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두릅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1, 2010년, pp.1634 - 1639  

신언환 (울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42%, 조단백질 45.23%, 조지방 3.29% 및 조회분 10.07%이었고 개두릅 100 g의 함유 열량은 401.52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 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30.37%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9.16%, 21.21%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0.51 g, 17.69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1.56 g, 단일불포화지방산 0.11 g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1.84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두릅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 는 $RC_{50}$값이 247.3, 120.7, 107.3, 105.7, 110.1, $491.9\;{\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Kalopanax pictus leaf as natural health food source. The contents of proximate and antioxidative nutrients of Kalopanax pictus leaf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were 41.42%, 45.2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두릅에 대하여 기능성 검토와 이용개발을 위하여 일반성분 분석, 아미노산, 지방산 분석을 통하여 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고 생리활성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을 규명함으로써 개두릅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나무의 새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음나무는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그 수피를 해동피라 하여 신경통, 관절염, 강장약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한국에서 음나무의 새순은 개두릅이라 하여 산나물로 식용되어 왔다. 음나무의 성분으로서 사포닌인 kalopanax saponin들과 페놀성 화합물로서 liriodendrin, syringin, chlorogenic acid 등도 알려져 있으며(13,14), 해동피의 생리활성으로서 진통소염 효과(15), 항돌연변이 효과(16), 항종양 효과(17) 등이 보고되었다.
음나무 수피를 해동피라고 하는데 그 생리활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한국에서 음나무의 새순은 개두릅이라 하여 산나물로 식용되어 왔다. 음나무의 성분으로서 사포닌인 kalopanax saponin들과 페놀성 화합물로서 liriodendrin, syringin, chlorogenic acid 등도 알려져 있으며(13,14), 해동피의 생리활성으로서 진통소염 효과(15), 항돌연변이 효과(16), 항종양 효과(17) 등이 보고되었다. 이상과 같이 민간이나 한방에서는 류머티스에 의한 풍습비통, 이질, 치통, 개선, 거담 등에 사용되어져 왔으며, 항진균작용 및 당뇨병 치료제 등으로 응용되어지고 있으나, 음나무 새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음나무의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한국에서 음나무의 새순은 개두릅이라 하여 산나물로 식용되어 왔다. 음나무의 성분으로서 사포닌인 kalopanax saponin들과 페놀성 화합물로서 liriodendrin, syringin, chlorogenic acid 등도 알려져 있으며(13,14), 해동피의 생리활성으로서 진통소염 효과(15), 항돌연변이 효과(16), 항종양 효과(17) 등이 보고되었다. 이상과 같이 민간이나 한방에서는 류머티스에 의한 풍습비통, 이질, 치통, 개선, 거담 등에 사용되어져 왔으며, 항진균작용 및 당뇨병 치료제 등으로 응용되어지고 있으나, 음나무 새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im JE, Choue RW, Kim YS. 1998. Effect of dietary counseling and HMG CoA reductase inhibitor treatment on serum lipid levels in hyperlipidemic patients. Korean J Lipidol 8: 61-76. 

  2. Moon SJ. 1996. Korean disease pattern and nutrition. Korean J Nutr 29: 381-383. 

  3. Han SM. 2001. Studies on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cooking aptitude for medicinal tea of Chrysanthemum indicum L.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4. Technology Roadmap in Korea. 2003. National Technology Roadmap. Aiming at Bio-healthtopia. STEPI, Seoul, Korea. p 123-154. 

  5. Han HK, Lim SJ. 1998. Effect of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 of Commelina ommuris on blood glucose level and energy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Soc Food Sci 14: 577-583. 

  6. Hong JS, Kim YH, Lee KR, Kim MK, Cho CI, Park KH, Choi YH, Lee JB. 1998. Composition of organic acid, fatty acid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100-106. 

  7.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8. Park SH, Han JH. 2003. The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nutrient intake, serum lipid level, dietary behavior and health index in healthy women. J Nutr 36: 49-63. 

  9. Choi MS, Do DH, Choi DJ. 2002.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t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Korean J Food Nutr 15: 165-172. 

  10. Cha WS, Kim CK, Kim JS. 2002.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beverages using Citrus reticulate, Ostrea giga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503-507. 

  11.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M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12. Han H, Song YJ, Park S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aorta relax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8: 1078-1082. 

  13. Sano K, Sanada S, Ida Y, Shoji J. 199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Nakai. Chem Pharm Bull 39: 865-870. 

  14. Shao CJ, Nakai R, Ohtani K, Xu JD, Tanaka O. 1989. Saponines from leaves of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structures of kalopanaxsaponins La, Lb and Lc. Chem Pharm Bull 37: 3251-3252. 

  15. Choi JW, Huh K, Kim SH, Lee KT, Park HJ, Han YN. 2002. Antinociceptive and anti-rheumatoidal effects of Kalopanax pictus extract and its saponin components in experimental animals. J Ethnopharmacol 79: 199-204. 

  16. Lee KT, Sohn IC, Park HJ, Kim DW, Jung GO, Park KY. 2002. Essential moiety for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hederagenin monodesmosides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Planta Med 66: 329-332. 

  17. Park HJ, Kwon SH, Lee JH, Lee KH, Miyamoto K, Lee KT. 2001. Kalopanaxsaponin A is a basic saponin structure for the anti-tumor activity of hederagenin monodesmosides. Planta Med 67: 118-121. 

  18. AOAC. 1990a.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88. 

  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Standard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01-301. 

  20. AOAC. 1995a.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ter 45, p 70. 

  21. AOAC. 1995b.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ter 32, p 5. 

  22. Waters Associates. 1983. Official method of amino acid analysis. In Amino Acid System of Operators Manual of the Waters Associates. Milford, MA, USA. p 37. 

  23. AOAC. 1984a.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78. 

  24. Folch J, Lees M, Slane S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25. Kim SY, Ryu CH. 1995.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Korean J Food Technol 27: 819-825. 

  26.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macology 24: 299-303. 

  27. SAS. 1987. SAS/ST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 version 6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p 60. 

  28. Hwang JK. 1996. Phytochem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J Korean Soc Food Nutr 25: 715-719. 

  29. Han GJ, Shin DS, Jang MS. 2008.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ca continentalis Kitagaea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80-685. 

  30. Shin KK, Yang CB, Park H. 1992. Studies o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 perilla leaves (Pen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610-615. 

  31. Lee BY, Hwang JB. 1998. Some components analysis for Chinese water chestnut proc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17-720. 

  32. Hwang JB, Yang MO, Shin HK.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71-679. 

  33. Hwang JB, Yang MO, Shin HK. 1998. Survey for amino acid of medicinal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5-41. 

  34. Park YK. 2001. Studies on the effects of Puerariae Flos, Curcumae Radix and Sophorae Radix on the antioxidation. Kor J Herbology 16: 41-53. 

  35.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