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80-1990년대 동해에서 해구별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어획량과 해양환경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by Sea Block and Marine Environment in the East Sea during 1980s and 1990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6 no.3 = no.42, 2010년, pp.259 - 268  

김윤하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문창호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최광호 (국립수산과학원) ,  이충일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년간(1980-1999) 동해의 해구(위경도 $30'{\times}30'$)별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총 어획량과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gear/day, CPUE)을 분석하여, 특정 해역에서 오징어 어획량이 높은 원인을 물리(수온), 생물학적 환경 인자(동물플랑크톤 생체량)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구별 총 어획량과 CPUE는 1980년대보다 1990년대에 증가하였다. 20년간 평균어획량이 높았던 해구는 동해 남부 5개 해구(No. 87, 76, 82, 83, 88)이었고, CPUE가 높았던 해구는 울릉도와 울진 부근의 해구(No. 65, 71, 72, 78)로 나타났다. 동해 전체 해구에서 이들 특정 해구의 총 어획량과 CPUE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5.1%와 62.1%였다. 총 어획량과 CPUE가 높은 해역은 쓰시마 난류의 북방한계 지표수온인 $10^{\circ}C$등온선의 상부 수층에 위치하였으며, $10^{\circ}C$ 등온선의 분포 위치에 따라 해구별 총 어획량과 CPUE가 다르게 나타났다. 해구별 동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포와 오징어 어획량 간에는 높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전체 해구의 동물플랑크톤의 연간 총 생체량과 오징어 총 어획량의 시계열 변화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ta on squid catches by the Korean jig fishery in sea blocks ($30'{\times}30'$), water temperatures at depth(30m, 50m and 100m) and zooplankton biomass in the East Sea from 1980 to 1999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formation of the high density stock area. Japanese common s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리고 Euphausiacea의 습중량이다. 채집 시에 주야 구분을 두지 않은 자료로서 동물플랑크톤의 연간변동추이와 월별, 연도별 공간적 분포를 파악코자 하였다. 수온과 동물플랑크톤 생체량 자료는 34° 15'N~38° N, 128° 20' E ~ 131° 15 ' E의 범위에 해당되는 정점(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기홍(2002) , 동해애서의 오징어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35. 

  2. 김상우, 조규대, 김영섭, 최윤선, 안유환, 김용승(2005), DMSP/OLS 영상에서 관측한 동해 야간조업어선의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 제38권, 제5호, pp.323-330. 

  3. 박종화, 최광호, 이주희(1998), 여름철 동해안 연안 냉수와 오징어 어황과의 관계, 한국어업기술학회지, 제34, 제2호, pp. 150-161. 

  4. 이생동, 손용수, 김용철(1985), 한국 동해산 오정어의 연직분포에 관한 연구, 수진연구보고, 제36권, pp. 23-28. 

  5. 이충일 (2003), 동해의 쓰시마 난류 변동과 해류순환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 93. 

  6. 최광호, 황선도, 김주일(1997), 한국 연근해 오정어의 어황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제30권, 제4호, pp. 513-522. 

  7. 최광호, 조규대, 김동선, 김주일, 김상우(2003), 황해에 분포하는 오징어의 어황특성, 한국수산자원학회지, 제6권, 제1호, pp. 21-31. 

  8. 최광호(2005), 한국해역에 분포하는 살오징어의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102. 

  9. Choi, K. H, C. I. Lee, K. S. Hwang, S. W. Kim, J. H Park and Y. Gong(2008),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Japan) Sea, Fisheries Research, Vol. 91, pp. 281-290. 

  10. Hamabe, M(1962), Embryological studies on the common squid Onmastrephes sloani pacificus Steenstrup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Sea of Japan, Bulletin of the Japan S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Vol. 10, pp.1-45. 

  11. Hong, C. H. and K. D. Cho(1983),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its fluctuations,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8(3), pp. 1-9. 

  12. lsoda, Y., S. Saitoh and M. Mihara(199I), SST structure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 Sea,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Takano K, eds. Elsevier, Amsterdam, pp. 103-112. 

  13. Kang, Y. S., H. G. Kim and J. H. Park(2002), Long-term changes in zooplankt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quid catch in Japan/East Sea, Fisheries Oceanography, Vol. 11, pp. 337-346. 

  14. Kasahara, S.(1978), Descriptions of offshore Squid Angling in the Sea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and on the Techniques for Forecasting Fishing Conditions, Bulletin of the Japan S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Vol. 29, pp. 179-199. 

  15. Kiyofuji, H. and S. Saitoh(2004), Use of nighttime visible images to detect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fishing areas and potential migration routes in the Sea of Japan, Marine Ecological Eco Progress Series, Vol. 276, pp. 173-186. 

  16. Sakurai. Y, H. Kiyofuji, S. Saitoh, T. Goto and Y. Hiyama(2000), Change in inferre spawning areas of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a : Ommastrephidae) due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Vol. 57, pp. 24-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