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
A Cost Benefit Analysis of Individual Home Visiting Health Car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1 no.3, 2010년, pp.362 - 373  

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태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진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신상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이은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sts and benefits of individual home visiting health care using secondary data and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1,008,837. A specific program was classified into disease management, care of infant, child and wo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료비 지출이 GN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가용자원의 제약 때문에 어떤 보건의료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 경제성을 고려한 자원 배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Yang, 2002)을 고려할 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이 대상자의 건강수준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취약가족,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만성질환의 관리측면에서 시행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취약계층의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정착화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노인의 약물복용 관리는 투약이행도를 높이고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약물오남용을 예방하고 노인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노인들의 약물복용과 관련한 사업의 성과가 보고되고 있지 않아 기존 연구의 노인 약물 복용률 52.
  • 이에 연간 1인당 외래진료비와 입원진료를 적용하여 외래 및 입원 진료비 감소 편익을 추정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방문건강관리를 제공받음으로 고혈압의 중증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을 예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편익 또한 같은 방법으로 추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문건강관리사업을 통해 경증에서 중등증으로 진행될 확률을 20.
  • 본 연구는 2007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방문건강관리 사업에 투입된 비용과 편익을 기존문헌 고찰과 2차자료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이 45.
  • 본 연구는 2007년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제성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고찰과 2차 자료분석을 통해 방문건강관리 사업에 투입된 비용과 편익을 추정하는 비용-편익분석연구이다. 2007년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는 총 1,008,837명으로 질환관리, 영·유아 및 임산부관리, 노인관리로 프로그램을 구분하여 사업의 투입비용과 성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2007년도에 실시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제성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방문건강관리 사업에 투입된 비용과 그 결과 나타나는 편익을 기존 문헌고찰과 2차 자료분석을 통해 추정하는 비용-편익분석이다.
  • 본 연구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비용 및 편익을 추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는 보건사회연구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에서 제공받았다. 또한 편익을 추계하기 위해 2차 자료로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통계연보, 통계청의 통계연보 및 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효과로 입원 또는 외래일수의 50% 감소를 가정하여 편익을 추계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불확실성을 보정하기 위해 입원 또는 외래일수의 감소 변화를 25%, 75%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순편익과 편익/비용 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사회적 관점에서 그 비용과 편익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세부사업을 실시하는 것을 실시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취약가족,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만성질환의 관리측면에서 시행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취약계층의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정착화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고혈압 대상자의 중증도가 낮아짐으로 인해 의료이용이 감소된다고 가정하였는데, 고혈압 중증도가 중등증에서 경증으로 낮아지거나 중증에서 중등증으로 낮아진 경우에는 내원일수가 25% 감소하고, 중증에서 경증으로 낮아진 환자의 경우는 내원일수가 50%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연간 1인당 외래진료비와 입원진료를 적용하여 외래 및 입원 진료비 감소 편익을 추정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방문건강관리를 제공받음으로 고혈압의 중증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을 예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편익 또한 같은 방법으로 추계하였다.

가설 설정

  • 2007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는 9,710명의 노인이 치매관리사업에 등록하였지만 구체적인 관리사업의 효과를 측정하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치매관리 및 예방으로 외래일수가 약 50% 감소되었다는 가정 하에 진료비 절감편익(MB), 교통비 절감편익(LB)을 추계하였다. 국민건강통계연보의 자료를 적용하여 진료비를 산출하였으며, 교통비용은 외래일수가 50% 감소되었다는 가정 하에 외래 방문 1회 왕복교통비용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 9일)를 적용하여 편익을 추계하였다. 고혈압 대상자의 중증도가 낮아짐으로 인해 의료이용이 감소된다고 가정하였는데, 고혈압 중증도가 중등증에서 경증으로 낮아지거나 중증에서 중등증으로 낮아진 경우에는 내원일수가 25% 감소하고, 중증에서 경증으로 낮아진 환자의 경우는 내원일수가 50%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연간 1인당 외래진료비와 입원진료를 적용하여 외래 및 입원 진료비 감소 편익을 추정하였다.
  • 1일이 50% 감소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편익을 추계하였다. 교통비 절감편익(LB) 또한 통증관리로 외래방문 일수가 50% 감소한다고 가정하여 추계하였다. 생산성손실 절감편익(PB)은 외래진료비 절감편익이 발생하는 64세 이하 대상에서 단순노무직의 시간당 임금과 외래 1회시 소요 시간, 2007년 경제활동참가율을 적용하여 추계하였다.
  • 진료비 절감편익(MB)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으로 인해 요실금 중증도가 중등증에서 경증으로 개선된 경우 내원일수 25%가 감소하고, 중증에서 경증으로 개선된 경우는 50%가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진료비 감소 편익(MB)을 산출하였다. 교통비 절감편익(LB)과 생산성손실 절감편익(PB)도 동일한 가정 하에 외래방문 1회 왕복교통비, 단순 노무직 시간당 임금, 외래 1회시 소요시간 및 경제활동참가율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 6% (Kim, Lee, Hwang, & Jung, 2007)가 포함된 진료비용이었다. 교통비 절감편익(LB)은 재입원율 감소로 인해 절감된 보호자의 교통비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2007)의 교통비에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이용률을 25%로 가정하여 추계하였다.
  • 2007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는 9,710명의 노인이 치매관리사업에 등록하였지만 구체적인 관리사업의 효과를 측정하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치매관리 및 예방으로 외래일수가 약 50% 감소되었다는 가정 하에 진료비 절감편익(MB), 교통비 절감편익(LB)을 추계하였다. 국민건강통계연보의 자료를 적용하여 진료비를 산출하였으며, 교통비용은 외래일수가 50% 감소되었다는 가정 하에 외래 방문 1회 왕복교통비용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방문건강관리사업을 통해 경증에서 중등증으로 진행될 확률을 20.96%, 중증으로 진행될 확률을 7.73% 예방할 수 있음에 따라(Yang, Kim, & Lee, 1992) 내원일수가 25% 감소한다고 가정하고, 연간 1인당 외래진료비와 입원진료비를 적용하여 진료비 감소편익을 추계하였다.
  • 사망률 감소로 인한 생명연장편익(EB)은 2007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뇌혈관질환 등록자의 연령별 구분이 확인되지 못하여 노동부의 전체 연령 평균임금과 경제활동참가율을 적용하고,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이용률을 25%로 가정하여 추정하였다.
  • 당뇨병의 직접편익(DB)은 진료비 감소편익(MB), 합병증발생 예방편익(CB)과 교통비 절감편익(LB)의 합으로 산출되었다. 진료비 감소편익(MB)은 당뇨병이 조절됨에 따라 나타나는 진료비 감소로 사업 이후 혈당이 조절된 환자의 내원일수가 평균 50%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연간 1인당 외래진료비와 입원진료비를 적용하여 진료비 절감편익을 추정하였다. 합병증발생 예방편익(CB)은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인 신장합병증, 망막합병증, 신경학적 병증, 혈관 손상으로 합병증인 관상동맥질환 및 뇌졸중 합병증이 예방됨으로 인한 진료비 절감을 의미한다.
  • 5% (Han, Kim, & Park, 1998)가 발생한다는 결과를 이용하여 진료비 절감편익(MB)과 교통비 절감편익(LB)을 산출하였다. 진료비 절감편익(MB)은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시행하지 않았을 때 약물 부작용이 발생하였을 환자 19,231명에 대해 평균 외래일수가 50% 감소한다는 가정 하에 평균 외래비용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교통비 절감편익(LB)은 동일 가정 하에 왕복교통비용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 4%인 51,080명이 우울 증상이 개선되어 진료일수가 감소하게 되어 이를 적용하여 진료비 절감편익(MB) 및 교통비 절감 편익(LB)을 추계하였다. 진료비 절감편익은 외래 방문일수가 50% 감소하였다고 가정하여, 건강보험통계연보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교통비용은 우울 증상 15.4% 감소에 대하여 외래 방문일수 50% 감소를 가정하여, 왕복 교통비용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nett, W. S. (1993). Economic evaluation of home visiting program. The Future of Children, 3 (3), 93-112. 

  2. Chun, K. J. (1996). Structure and contents of visiting health service in the urban area.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College, 2 (1), 171-193. 

  3. Elkan, R., & Kendrick, D. (2004).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home visiting or home-based support for older people?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4. Han, K. H., Kim, K. N., & Park, D. Y. (1998). Drug complica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Chung-buk area-I. Disease and drug consumptio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3 (1), 76-93. 

  5. Jung, I. S. (2009, February). Home visiting as the heath management mechanism and practice based on community. Paper presented at the symposium of th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th Care in 2009, Seoul. 

  6. Jung, Y. M., Lee, S. E., & Chung, K. S. (2006).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ccording to health status i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 (2), 291-303. 

  7. Kang, Y. S., Lee, S. J., Yang, B. M., & Hur, J. (1988). Costbenefit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aged.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8 (1), 121-144. 

  8. Kim, H. S. (2001). A drug use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persons in a Gwang Ju a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7 (1), 69-79. 

  9. Kim, J. H., Lee, H. Y., Hwang, R. I., & Jung, H. J. (2007). Survey on the benefit coverage rat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2006. Seoul: Health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10. Ko, I. S., Kim, C. J., Lee, T. W., Lee, K. J., Kim, E. S., Ma, H. Y., et al. (2002). Evaluation of government assisted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health center in 200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 344-354. 

  11. Ko, I. S., Kim, G. S., Lim, M. H., Lee, K. J, Lee, T. W., Park, H. S., et al. (2007).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self-care of hypertension for visiting nursing cl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 (2), 134-145.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Retrieved October 5, 2008, from http://knhanes.cdc.go.kr 

  13. Lee, J. Y., Kim, H. L., & Kim, Y. J. (2006). Difference of selfcare behavior implementation in clients with hypertension by visiting nursing service.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9 (1), 53-62. 

  14. Markle-Reid, M., Browne, G., Weir, R., Gafni, A., Roberts, J., & Henderson, S. R. (2006).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home-based nursing health promotion for older people: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63 (5), 531-569. 

  15. Mary, J., & Rodriguez-Artalejo, F. (2001). Which is more important for the efficiency of hypertension treatment: Hypertension stage, type of drug or therapeutic compliance? Journal of Hypertension, 19, 149-155.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Result report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project in 2007. Seoul: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Press.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Introduction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th care project in 2009. Seoul: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Press.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007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project yearbook.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Press. 

  19. Ministry of Labor (2008). Survey report on wage structure: Wages of simple labor. Seoul: Ministry of Labor.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8). 2007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1. Park, J. Y., & Ko, S. K. (2000). Cost-benefit analysis of the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program.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6 (2), 203-245. 

  22. Ryu, H. S. (2001). The effects 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for community based disabled pers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6), 1098-1108. 

  23. Ryu, H. S., & Hwang, R. H. (2004). A study on the status and policy issues of visiting nursing programs at public health centers in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 (1), 67-75. 

  24. Shin, H. S., Lee, T. J., & Yang, B. M. (1993). The economic analysis on visiting nurse program. Journal of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al Science, 3 (1), 9-17. 

  25. Statistics Korea (2009-b).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Retrieved November 11, 2008, from http://www.kostat.go.kr. 

  26. Yang, B. M. (2002). Health economics. Seoul: Nanam Publishing House. 

  27. Yang, B. M., Kim, J. H., & Lee, S. Y. (1992). The economic analysis of industrial health promotion program: A costbenefit analysis of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 program in Korea. Seoul: Ministry of Labor. 

  28. Yim, E. S. (2008). Cost-benefit analysis of the case management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9. Yoon, S. N., Lee, I. S., Yoo, I. J., Kim. J. N., & Bae, J. H. (1995). A study for quality assurance of visiting nurses service of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6 (2), 275-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