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조릿대잎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2, 2010년, pp.1753 - 1760  

황지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혈관내피세포는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 노출되면, 반응성 산소기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게 된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생존율을 높이며 2차적인 질병의 유발을 감소 및 완화시켜서 당뇨합병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조릿대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30 mM 포도당에 노출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UVECs에 조릿대잎 추출물 ethyl acetate(ESLE) 층을 분주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활성산소종 수준과 지질과산화물 가는 ESLE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농도 포도당으로 GSH 함량과 SOD, GSH-px, catalase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감소된 HUVECs에 ESLE를 분주하였을 때 이들의 함량 및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western blotting을 통해 ESLE 첨가가 SOD와 catalase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ESLE는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ESLE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고 항산화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킨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Freeze-dried Sasa borealis leaves were extracted with 70% methanol and followed by a sequential fractionation with dich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증가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조릿대 추출물의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전 처리된 혈관내피세포에 조릿대잎 추출물을 후 처리하여 산화스트레스의 감소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항산화제로서의 조릿대잎 추출물의 우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혈관내피세포는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 노출되면, 반응성 산소기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게 된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생존율을 높이며 2차적인 질병의 유발을 감소 및 완화시켜서 당뇨합병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조릿대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30 mM 포도당에 노출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UVECs에 조릿대잎 추출물 ethyl acetate(ESLE) 층을 분주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활성산소종 수준과 지질과산화물 가는 ESLE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증가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조릿대 추출물의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전 처리된 혈관내피세포에 조릿대잎 추출물을 후 처리하여 산화스트레스의 감소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항산화제로서의 조릿대잎 추출물의 우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관내피세포의 역할은 무엇인가? 혈관내피세포는 백혈구 부착 방지 및 혈소판의 응집과 부착 방지, 동맥혈관 평활근 증식억제 등과 같은 기전을 통하여 혈관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또한 혈관운동성 및 투과성, 혈액응고 및 분해, 염증세포나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이나 증식, 세포부착 등을 조절함으로써 혈관조직의 총체적인 기능 유지를 한다(2,3). 이러한 혈관내피세포가 여러 가지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되면 세포의 기능 및 혈관 이완능의 손상 등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혈관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4).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체내를 보호하는 항산화 효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로 인해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게 되며 여러 과정을 거쳐 당뇨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당뇨병성 혈관합병증의 병인에 혈관내피의 기능 이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6). 이와 같은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SOD, GSH-px 및 catalase 등의 항산화효소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vitamin E, vitamin C 및 glutathione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이 공존하여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스스로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7,8). 그러나 만성적인 고혈당은 반응성 산소기의 생성을 급격히 증가시키며(9) 이들의 과잉 생산으로 생체 항산화 방어계의 용량은 초과하게 되어 체내 스스로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조릿대(Sasa borealis(Hack.) Makino)란? 천연식물 중의 하나인 조릿대(Sasa borealis(Hack.) Makino)는 대나무의 일종으로 죽엽이라고도 하며, 잎과 줄기 모두 약으로 쓰이고 있는 활용도가 높은 식물로서(11) 다양한 대나무류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종류 중 하나이다. 조릿대는 민간요법에서 당뇨병, 고지혈증과 고혈압 등 대사성 질환에 사용되어 왔으며(12,13), 국내에서는 조릿대 추출물로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14), 대사증후군 개선효과(11), 혈당 강하 효과(12), 물질 분리 연구(15) 등이 연구되어 왔지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oss R. 1995. Cell biology of atherosclerosis. Annu Rev Physiol 57: 791-804. 

  2. Luscher TF, Baron M. 1997. Biology of endothelium. Clin Cardiol 20: 3-10. 

  3. Hsueh WA, Quinones MJ, Creager MA. 1997. Endothelium in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Diabetes Rev 5: 343-352. 

  4. Carlos TM, Harlan JM. 1994. Leukocyte-endothelial adhesion molecules. Blood 84: 2068-2101. 

  5. Calver A, Collier J, Vallance P. 1992. Inhibition and stimula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in the human forearm arterial bed of patients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J Clin Invest 90: 2548-2554. 

  6. Ha SW, Yeo HJ, Bae JS, Chung SC, Kim JG, Kim IS, Lee IK, Kim BW. 2003. Effect and mechanism of high glucose level on the expression of an adhesion protein, $\betaig-h3$ , and cellular function in endothelial cells. J Korean Diabetes Assoc 27: 323-331. 

  7. Peng J, Jones GL, Watson K. 2002. Stress proteins as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effects of antioxidant supplements. Free Radic Biol Med 28: 1598-1606. 

  8. Nuttall SL, Kendall MJ, Martin U. 1999. Antioxidant therapy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Q J Med 92:239-244. 

  9. Son SM, Kim IJ, Kim YK. 2000. Study on role of neutrophil in endothelial cell injury under high glucose condition. J Korean Diabetes Assoc 24: 652-665. 

  10. Nandita S, Rajini PS. 200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potato peel. Food Chem 85: 611-616. 

  11. Jeong EY. 2006. Effect of the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metabolic syndrome in C57BL/6J mice fed a high fat diet.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1-3. 

  12. Hwang JY, Han JS. 2007.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91-1398. 

  13.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Im MS. 1984. Studies on pharmacological actions on Sasa borealis Makino. M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15. Yoon KD, Kim CY, Huh H. 2000. The flavone glycosides of Sasa borealis. Kor J Pharmacogn 31: 224-227. 

  16. Fautz R, Husen B, Hechenberger C. 1991. Application of the neutral red assay (NR assay) to monolayer cultures of primary hepatocytes: rapid colorimetric viability determination for the unscheduled DNA synthesis test (UDS). 

  17. Wang H, Joseph JA. 1999. Quantify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by dichlorofluorescein assay using microplate reader. Free Radic Biol Med 27: 612-616. 

  18. Fraga CG, Leibovita RM, Roeder RG. 1988. Lipid peroxidation measured as thiobarbituric-reactive substances in tissue slices: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ion with homogenates and microsomes. Free Radic Biol Med 4: 155-161. 

  19. Tietze F. 1969. Enzymi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nanogram amounts of total and oxidized glutathione: applications to mammalian blood and other tissue.Anal Biochem 27: 502-522. 

  20.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s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n Biochem 72: 248-254. 

  21.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antioxidant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469-474. 

  22.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 105:121-126. 

  23. Lawrence RA, Burk RF. 1976.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selenium-deficient rat liv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71: 952-958. 

  24. Kwon MJ, Jung HS, Kim MK, Kang SH, Seo GW, Song JK, Yoon TY, Jeon MK , Ha TH, Yoon CS, Lee WJ, Noh JH, Kwon SK, Kim DJ, Koh KS, Rhee BD, Lim KH, Lee SH, Park JH. 2007.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quercertin in INS-1 cell line. J Korean Diabetes 

  25. Kim MK, Jung HS, Yoon CS, Kwon MJ, Koh KS, Rhee BD, Park JH. 2008. The protective effect of EGCG on INS-1 in the oxidative stress and mechanism. J Korean Diabetes 

  26. Ge QM, Dong Y, Su Q. 2010. Effects of glucose an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on oxidative stress in MIN6 cells. Cell Mol Biol 9: 1231-1238. 

  27. Rosen P, Nawroth PP, King G, Moller W, Tritschler HJ, Packer L. 2001.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in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Diabetes Metab Res Rev 17: 189-212. 

  28. Yi NR, Park MS, Han JS. 2010. 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oymilk extract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J Food Sci Nutr 15: 7-13. 

  29. Wang GF, Wu SY, Xu W, Jin H, Zhu ZG, Li ZH, Tian YX, Zhang JJ, Rao JJ, Wu SG. 2010. Geniposide inhibits high glucose-induced cell adhesion through the NF-kappaB signaling pathway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30. Sevanian A, Hochstein P. 1985. Mechanism and consequence of lipid peroxidation in biological systems. Annu Rev Nutr 5: 365-390. 

  31. Jee JH. 2007. Antidiabetic and oxidative stress relieving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39-40. 

  32. Park HY. 2007. Studies on increased antioxidative functionality of seol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powder.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33. Andersen HR, Nielsen JB, Nielsen F, Grandjean P. 1997. 

  34. Suttorp N, Toepfer W, Roka L. 1986.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s of endothelial cells: glutathione redox cycle versus catalase. Am J Physiol 251: 671-680. 

  35. Merrily A. 2003. Oxygen free radicals antioxidant. Am J Nutr 103: 58-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