처리구의 살균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칼리전해수와 구연산의 병용처리에 의한 양상치의 저장 중 갈변저해효과를 탐색 하였다. 침지 시간에 따른 각 처리구의 미생물 살균력은 전해수 (산성전해수와 알칼리 전해수)가 동일 조건에서 1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보다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3분보다는 5분이상 침지 시 현저하게 살균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 온도에 의한 각 처리구의 살균력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40^{\circ}C$ 이상에서는 온도증가에 의한 살균력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알칼리 전해수나 구연산 단독 처리구에 비하여 병용 처리시 양상치에 오염된 총균수와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은 모든 침지 온도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40^{\circ}C$ 이상에서는 완전하게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L. monocytogenes와 E.coli O157:H7는 같은 조건에서 처리구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한편, 양상치를 상온이나 $40^{\circ}C$에서 알칼리 전해수와 구연산 병용 처리구로 침지하여 $4^{\circ}C$에서 15일간 저장하였을 때 단독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갈변저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병용처리구는 양상치의 품질향상은 물론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데 좋은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lkaline electrolyzed water (AIEW), acidic electrolyzed water (AcEW), 1% citric acid, and 100 ppm sodium hypochlorite,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itric acid, in reducing the populations of spoilage bacteria and foodborne pathogens (Li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는 전해수, 구연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단독 또는 병용 처리에 의한 양상치에 오염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는 물론, 인위적으로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살균효능은 침지=시간(3, 5, and 10분)과 침지 온도(1, RT, 40, and 50oC)의 변화에 따른 각 처리구의 살균력을 조사하였다.
  • coli O157:H7균을 각각 측정하였다. 각 시료 10 g을 살균한 0.1% peptone수 90 mL를 함유하는 stomacher bag에 넣고 stomacher(Lab blender, Interscience, Paris, France)를 사용하여 2분 동안 균질화한 후 peptone수에 10진법 단계 희석한 다음 총균수는 PCA(plate countagar, DIFCO)배지, 효모ㆍ곰팡이는 PDA(potato dextrose agar, DIFCO) 배지를 사용하여 각 plate에 1 mL 또는 0.1 mL를 분주한 후 pour plate count(PPC)와 standard plate count(SPC)를 사용하였다. PCA plate는 35o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콜로니를 계수하여 측정하였으며, PDA plate는 25oC에서 48시간 배양 후 콜로니를 계수하여 log CFU/g로 나타내었다.
  • 그러나 전해수 단독으로 세척 시 생식원료 자체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재 채소류의 세척 시 mild heat 또는 organic acid 등을 병용하여 세척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20,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채소류 중 한국인이 많이 식용하고 있는 양상치를 대상으로 침지 시간 및 침지 온도에 따른 전해수,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구연산을 단독 또는 병용처리 하였을 때 일반 미생물 저감 효과와 양상치에 접종한 L. monocytogenes와 E. coli O157:H7에 대한 저감 효과를 탐색하였으며 품질확보를 위하여 저장 중 최적 살균 전처리를 이용하여 처리한 양상치의 색도변화와 polyphenol oxidase 활성변화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전해수, 구연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단독 또는 병용 처리에 의한 양상치에 오염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는 물론, 인위적으로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살균효능은 침지=시간(3, 5, and 10분)과 침지 온도(1, RT, 40, and 50oC)의 변화에 따른 각 처리구의 살균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칼리전해수와 구연산의 병용처리에 의한 양상치의 저장 중 갈변저해효과를 탐색 하였다. 침지 시간에 따른 각 처리구의 미생물 살균력은 전해수(산성전해수와 알칼리 전해수)가 동일 조건에서 1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보다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3분보다는 5분이상 침지 시 현저하게 살균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항균제의 물리적 살균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침지 시간은 3, 5, 10분간 침지하였으며 온도는 냉각온도인 1°C, 실온(RT, 23oC), 40, 50, 60oC에서 각각 침지하였다.
  • 시료를 동량의 0.1 M phosphate buffer(pH 7.0)를 가하여 마쇄 하고 ice bath 상에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이용하여 PPO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효소 추출액 0.
  • 시료를 저장하는 동안 각 처리구별, 온도별에 따른 색도차이를Chroma-meter(DP-301, Minolta, Osaka, Japan)로 Hunter’s value인 L, a, b 값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WI(Whiteness Index)와 CV(Chroma Value)를 산출하였다.
  • 본 항균제의 물리적 살균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침지 시간은 3, 5, 10분간 침지하였으며 온도는 냉각온도인 1°C, 실온(RT, 23oC), 40, 50, 60oC에서 각각 침지하였다. 위 조건에서 처리한 각 시료는 침지 후 신속하게 살균거즈를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즉시 또는 일정기간 저장하면서 일정량의 시료를 꺼내어 미생물 분석과 품질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 절단 가공처리한 양상치 시료 또는 식중독균을 접종한 시료를 각 10 g씩 무처리 용액 또는 각 항균 침지 용액에 침지하였으며 양상치의 미생물 저감화 및 품질변화를 위해 사용한 항균제는 전해수(산성전해수, 알칼리성 전해수), 1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 1% citric acid, 1% 갈변저해제(1% MgCl2)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각각 사용하였다. 본 항균제의 물리적 살균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침지 시간은 3, 5, 10분간 침지하였으며 온도는 냉각온도인 1°C, 실온(RT, 23oC), 40, 50, 60oC에서 각각 침지하였다.
  • 접종하지 않은 양상치의 미생물 균총 분석은 총균수와 효모 및 곰팡이를, 접종한 시료는 L. monocytogenes와 E. coli O157:H7균을 각각 측정하였다. 각 시료 10 g을 살균한 0.
  • 0)를 가하여 마쇄 하고 ice bath 상에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이용하여 PPO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효소 추출액 0.2 mL를 2.8 mL의 10 mM의 catechol 용액(0.1 M phosphate buffer에 용해)과 혼합하여 35oC에서 총 180초간 420 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효소 활성 1 unit은 0.001 absorbance/min/mg으로 나타내었다.
  • PCA plate는 35o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콜로니를 계수하여 측정하였으며, PDA plate는 25oC에서 48시간 배양 후 콜로니를 계수하여 log CFU/g로 나타내었다. 한편, L. monocytogenes와 E. coli O157:H7은 각각 선택배지인 Oxford agar(DIFCO)와 Sorbitol MacConkey agar(DIFCO)를 사용하여 35oC 항온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계수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L. monocytogenes ATCC 19116은 국립보건원, E. coli O157:H7 933균은 미국 조지아대학 식품공학과에서 각각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각 균주들은 tryptic soy broth(TSB, 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USA)를 사용하여 35oC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각 2,000×g로 15분 동안 원심분리(Supra 21K, Hanil, Inchun, Korea)하여 상층액은 버리고 멸균된 증류수로 cell pellet을 2회 세척한 후 0.
  • 시료는 춘천 지역 슈퍼마켓 및 대형 할인 매장(냉장체인)에서 판매중인 양상치를 구입하였으며 구입 후 즉시 실험실로 신속하게 이송하여 4oC 냉장고에 저장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양상치는 식용할 수 없는 부분을 제거하고 상처가 없는 부분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전해수는 (주)한국이앤에스퍼스트의 강 전해수 생성장치(A2-1000, Seoul, Korea)모델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수돗물에 NaCl를 소량 가하고 전해수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산성 전해수는 1,000 mV-1,100 mV의 산화환원전위와 pH 2.4-2.6인 것을 사용하였고, 알칼리성 전해수는 −830 mV-−850 mV의 산화환원전위와 pH 11.0-11.2인 것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연구는 3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값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package program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각 처리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ukey법(22)을 이용하여 각 처리구간의 유의차를 p<0.05 유의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편이는 무엇인가? 이러한 시대적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가공제품으로 신선편이 채소류(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가 등장하게 되었다(7,8). 신선편이란 신선한 상태의 제품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고유 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으로 제품에 따라 그 공정이 다르다(9,10). 농산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척, 절단, 혼합, 포장 단계가 이에 해당한다.
국내에서 최소가공 채소류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미국이나 유럽등지에서는 신선도와 편의성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최소가공 채류의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3-5). 한국에서도 맞벌이 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대신 여가 시간을 활용하려는 well-being 산업에 힘입어 빠르고, 편리함과 동시에 건강식품과 부합되는 최소가공 채소류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6). 이러한 시대적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가공제품으로 신선편이 채소류(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가 등장하게 되었다(7,8).
농산물에서는 무엇이 신선편이인가? 신선편이란 신선한 상태의 제품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고유 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으로 제품에 따라 그 공정이 다르다(9,10). 농산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척, 절단, 혼합, 포장 단계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을 거치는 최소가공 채소류의 경우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입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절단 등 최소가공으로 인해 세포의 호흡속도가 빨라져 절단면의 산화적 갈변과 미생물 오염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ennedy E, Meyers L, Layden W. The 1995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 An Overview. J. Am. Diet. Assoc. 96: 234-237 (1996) 

  2. Kim YJ, Cho JI, Kim KS. Evaluation of washing treatment using chlorine and heat hurdles on natural microflora in fresh lettuces collected from domestic markets. Food Eng. Progress 6: 329-335 (2002) 

  3. Peter R, Wim V, Frank D, Johan D. Consumer perception and choic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nd packaged fruits. Food Qual. Prefer. 15: 259-270 (2004) 

  4. Gardial SF, Clemons DS, Woodruff RB, Schumann DW, Burns MJ. Comparing consumer's recall of prepurchase and postpurchase product evaluation experiences and postpurchase product evaluation experiences. J. Consum. Res. 20: 548-560 (1994) 

  5. Marshall JJ, Duxbury L, Heslop LA. Coping with household stress in the 1990s: Who uses convenience foods and do they help? Adv. Consum. Res. 22: 729-734 (1995) 

  6. Ahvenainen R. New approaches in improving the shelf life of minimally 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Trends Food Sci. Tech. 7: 179-186 (1996) 

  7. Jongen, W. Introduction. pp. 1-4. In: Fruit and Vegetable Processing. W. Jongen (ed). Wood-head Publishing Lid. and CRC Press LLC, Inc. Boca Raton, FL, USA (2002) 

  8. Ana A, Francisco AT, Mara IG. Minimal processing for healthy traditional foods. Trends Food Sci. Tech. 17: 513-519 (2006) 

  9. Salunkhe DK, Bolin HR, Reddy NR. Minimal Processing Storage, Processing, and Nutritional Quality of Fruit and Vegetables. Vol. 2, pp. 128-153. 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Salunkhe DK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991) 

  10. Shewfelt RL. Quality of fruit and vegetables. Food Technol.-Chicago 44: 99-106 (1990) 

  11. Wiley RC. Minimally Processed Refrigerated Fruits and Vegetables, Chapman & Hall, Inc., New York, NY, USA. pp. 1-14 (1994) 

  12. Daniel L, Yanyun Z. Innovations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ible coatings for fresh and minimal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Compr. Rev. Food Sci. F. 6: 60-75 (2007) 

  13. Boyette MD, Ritchie DF, Carbollo SJ, Blankenship SM, Sanders DC. Chorination and postharvest disease control. Hort. Technol. 3: 395-400 (1993) 

  14. Carlin F, Nguyen-the C, Silva AAD.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minimally processed fresh endive. J. Appl. Bacteriol. 78: 636-646 (1995) 

  15. Beuchat LR, Nail BV, Adler BB, Clavero MRS. Efficacy of spray application of chlorinated water in killing pathogenic bacteria on raw apples, tomatoes, and lettuce. J. Food Protect. 61: 1305-1311 (1998) 

  16. Torriani S. Massa S. Bacteriological survey on ready-to-use sliced carrots. Lebensm.-Wiss. Technol. 27, 487-490 (1994) 

  17. Maribel A, Josep U, Mrcia O, Isabel A, Inmaculada V. Efficacy of neutral electrolyzed water (NEW) for redi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n minimally-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23: 151-158 (2008) 

  18. Shigenobu K, Seiichiro I. Microbial control of fresh produce using electrolyzed water. Jpn. Agr. Res. 41: 273-282 (2007) 

  19. Kim C, Hung YC, Brackett RE.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EO)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on different types of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61: 199-207 (2002) 

  20. Youm HJ, Ko JK, Kim MR, Cho YS, Chun HK, Song KB.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treatment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control of minimally processed and refrigerated (MPR) salad. Korea J. Food Sci. Technol. 37: 129-133 (2005) 

  21. Shigenobu K, Kyoichiro Y, Yoshinori K, Seiichiro I, Kazuhiko I. Effect of mild heat pre-treatment with alkaline electrolyzed water on the effica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on lettuce. Food Microbiol. 21:559-566 (2004) 

  22. Jung CY, Choi LG. SPSSWIN for Statistics Analysis, Version 10.0, 4th ed. Muy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76-283 (2002) 

  23. Nascimento MS, Silva N, Catanozi MPLM, Silva KC. Effects of different disinfection treatments on the natural microbiota of lettuce. J. Food Protect. 66: 1697-1700 (2003) 

  24. Vandekinderen I, Van Camp J, Devlieghere F, Ragaert P, Veramme K, Bernaert N, Denon Q, de Meulenaer B. Evaluation of the use of decontamination agents during fresh-cut leek processingand quantification of their effect on its total quality by means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nov. Food Sci. Emerg. Tech. 10: 363-373 (2009) 

  25. Beuchat LR, Brackett RE. Survival an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as influenced by shredding, chlorine treatment,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temperature. J. Food Sci. 55: 755-759 (1992) 

  26. Lee SH, Jang MS.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and chlorinated water on sensory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ttuce.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 45-53 (2004) 

  27. Shigenobu K, Kazuhiro F, Kazuhiko I. Decontamination effect of frozen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lettuce. J. Food Protect. 65: 411-414 (2002) 

  28. Hurst JK, Barrette WC, Michel Jr BR, Rosen H. Hypochlorous acid and myeloperoxidase-catalyzed oxidation of ironsulfur clusters in bacterial respiratory dehydrogenase. Eur. J. Biochem. 202: 1275-1282 (1991) 

  29. Delaquis PJ, Stewart S, Toivonen PMA, Moyls AL. Effect of warm, chlorinated water on the microbial flora of shredded iceberg lettuce. Food Res. Int. 32: 7-14 (1999) 

  30. Li Y, Brackett RE, Shewfelt RL, Beuchat LR. Changes in appearance and natural microflora on iceberg lettuce treated in warm, chlorinated water and then stored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Food Microbiol. 18: 299-308 (2001) 

  31. Park BK, Oh MH, Oh DH. Effect of electrolyzed and organic acid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1: 530-537 (2004) 

  32. Koukichi 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and its application. Fragr. J. 3: 18-22 (1999) 

  33. Singh N, Singh RK, Bhunia AK, Stroshine RL. Efficacy of chlorine dioxide, ozone, and thyme essential oil or sequential washing in killing Escherichia coli O157:H7 on lettuce and baby carrots. Lebensm.-Wiss. Technol. 35: 720-729 (2002) 

  34. Lee SH, Jo HS, Kim SH. Effect of organic acids on growth and heat resista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J. Korean Soc. Food Nutr. 23: 293-297 (1994) 

  35. Cha HS, Kim SI, Kim BS, Kim SH, Park SJ, Cho HS, Choi HY. Effect of inhibition on browning and microbial growth of minimally processed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1: 331-335 (2004) 

  36. Park WP, Cho SH, Lee DS. Screening of antibrowning agents for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78-282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