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수집된 누룩의 품질 및 이를 이용하여 담금한 현미탁주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누룩 7종의 pH는 전반적으로 5.4~5.9 범위로 나타났으며, 적정산도는 0.1% 전후로 나타났다. 당화율은 D, F, G, A 및 E 누룩에서 300 mg%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수는 G누룩에서 $3.78\times10^8$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효모 및 총균수는 B누룩에서 각각 $3.78\times10^8$$3.47\times10^8$으로 가장 많았다. 각각의 누룩을 이용하여 담금한 탁주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G가 19.0%로 가장 높았으며 적정산도는 모든 시료에서 0.44~0.86%로 나타났다. 색도, 갈색도 및 탁도에서도 누룩의 종류에 따라 수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젖산균수, 효모수 및 총균수 모두 A 및 E에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알코올 성분은 E 및 G에서 fusel oil 함량이 높았으며, 모든 시료들이 methanol 및 fusel oil 함량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유기산 함량은 B에서 약 4,000 mg%로 가장 높았으며 A, E, F 및 G에서는 2,000 mg%, C 및 D에서는 1,000 mg% 전후로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B에서 3,676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G, E 및 C에서 각각 1,890, 1,676 및 1,531 m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 기호도는 20대에서 전반적으로 G 및 C에서 높은 기호특성을 나타내었고, 40대에서 F 및 C에서 높은 기호특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누룩종류에 따른 탁주의 품질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나 사용목적에 적합한 담금 방법의 설정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quality of Nuruk, which is a source material of Takju, collec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investigate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made of it. Totally 7 types of Nuruk were examined and their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5.4~5.9 and around 0.1%, respectively. Sac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구 · 경북지역에서 수집된 누룩의 종류에 따른 현미탁주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으며, 향후 이를 이용한 농가형 현미양조식초 생산에 적합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 · 경북지역에서 수집된 누룩의 품질 및 이를 이용하여 담금한 현미탁주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탁주의 영양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최근 웰빙 열풍이 시작되면서 우리민족 고유의 탁주(막걸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특유의 청량미와 낮은 알코올함량의 혼탁한 술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1,2). 탁주는 일반 주류와는 달리 당질, 비타민 B군 및 단백질이 상당량 함유되어있고, 누룩의 protease에 의한 분해산물인 valine, leucine, serine, proline, glycine 등의 아미노산들도 많이 함유되어있다. 또한 생효모가 함유되어 다른 주류와 차별화된 영양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3). 탁주에 관한 연구로는 알코올 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유기산 등의 품질특성 조사(3-5), 전분질 원료 및 누룩의 처리방법에 따른 알코올 발효 및 관능적 특성비교(6), 전분질 원료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특성비교(7), 누룩종류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특성비교(4), 개량누룩의 사용에 의한 탁주의 품질 개선(8,9) 등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전통 누룩의 품질특성 및 이를 이용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품질비교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세청 기술연구소 주류 분석 규정에 따른 당화력 측정 방법은 무엇인가? 당화력은 국세청 기술연구소 주류분석규정(13)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20% 가용성 전분용액 50 mL와 pH 5.0의 식초산 완충용액 30 mL를 취하여 55℃ 항온수조에서 10분간 예열한 다음 효소용액 10 mL를 가하여 60분간 당화시킨 후 0.5 N NaOH 10 mL를 가하고 급냉시켜 효소작용을 정지시켰으며, 이 효소 반응액의 포도당 함량은 DNS(dinitrosalicylic acid)법으로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당화력은 누룩 1 g이 가용성 전분 1 g에 작용하여 생성된 포도당을 가용성전분 1 g에 대한 백분율로 당화율을 나타내었다.
개량누룩의 장점은 무엇인가? 재래누룩은 누룩 중에 생육하는 여러 균주의 조성에 의해 양조되므로 지방에 따라 다양한 누룩이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여러 형태의 누룩이 된다(11). 개량누룩은 술덧의 안전한 발효와 잡균오염이 방지되어 품질이 균일한 술이 제조되는 장점이 있다(12). 따라서 누룩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효소활성, 유기산 생산력 및 알코올발효력 등이 달라지므로 탁주의 휘발성 풍미 성분, 맛, 색상 등의 품질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2.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3.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13-520. 

  4. Han EH, Lee TS, Noh BS, Lee SD.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5.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6. Kim IH, Park WS, Koo TJ. 1996.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 J Dietary Culture 11: 339-348. 

  7.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8. So MH, Lee YS, Noh WS. 1999.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427-432. 

  9.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226-232. 

  10. Lee SS, Kim KS, Eom AH, Sung CK, Hong IP. 2002.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ean J Mycology 30: 61-65. 

  11. Yu TS, Kim J, Kim HS, Hyun JS, Ha HP, Park MG. 1998.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 of traditional Korean Nuruk (since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89-799. 

  12.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Chung JH. 1990.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whasa, Seoul, Korea. p 79-103. 

  13.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2008.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Korea. p 11. 

  14. Park CD, Jung HK, Park HH, Hong JH. 2007.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ahyangju Nuruk. Korean J Food Preserv 14: 188-193. 

  15.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2008.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Korea. p 62-66. 

  16. Oh YA, Kim SD, Kim KH. 1997. Changes of sugars,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content during fermentation of pine needle added Kimchi . J Food Sci Technol 9: 45-50. 

  17. Ahn BH. 1996. A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8. Food Code. 2002.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Korea. p 194. 

  19. Jeong YJ, Kim HI, Whang K, Lee OS, Park NY. 2002. Effects of pectinase treatment on alcohol fermentation of persimm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78-582. 

  20. Food Additive Code. 1989.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Korea. p 3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