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2 no.4, 2010년, pp.411 - 426  

문성용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오현주 (국립수산과학원 대외협력과) ,  서호영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와 주요 분류군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5월부터 2006월 2월까지 사계절 동안 실시하였다. 사계절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전체 7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 개체수는 2,426~23,793 indiv./$m^3$ 범위였으며, 이 중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 A. omorii, A. erythraea, P. parvus s. l, 십각류 유생, Aidanosagitta crassa, 따개비 유생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의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지수는 내만 해역에서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철에 외만에 위치하는 조사해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해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 변동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과 엽록소-a 농도, N. scintillans의 대량 증식에 따라서 변동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의 세력확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sonal variations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in May, August, November 2005, and February 2006. A total of 74 taxa were sampled, with an average abundance ranging from 2,426~23,793 indiv./$m^3$, among which Nocti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해 연안은 어떤 지형인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지형이 잘 발달하여 있는 남해 연안은 수심이 얕고 해수 유동이 적어 다양한 어류와 패류 의 산란장과 성육장으로서 가치가 높은 곳이다(김 2000; 윤 2003). 그러나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경제발전은 남해 연안을 중심으로 대규모 매립이 진행되면서 임해공업단지 조성과 함께 인구집중화로 이어져 산업폐수와 생 활하수와 같은 육상 기원의 다량의 오염물질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내만을 중심으로 유기오염물질을 축적시켜 해수교환이 비교적 원활하지 않은 일부 반 폐쇄 적인 내만을 중심으로 계절에 따라서 지속적인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있다(박 등 2005; 한 등 2005; 노 등 2006).
남해 연안에 일부 반 폐쇄 적인 내만을 중심으로 계절에 따라서 지속적인 부영양화가 발생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지형이 잘 발달하여 있는 남해 연안은 수심이 얕고 해수 유동이 적어 다양한 어류와 패류 의 산란장과 성육장으로서 가치가 높은 곳이다(김 2000; 윤 2003). 그러나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경제발전은 남해 연안을 중심으로 대규모 매립이 진행되면서 임해공업단지 조성과 함께 인구집중화로 이어져 산업폐수와 생 활하수와 같은 육상 기원의 다량의 오염물질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내만을 중심으로 유기오염물질을 축적시켜 해수교환이 비교적 원활하지 않은 일부 반 폐쇄 적인 내만을 중심으로 계절에 따라서 지속적인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있다(박 등 2005; 한 등 2005; 노 등 2006). 이 같은 연안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부영양화 현상은 해양생태계의 기초생산자로 대표되는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과 현존량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일부 연안에서는 연중 규조류가 우점하게 된다(이와 이 2000; 윤과 김 2003).
남해 연안의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온, 염분, 엽록소-a 농도는 어떻게 측정하였는가? 1). 수온과 염분은 수질 다항목 측정기(YSI 962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엽록소-a 농도는 니스킨 채수기를 이용하여 정점마다 채수 한 해수 500 ml를 공경 0.45 µm인 Millipore 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여과가 끝나기 직전 1% 탄산마그네슘으로 처리한 후 분석 시까지 냉동 보관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90% 아세톤 10 ml를 냉암소에서 24시간 동안 색소를 추출한 후,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이용하여 실험실에서 UV-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엽록소-a 농도를 측정하였다(Parsons et al.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영실, 박주석, 이삼석, 김학균, 이필용 (1996) 진해만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요각류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9:415-430 

  2. 강영실, 전경암 (1999)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화학적 특성 및 영양학적 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2:22-29 

  3. 김동수 (2000) 한국 남해 중부 연안 어장에서의 수괴의 계절 변화.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6:105-116 

  4. 김성재 (2001) 남해 연안역의 부영양화 2. 남해 연안역의 저질 및 수질의 부영양화 실태. 한국습지학회지 3:107-108 

  5.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 (2006) 가막만 표층퇴적물 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1):1-13 

  6. 문성용, 윤호섭, 서호영, 최상덕 (2006) 가막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과 환경요인. Ocean and Polar Res 28: 79-94 

  7. 문성용, 오현주, 김숙양 (2009) 2006년 하계 가막만의 환경요인 변동에 따른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 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18:21-32 

  8. 박종식, 윤양호, 노일현, 서호영 (2005) 남해중앙부해역의 표층퇴적물중 유기물과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환경생물 학회지 23:163-172 

  9. 박주석, 허성회, 이삼석, 강영실, 이병돈 (1990) 한국 남해의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245-253 

  10. 서호영, 서해립 (1993) 광양만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 변동. 환경생물학회지 11:26-34 

  11. 서호영, 이인태, 윤양호, 최상덕, 이삼노, 한명일, 김병섭, 강윤호, 이우범 (2002) 가막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 양상. 환경생물학회지 20:118-129 

  12. 심재형, 노일 (1982) 여수 근해산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양적 분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7:165-183 

  13. 유정규, 윤석현, 최중기 (2006) 인천 연안에서 와편모류 Noctiluca scintillans의 시간적 변동과 생태학적 특성. 환경생물학회지 24:372-379 

  14. 윤양호, 김동근 (2003) 득량만 남서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환경생물학회지 21:8-17 

  15. 이영식 (2002) 여수 돌산도 동부 연안역에서 담수유입에 의한 규조적조발생. 대한환경공학회지 24:477-488 

  16. 이진환, 이은호 (2000) 득량만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적조. 환경생물학회지 17(3):271-278 

  17. 이창래, 박 철, 양성렬, 신용식 (2006)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 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1:1-10 

  18. 장민철, 장풍국, 신경순, 박동원, 장만 (2004) 광양만 동물플 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 환경생물학회지 22:11-29 

  19. 장민철, 신경순, 장풍국, 이우진 (2010) 여름철 장목만의 환경 요인과 중형동물플랑크톤 단주기 변동과의 상관성. Ocean and Polar Res 32:41-52 

  20. 추효상 (2002) 여름철 한국 남해의 해황 변동과 멸치 초기 생활기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5:77-85 

  21. 한동훈, 홍성윤, 마채우 (1995)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517-532 

  22. 한상국, 박지영, 이문희 (2005) 서남해 연안역의 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597-603 

  23. Boxshall GA, Halsey SH (2004) An introduction to copepod diversity. Ray Society, London, 421 p 

  24. Bowman TE (1971) The distribution of calanoid copepods off the southeastern Unitied States between Cape Hatteras and southern Florida. Smithson Contr Zool 96: 1-58 

  25.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117-143 

  26. Clarke KR, Warwick RM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econd ed. Primer-E Ltd., 171 p 

  27. Colebrook JM (1984) Continuous plankton records: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in the seasonal cycle. Mar Biol 83:313-323 

  28. Dann R (1987) Impact of egg predation by Noctiluca miliaris on the summer development of copepod populations in the southern North Sea. Mar Ecol Prog Ser 37:9-17 

  29. Dharani G, Adbul Nazer AK, Kanagu L, Venkateshwaran P, Kumar TS, Ratnam K, Venkatesan R, Ravindran M (2004) On the recurrence of Noctiluca scintillanas bloom in Minnie Bay, Port Blair: Impact on water quality and bioactivity of extracts. Cur Sci 87:990-994 

  30. Durbin AG, Durbin EG (1981) Standing stock and estimated production rate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in Narragansett Bay, Rhode Island. Estuaries 4:24-41 

  31. Eashwar M, Nallathambi T, Kuberaraj K, Govindarajan G (2001) Noctiluca blooms in Port Blair Bay, Andamans. Cur Sci 81:203-206 

  32. Hiromi J (1987) Present knowledge and problems of taxonomy of the family Paracalanidae. Bull Coll Agr Vet Med Nihon Uviv 44:147-159 

  33. Huang C, Qi Y (1997) The abundance cycle and influence factors on red tide phenomena of Noctiluca scintillans (Dinophyceae) in Dapeng Bay, the South China Sea. J Plankton Res 19:303-318 

  34. Huntly M, Boyd C (1984) Food limited growth of marine zooplankton. Am Mat 124:455-478 

  35. Kang YS, Hong SY (1995) Occnrrences of oceanic warmwater calanoid copepods and their relationship to hydrographic conditions in Korean waters. Bull Plankton Soc Japan 42:29-41 

  36. Li C, Wang R, Sun S (2003) Grazing impact of copepod on phytoplankton in the Bohai Sea. Estuar Coast Shelf Sci 58(3):487-498 

  37. Lo WT, Chung CL, Shih CT (2004) Seasonal distribution of copepods in Tapong Bay, southwestern Taiwan. Zool Stud 43:464-474 

  38. Miyaguchi H, Fujiki T, Kikuchi T, Kuwahara VS, Toda T (2006)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m of Noctiluca scintillna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waters of Samgi Bay, Japan. J Plankton Res 28:313-324 

  39. Moon SY, Ohtsuka S, Ueda H, Soh HY (2008) Acartia (Odontacartia) ohtsukai Ueda and Bucklin, 2006 (Copepoda, Calanoida, Acartiidae): First record of its occurrence in Korean waters and habitat segregation from its sibling species A. pacifica Steuer, 1915. Zootaxa 1841:61-64 

  40. Moon SY, Lee W, Soh HY (2010) A new species of Bestiolina (Crustacea: Copepoda: Calanoida) from the Yellow Sea, with notes on the zoogeography of the genus. Proc Biol Soc Wash 123:32-46 

  41. Nogueira MG (2001) Zooplankton composition, dominance and abundance as indicators of environmental compartmentalization in Jurumirim Reservoir (Paranapanema River), Sao Paulo, Brazil. Hydrobiologia 455:1-18 

  42. Parsons TR, Maita Y, Lalli CM (1984) A me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 p 

  43. Quevedo M, Gonzalez-Quiros R, Anadon R (1999) Evidence of heavy predation by Noctiluca scintillans on Acartia clausi (Copepoda) eggs off the central Cantabrian coast (NW Spain). Oceanol Acta 22:127-131 

  44. Ruckert G, Giani A (2008) Biological interactions in the plankton community of a tropical eutrophic reservoir: is the phytoplankton controlled by zooplankton?. J Plankton Res 30:1157-1168 

  45. Seung YH (1992) Water masses and circul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J Korean Soc Oceanogr 27:324-331 

  46. Shannon CE, Weav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60 p 

  47. Ueda H (1986) Taxonomic reexamination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copepods known as Acartia clausi in Japanese coastal and inlet waters. J Oceanogr Soc Japan 42:134-138 

  48. Ueda H (1997) Family Paracalanidae. In: M. Chihara and Murano, Editors,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 Press, Tokyo (1997), pp. 844-851.(In Japanese) 

  49. Ueda H, Bucklin A (2006) Acartia (Odontacartia) ohtsukai, a new brackish-water calanoid copepod from Ariake Bay, Japan, with a redescription of the closely related A. pacifica from the Seto Inland Sea. Hydrobiologia 560: 77-91 

  50. Uye S (1982) Population dynamics and production of Acartia clausi Giesbrecht (Copepoda: Calanoida) in inlet waters. J Exp Mar Biol Ecol 57:55-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