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사도구 사용능력에 따른 뇌성마비아동의 식생활
Eating Patter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y Table Utensil-Handling Skill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5 no.2, 2009년, pp.139 - 151  

김잔듸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patter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ving motor disturbances as well as stiffness. The food habits, nutritional status, and snack intakes of 1 to 7 year-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thre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사도구 사용능력을 수준별로 분류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식생활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7세의 뇌성마비 아동 99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간식에 대한 태도, 아동의 간식섭취 빈도 및 기호도, 아동의 섭식장애 정도 및 신체 활동 장애 정도 조사, 아동의 영양소 섭취 상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식사도구 사용능력을 수준별로 분류하여 아동들의 식사도구 사용능력에 따라 뇌성마비 아동들의 식생활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 아동이 운동기능의 제한으로 가지게되는 부정적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성마비 아동은 건강하고 적절한 환경하에서도 특정한 만성질환이 없는 정상 아동에 비하여 훨씬 더 천천히 성장한다(Samson-Fang & Stevenson 1998). 또한 뇌성마비 아동은 운동기능의 제한으로 인하여 체지방 감소, 뼈의 성장부진과 면역기능의 약화와 같은 성장의 부정적 요소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정상아동에 비하여 자발적인 사회적 참여가 감소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교육적, 환경적 자극을 덜 받게 되는 등 아동기 성장에 불리한 많은 요인들을 갖고 있다(Samson-Fang 등 2002).
뇌성마비는 무엇으로 인해 생기는 장애인가? 뇌성마비는 임신에서부터 신생아기 사이에 생긴 대뇌의 비진행성 병변으로 인해 운동기능 및 자세에 영속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장애이며, 운동장애뿐만 아니라 언어장애, 지능장애, 경련, 감각이상, 지각장애, 행동이상 등의 다양한 장애를 동반한다(Kirk & Gallagher 1989). 따라서 뇌성마비는 단일 질병을 의미하기보다는 비슷한 임상적 특징을 가진 증후군들을 집합적으로 일컫는 용어로 성장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뇌에 생긴 병변이나 손상으로 인한 비진행성의 운동장애 증후군을 말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볼 수 있다(구 2007).
뇌성마비아동의 전반적 식생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모색되어야 하는가? 또한 우리나라 식생활 실정에 맞는 적절한 식이 처방과 이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영양소 권장량을 고려한 뇌성마비아동을 위한 식사지침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므로 복합적 문제를 갖고 있는 뇌성마비 아동의 전반적 식생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운동 기능 발달단계에 맞는 정확한 평가 및 이에 맞는 다각적 측면에서의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구본권 (2007): 지체장애아동교육 치료교육접근(2판). 시그마프레스. 서울 

  2. 박창일 (2004): 국내외 뇌성마비 발생률 및 치료. 소아발달장애 심포지엄 

  3. 대한영양사협회, 삼성서울병원 (1999): 사진으로 보는 음식의 눈 대중량. 서울 

  4. 전헌선, 오세철, 박재국, 한경임, 노선옥, 박순길 (2006): 중복 . 지체부자유아 치료교육. 대구대 출판부 

  5. 정재권, 오명화 (2007): 뇌성마비아 작업치료의 이해와 실제. 시그마프레스. 서울 

  6. 홍창의 (1999):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 서울 

  7. Ahn SY (2003): Comparison of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i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Kangnung University. pp.30-31 

  8. Bobath K (1980): A neur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2nd ed.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td. London 

  9. Carruth BR, Ziegler PJ, Gordon A, Hendricks K (2004): Developmental milestones and self-feeding behaviors in infants and toddlers. J Am Diet Assoc 104(1 suppl 1):51S-56S 

  10. Fung EB, Lisa Samson-Fang, Stallings VA, Conaway M, Liptak G, Henderson RC, Worley G, O'donnell M, Calvert R, Rosenbaum P, Chumlea W, Stevenson RD (2002): Feeding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poor growth and health statu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Am Diet Assoc 102(3):361-373 

  11. Gisel EG, Patrick J (1988): Identific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able to maintain a normal nutritional state. Lancet 6:283-286 

  12. Han TR, Bang MS, Chung SG, Shin HI, Jeon JY (2001): The pattern of malnutrition in cerebral palsy and relating factors. J Korean Acad Rehab Med 25(1):18-25 

  13. Kim JD (2008): The influence of table utensils handling skill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physical growth and dietary habits.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35-36 

  14. Kim YJ, Han YS, Jung SJ, Lee YN, Lee SI, Choi HM (2006): Characteristics of infants' temperaments and eating behaviors, mothers' eating behaviors and feeding practices in poor eating infants. Korean J Comm Nutr 11(4):449-458 

  15. Kirk SA, Gallagher JJ (1989):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6th ed.). Hougt on Miffin Company 

  16. Ko KA (2004):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disabled and non-Disabled preschoolers.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pp.33-35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18. Lee JM, Park HJ, Park SM (2003): A survey on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or development snack. Korean J Food Culture 18(2):151-159 

  19. Noh JR (2007): Assessment of functional level and nutritional status of person with cerebral palsy in rehabilitation facilities.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Med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pp.6-11 

  20. Northstone K, Rogers I, Emmett P (2002): Drinks consumed by 18-month-old children: are current recommendations being followed- Eur J Clin Nutr 56(3):236-244 

  21. Paliasno R, Rosenbaum P, Walter S, Russell D, Wook E, Galuppi B (1997):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 Child Neurol 39(4):214-223 

  22. Park ES, Park CI, Cho SR, Na SI, Kwark EH, Noh KN (2003): Assessment of colonic motility and nutrients intake in adult with cerebral palsy. J Korean Acad Rehab Med 27(2):192-197 

  23. Patrick J, Gisel EG (1990): Nutrition for the feeding impaired child. J Neuro Rehabilitation 4:115-119 

  24. Peter B. Sullivan, Lewis Rosenbloom (2004): Feeding the disabled child. Eul Yoo Mun Wha Sa 

  25. Rim KH (1992):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snacking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omes. Master degree thesis. Sookmyung University 

  26. Samson-Fang L, Stevenson RD (1998): Linear growth veloc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40(10):689-692 

  27. Samson-Fang L, Fung E, Stallings VA, et al (2002): Relationship of nutritional status to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Pediatr 141(5):637-643 

  28. Song NY (1998):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ating habit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29. Stallings VA, Charney EB, Davies JC, Cronk CE (1993): Nutrition related growth failure of children with quadriplegic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35(2):126-138 

  30. Stanley F, Blair E, Alberman E (2000): Cerebral palsies. Mac Keith Press. London 

  31. Sullivan PB (1997): Gastrointestinal problems in the neurologically impaired child. Bailliere's Clinical Gastroenterology 11(3):529-546 

  3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33. Yeargin-Allsop M, Braun KVN, Doernberg NS, Benedict RE, Kirby RS, Durkin MS (2008): Prevalence of cerebral palsy in 8-year-old children in three areas of the United States in 2002: a Multisite Collaboration. Pediatrics 121(3):547-5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