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의 육성계통에 따른 Capsaicinoids와 Ascorbic Acid 분석
Analyses of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in Pepper (Capsicum annum L.) Breeding Lin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1, 2010년, pp.1705 - 1709  

정미리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전통한식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지성 (제일종묘 육종연구소) ,  박동복 (제일종묘 육종연구소)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30여종의 육성계통 고추의 capsaicinoids와 ascorbic acid 등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부가가치 높은 우수 고추 품종 개발을 위한 database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apsaicinoids 및 ascorbic acid 분석을 위해 역상 HPLC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capsaicin의 평균함량은 29.0 mg/100 g, dihydrocapsaicin은 15.8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의 평균 함량은 809.8 mg/100 g이었다. 육성계통 고추 No.2687의 capsaicin 함량은 219.6 mg/100 g, dihydrocapsaicin 함량은 110.8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나 ascorbic acid 함량은 264.9 mg/100 g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또한 육성계통 고추 No. 2524가 ascorbic acid의 함량이 1695.5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나 capsaicinoid 함량은 평균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재현성, 반복성 및 회수율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 재현성과 반복성의 CV는 5% 이하였으며 회수율은 9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고추의 육성 계통별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우수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ppers (Capsicum annuum L.) are a rich source of phytochemicals including polyphenolics, flavonoids,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Capsaicinoids are a group of 12 or more related alkaloids responsible for the pungent sensation in the fruits of the genus Capsicum. Ascorbic acid is another fun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각 품종에 따른 재배조건이나 고추의 외관 및 맛에 대한 특징은 보고되어 있으나 각 품종이나 육성계통(breeding line)에 따른 고추의 기능성 성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성계통에 따른 131종 고추의 capsaicinoids와 ascorbic acid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분석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재현성, 반복성 및 회수율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 재현성과 반복성의 CV는 5% 이하였으며 회수율은 9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고추의 육성 계통별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우수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130여종의 육성계통 고추의 capsaicinoids와 ascorbic acid 등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부가가치 높은 우수 고추 품종 개발을 위한 database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apsaicinoids 및 ascorbic acid 분석을 위해 역상 HPLC를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3)All samples were assayed in duplicat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는 무슨 과에 속하며 어디가 원산지인가? 고추(Capsicum annuum L.)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며 남미 유역이 원산지다. 한국인의 고추 소비량은 건고추 기준으로 4 kg에 이르며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1,2).
고추에는 무엇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고추에는 일반적으로 capsaicinoid, ascorbic acid, β-carotene, polyphenol, flavonoid 등의 생리활성 phyto- chemical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9). 고추의 매운맛의 주성분은 capsaicinoids라는 물질로, capsaicin, dihydrocapsaicin, nordihydrocapsaicin, homocapsaicin, homodihydrocapsaicin 등의 동족체로 구성되어있다.
고추의 매운맛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고추의 매운맛의 주성분은 capsaicinoids라는 물질로, capsaicin, dihydrocapsaicin, nordihydrocapsaicin, homocapsaicin, homodihydrocapsaicin 등의 동족체로 구성되어있다. 이중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이 매운맛의 주성분이다(10). Capsacinoid는 항균작용, 통증완화 효과, 항암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YS, Cho MC, Suh HD. 2000. Current status and projects of national hot pepper industry in Korea. J Korean Capsicum Res Coop 6: 1-27. 

  2. Park JB, Lee SM, Kim S. 2000. Capsaicinoids control of red pepper powder by particle size. J Korean Capsicum Res Coop 6: 51-62. 

  3. Kang IH. 1983. Hankook Shiksenghwalsa. Samyongsa, Seoul, Korea. p 190. 

  4. Park CR, Lee KJ. 197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rying methods upon the chemical change in red pepper, part 2, changes of free amino acid, free sugar. Korean J Nutr 8: 27-31. 

  5. Kim S, Kim KS, Park JB. 2006.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s in two single-harvested peppers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15-620. 

  6. Lee SW. 1979. Gas liquid chromatographic studies on sugars and organic acid in different portions of hot pepper fruit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78-282. 

  7. Kawaguci Y, Ochi T, Takaishi Y, Kawazoe K, Lee KH. 2004. New sesquiterpenes from Capsicum annuum L. J Nat Prod 67: 1893-1896. 

  8. Davis BH, Mathews S, Kirk JTO. 1970. The nature and biosynthesis of the carotenoids of different colour varieties of Capsicum annuum L. Phytochemistry 9: 797-800. 

  9. Materska M, Piacente S, Stochmal A, Pizza C, Olezek W, Peruka I. 2003.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 glycosides from pericarp of hot pepper fruit Capsicum annuum L. Phytochemistry 63: 893-898. 

  10. Chiang GH. 1986. HPLC analysis of capsaicins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psaicins and piperine by HPLC-ECD and UV. J Food Sci 51: 499-505. 

  11. Zhang WY, Po ALW. 1994. The effectiveness of topically applied capsaicin. Eur J Clin Pharmacol 46: 517-522. 

  12. Mori A, Lehman S, O'kelly J, Kumagai T, Desmond JC, Pervan M, McBride WH, Kizaki M, Koeffler P. 2006. Capsaicin, a component of red pepper, inhibits the growth of androgen-independent, p53 mutant prostate cancer cells. Cancer Res 66: 3222-3229. 

  13. Howard LR, Smith RT, Wagner AB, Villalon B, Burns EE, 1994. Provitamin A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sh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L.) and processed jalapenos. J Food Sci 59: 362-365. 

  14. Topuz A, Ozdemir F. 2007. Assessment of carotenoids, capsaicinoids and ascorbic composition of some selected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L.) grown in Turkey. J Food Compos Anal 20: 596-602. 

  15. Deepa N, Kaur C, George B, Singh B, Kapoor HC. 2007. Antioxidant constituents in some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genotypes during maturity. Food Sci Technol 40: 121-129. 

  16. Attuquayefio VK, Buckle KA. 1987. Rapid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HPLC analysis of capsaicinoids in capsicum fruits and oleoresins. J Agric Food Chem 35: 777-779. 

  17. Wang HF, Tsai YS, Lin ML, Ou AS. 2006.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nents in GABA tea and green tea produced in Taiwan. Food Chem 96: 648-653. 

  18.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96-300. 

  19. Kim S, Park JH, Wang IK. 2002. Quality attributes of various varieties of Korean red pepper powders (Capsicum annuum L.) and color stability during sunlight exposure. J Food Sci 67: 2957-2961. 

  20. Park JS, Kim MH, Yu RN. 1999. Approximative study of nutrients and intakes determined from capsaicin contents in powdered soups of Korean instant noodles and hot pepp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01-504. 

  21. Chai JY, Kim MS, Han IK, Lee SY, Yeo IH. 1994.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pungent principles in red pepper. J Korean Soc Anal Sci 7: 541-545. 

  22. Choi SH. 2006. Ascorbic acid of Korean pepper by cultivating season, region and cooking meth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578-584. 

  23. Kye SH, Lee JD, Paik HY. 1993. Analysis of ascorbic acid contents in raw, processed and cooked foods by HPLC. J Korean Home Assoc 31: 201-208. 

  24. Cho BC, Park KW, Kang HM, Lee WM, Choe JS. 2004. Co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fruit in different growing periods. J Bio-Env Con 13: 67-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