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박 추출물의 항균활성,항산화 및 SOD 유사활성 효과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3, 2010년, pp.299 - 305  

김태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이용과) ,  전태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이용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이용과)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획조정과) ,  김진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전통한식과) ,  곽준수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박 추출물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 항산화, DPPH 라디컬 소거능 그리고 SOD 유사활성을 실험하였다. 주박의 추출물은 B. subtilis, Staph. aureus, P. aeruginosa 그리고 E. coli 균주에 대해서 모든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두유 유화물을 이용한 주박의 항산화력은 control보다 추출물이 더 높았다. 그리고 주박 추출물의 농도가 200 ppm일때 효과가 있었다. 주박 추출물의 DPPH의 소거능은 80% 이상의 저해 효과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박의 지속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고, 또한 주박을 다른 용매 추출법에 의해 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antioxidan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AFC) extract using hot water and ethanol solvent. All extracts from Jubak(AFC) ha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e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OD(superoxide dismutase)는 생체 내에서 O2-(superoxide)의 소거에 관여하는 효소이며, 생체 내에서 생성된 활성 산소는 체내에서 산화적 장애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런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SOD 유사활성을 지닌 소재를 주박에서 탐색하고자 연구를 하게 되었다. Superoxide에 대한 산화 억제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superoxide와 반응하여 갈변물질을 내는 pyrogallol의 자동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를 Fig.
  • 따라서 본 연구는 주박 추출물의 생리활성 실험을 통해 기능성 소재로서 산업적 이용 가치를 확인하고, 식품 및 화장품 개발에 목적을 두고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박의 효능은? 이러한 경향은 일본의 청주 즉 사케(酒) 소비량 감소와도 일치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본에서는 청주뿐만 아니라 청주를 거르고 난 후의 술지게미(酒粕)의 생리기능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여 왔다. 그 결과, 주박은 당뇨, 고혈압,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으며, 뇌경색, 심근경색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알레르기 체질을 개선하고,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기능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보고되었고, 이들 성분을 이용한 건강식품과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Gekkeikan 1993; Saito 등 1994; Nippon Shuzo 1998).
주박 추출물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 항산화, DPPH 라디컬 소거능 그리고 SOD 유사활성을 실험한 연구를 통해 어떤 균주에 대한 주박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가? 주박 추출물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 항산화, DPPH 라디컬 소거능 그리고 SOD 유사활성을 실험하였다. 주박의 추출물은 B. subtilis, Staph. aureus, P. aeruginosa 그리고 E. coli 균주에 대해서 모든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두유 유화물을 이용한 주박의 항산화력은 control보다 추출물이 더 높았다.
주박이란? 주박은 쌀, 물, 누룩, 효모 등을 이용하여 청주나 약주를 발효 후, 술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이며, 탁주로 부터 분리된 주박은 식량이 부족했던 시기에 대체식품의 역할을 담당했을 만큼 영양적인 면에서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탁주(막걸리) 제조 과정에서 생산된 부산물 주박은 양돈업자에 의해 사료용으로 소비되거나 추가비용을 들여 폐기하는 실정이다(Kim & Cho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한국주류산업협회. 연도 및 주류별 출고동향. 2010. http//www.kalia.or.kr. 2010.04.22 방문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Cho SY, Park JW, Rhee C. 1998. Edible films from protein concentrates of rice wine mea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097-1106 

  4. Chung KS, Kim SS, Kim HS, Kim KY, Han MW. 1994. Antitumor activity of Kp, a protein-polysaccharide from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Yakhak Hoeji 38:158-165 

  5. Gekkeikan Sake Co. KTD. 1993. JP patent 294844A 

  6. Ikekawa T, Nakanish M, Uegara, N, Chihara G, Fukuoka F. 1968. Antitumor action of some Basidiomycetes. especially Phellinus linteus. Gann 59:155-157 

  7. Jeong JW, Park K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Takju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2-58 

  8. Kim HM, Han SB, Oh GT, Kim YH, Hong DH, Hong ND, Yoo I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 18:295-303 

  9. Kim SM, Cho WK. 2006. Effects of Takju(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638-643 

  10. Lee HL, Kwon HJ, Chun SS, Kim JH, Cho YJ, Cha WS.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helliuns linte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298-303 

  11. Lee KS, Kim DH. 1991. Effect of sake cake on the quality of low salted Kochuzang(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 23: 109-115 

  12. Lee TS, Choi JY.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38-643 

  13. Lim YS, Bae SM, Kim K. 2004. Production of yeast spores from rice wine cak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2:184-189 

  14.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469-474 

  15. Nippon Shuzo Kumai Chiyuuoukai, 1998. JP Patent 146166 

  16. Oh HJ, Lee SR. 1996.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eta$ - glucan isolated from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28:689-695 

  17. Saito Y, Wanezaki K, Kawato A, Imayasu S. 1994. Structure and activity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sake and sake lees. Biosci Biotechno Biochem 58:L1767-17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