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교육과 운동프로그램이 과체중이상의 성인여성의 영양상태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f Overweight or Obese Female Adults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 2010년, pp.78 - 84  

김은정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혜진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부산시 해운대구 보건소에서 과체중 이상인 30세 이상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스스로 평생 자기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건강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상반기, 하반기로 2차례에 걸쳐서 과체중 이상인 해운대구 거주 주민 여자 53명을 선착순 모집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후에 건강검진, 체력측정, 체성분측정, 설문조사를 하고, 건강상태와 비만도에 따른 결과를 개인상담으로 실시하였으며, 영양교육은 비만 특강(1시간)을 시작으로, 소그룹별로 4주간 매주 1회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교육과 운동프로그램 전후의 대상자의 체중, BMI는 유의적으로 감소(p<0.001)하였으며 체격 및 체력검사결과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상완배부, 견갑하연부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01), 배근력(p<0.001), 악력(p<0.01)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영양교육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에 공복 시 혈당(p<0.001), 중성지방(p<0.01)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건강 상태에 대한 평가 결과, 스스로의 건강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프로그램 실시 후에 건강관리를 위해서 운동을 중요시하는 양상을 보였다. 영양소 섭취 상태 조사 결과 비타민 D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식습관 조사와 영양지식평가 결과, 평균점수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01). 4주간의 영양교육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의 식습관과 비만도, 혈액수치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되며, 교육효과를 더 증진시키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불균형이 성인병 등을 유발하지 않도록 평소 균형된 식생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for overweight or obese female adults, and als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 proper nutrition education.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nutritional intake, eating habit, and hematological index,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산시 해운대구 보건소에서 과체중 이상인 30세 이상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스스로 평생 자기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건강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상반기, 하반기로 2차례에 걸쳐서 과체중 이상인 해운대구 거주 주민 여자 53명을 선착순 모집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 해운대 보건소에 내원한 과체중이상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체중조절 프로그램 전후로 신체상태, 비만도, 건강상태의 변화, 영양소 섭취 상태의 변화, 생활습관 및 식습관의 변화, 영양지식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며 비만으로 인한 성인병 예방과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 이의 실천으로 비만인구의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무엇인가? 현대인들은 문명의 이기로 비만이라는 현대병으로 인해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과잉 섭취된 에너지가 체내의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으로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1). 과체중 특히 과잉 체지방은 건강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쳐 질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미국의 경우 성인 비만이 가장 많은 나이대는 무엇인가? 비만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데, 미국의 경우 성인 비만은 남자의 경우 44~54세 사이에 최고에 달하고 여자의 경우는 54~74세 사이에 즉 중년이후에 최고에 달한다고 하였다(6). 비만의 원인은 크게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등의 영향으로 결정된다.
비만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비만의 원인은 크게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등의 영향으로 결정된다. 비만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Kim(7)은 고인슐린혈증, 지방세포증식, 유전, 잘못된 식습관, 운동부족, 열 생산 기능이상 외에 사회 경제적인 요인, 문화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비만과 질병과의 관계가 밝혀짐에 따라 세계보건기구는 비만을 치료를 요하는 질병중의 하나로 규정하기에 이르렀는데(8) 올바른 영양섭취 그리고 운동을 통하여 바람직한 체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ng CT, Chang KH, Cheah WL. 2009. Adults perceptions of being overweight or obese: a focus group study. Asia Pac J Clin Nutr 18: 257-264. 

  2. Hubert HB. 1984. The na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t J Cardiol 6: 268-274. 

  3. Jorn AF, Korten AE, Christensen H, Jacomb PA, Rodgers B, Parslow RA. 2003. Association of obesity with anxiety, depre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a community survey. Aust N J Pubic Health 27: 434-440. 

  4. Lee HK. 1990. Obesity and its associated diseases. Korean J Obesity 23: 341-346. 

  5. Park KS, Choi YS. 1990. A study on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housewives residing in apartments in Taegu. Korean J Nutr 23: 170-178. 

  6. Bowman BM, Russell RM. 2003.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8th ed. ILSI Press, Washington, DC, USA. p 549-560. 

  7. Kim YS. 1990.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obesity. Korean J Nutrition 23: 337-340. 

  8. WHO.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West pacific region. 

  9. Yang KM, Jang JH. 2009. Biochemical analysis overweight or obese women through a herbal medicine-bas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J Kor Soc Cosm 15: 293-302. 

  10. Kang JS, Kim HS. 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 middle aged obese women. Korean J Food & Nutr 17: 356-367. 

  11. Wang J, Thornton Jc, Russell M, Buratero S, Heymsfidles, Pierson PN Jr. 1994. Asians have lower body mass index (BMI) but higher percentage body fat than do white: comparison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m J Clin Nutr 60: 23-28. 

  12. Yoon YS. 2001. A study on the effects of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middle aged women. J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 363-375. 

  13. Park HS, Jung YS, Shin ES, Kim HW, Kim CJ. 1993. Effect on body weight control through behavior, diets, exercise therapy in obese patients. Korean J Fam Med 14: 250-257. 

  14. Pierson RE. 1974. Experimental transmission of malignant catarrhal fever. J Am Vet Med Assoc 164: 1134-1143. 

  15. Deheeger M, Rolland-Cachere MF, Fontvitielle AM. 1997. Physical activity and body composition in 10 year old French children: linkages with nutritional intake. Int J Obes Metab Disord 21: 372-379. 

  16. Park SK, Kwon YC, Kim EH, Jang JH. 2006. The effects of combined training on visceral fat, adiponectin and TNF- $\alpha$ concentration in middle abdominal obese women. The Korean J Growth and Development 14: 63-77. 

  17. Messerli FH. 1982. Cadiovascular effects of obesity and hypertension. Lancet 1165-1168. 

  18. Borkan GA, Sparrow D, Wisniewski C. 1986. Body weight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Pattern of risk factor change associated with long term weight change. The Normative aging Study. Am J Epidemiol 124: 410-419. 

  19. Pi-Sunyer PX. 1991.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 Am J Clin Nutr 53: 1595S-1603S. 

  20. Parrel P, Baboriak J. 1980. The time course of alteration in plasma lipid and lipoprotion concentration during eight weeks of endurance training. Atheroclerosis 37: 231-238. 

  21. Moon SJ, Kim HS, Kim JH, Park GS, You YH. 1995. The effect of weight control on obese women. Korean J Nutrition 28: 759-770. 

  22. Park HS, Kim MY, Lee SW, Shin ES. 1994. Diet and eating behavior in obese patients. Korean J Fam Med 15: 353-361. 

  23.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2007.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83-591. 

  24. Kim MS, Ahn HS. 2003. Dietary intakes and serum component in mid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Korean J Obesity 12: 124-136. 

  25. Han HY, Kim EK, Park KW.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rved by the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Nutrition 30: 1219-1228. 

  26. Swanson JC. 1972. Second thoughts on knowledge and attitudes effect upon behavior. J School Health 42: 363-365. 

  27. Agron P, Takada E, Purcell A. 2002. California Project LEAN's Food on the Run Program: an evaluation of a high school-based student advocacy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J Am Diet Assoc 102: S103-S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