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추출처리 방법별 스테비아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스테비아 추출물은 열수(HWE), 발효(FHWE) 및 감압(VE)추출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추출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FRAP) 및 지방산화 억제능을 통하여 알아본 항산화능의 평가는 감압처리되어 추출된 스테비아 추출물(VE)의 경우 그 활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3가지 추출물 모두, 동일 농도에서 stevia의 주요한 활성성분인 stevioside와 rebaudioside보다 항산화활성이 월등히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항산화능의 증가에 관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phenolic compounds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감압(VE)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감압(VE) 처리 방법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스테비아 추출물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처리공정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extracts from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ves. Stevia extracts were prepar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hot water extraction (HWE) at $120^{\circ}C$ for 4 hr, vacuum extraction (VE) at $65^{\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자연계의 성분은 추출공정에 따라 기능성이 변하기 때문에, 스테비아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최적의 추출공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수추출, 열수추출 후 발효 및 감압추출의 서로 다른 과정을 통해 얻어진 스테비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하여 최적의 스테비아 추출 조건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추출처리 방법별 스테비아 추출물의 항산화능 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은 무엇에 원인이 되는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산소에서 유래된 것으로 안정한 분자 상태인 triplet oxygen(3O2)이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 화학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된다(1-4). 이러한 활성산소는 세포 생체막의 구성물 질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써 생체기능을 저하시키고 동시에 노화 및 성인 질병 질환을 유발한다(5-7).
감압(VE) 처리 방법이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스테비아 추출물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처리공정이라 사료되는 근거는? 스테비아 추출물은 열수 (HWE), 발효(FHWE) 및 감압(VE)추출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추출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FRAP) 및 지방산화 억제능을 통하여 알아본 항산화능의 평가는 감압 처리되어 추출된 스테비아 추출물(VE)의 경우 그 활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3가지 추출물 모두, 동일 농도에서 stevia의 주요한 활성성분인 stevioside와 rebaudioside보다 항산화활성이 월등히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항산화능의 증가에 관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phenolic compounds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감압(VE)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감압(VE) 처리 방법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스테비아 추출물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처리공정이라 사료된다.
활성산소종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산소에서 유래된 것으로 안정한 분자 상태인 triplet oxygen(3O2)이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 화학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된다(1-4). 이러한 활성산소는 세포 생체막의 구성물 질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써 생체기능을 저하시키고 동시에 노화 및 성인 질병 질환을 유발한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Fridov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0. 

  2. Bodaness RS, Chan PC. 1977. Singlet oxygen as a mediator in the hematoporphyrin-catalyzed photooxidation of NADPH to NADP+ in deuterium oxide. J Biol Chem 252: 8554-8560. 

  3. Aust SD, Morehouse LA, Thomas CE. 1985. Role of metals in oxygen radical reactions. J Free Radic Biol Med 1: 3-25. 

  4. Trush MA, Mimnaugh EG, Gram TE. 1982. Activation of pharmacologic agents to radical intermediate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free radicals in drug action and toxicity. Biochem Pharmacol 31: 3335-3346. 

  5. Halliwell B, Gutteridge JMC, Cross C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J Lab Clin Med 119: 598-620. 

  6.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 526-533. 

  7. Yang JH, Kim DK, Yun MY, An JK. 2006.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rapeutic effect of the hydrogel preparations of Scutellariae Radix and Zingiberis Rhizoma on dermatitis. J Korean Pharm Sci 36: 253-262. 

  8.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83-288. 

  9. Hanson JR, De Oliverira BH. 1993. Stevioside and related sweet diterpenoid glycosides. Nat Prod Prp 10: 301-309. 

  10. Kim HI, Lee BM. 1996. Stevioside, a natural sweetener. J Food Hyg Safety 11: 323-327. 

  11. Yamamoto N, Mizue S, Sano K, Takano N, Miyamoto A, Ueno Y, Kudo K, Mochizuki S. 2001. Characterization of food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herbs cultivated in Oita. Report 36, Oita, Japan. p 144-149. 

  12. 이주운. 2008 차 문화 산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 1th 세계 차 학술대회. 컨벤션센터, 서울, 한국. p 85-93. 

  13. Tadhani MB, Patela VH, Subhash R. 2007.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Stevia rebaudiana leaves and callus. J Food Comp Anal 20: 32-329. 

  14. 정일환, 조윤길, 이은미, 이재홍, 기희진, 김수희, 황이남. 2007. 락토바실러스속균의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한 균의 생산방법. Korean Patent 10-0745654.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7. Gao X, Bjork L, Trajkovski V, Uggla M.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hip 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test system. J Sci Food Agric 80: 2021-2027. 

  18. Flurkey WH. 1991. Identification of tyrosinase in mushrooms by isoelectric focusing. J Food Sci 55: 93-95. 

  19. Park SI, Jung DW. 2005.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growth inhibition of oral bacteria in yoghurt. Korean J Soc Food Sci Ani Resour 4: 500-506. 

  20.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21. Moon GS, Ryu BM, Lee MJ. 2003.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uchu (Chinese chiv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3-498. 

  22.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In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241-251. 

  23. Holasova M, Fiedlerova V, Smrcinova H, Orsak M, Lachman J, Vavreinova S. 2002. Buckwheat 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Food Res Int 35: 207-211. 

  24. Brewer MS, Ikins WG, Harbers CA.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f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s of packaging. J Food Sci 57: 558-563. 

  25. Shin SE, Kim AK. 2004. Effect of dried powders or ethanol extracts of garlic flesh and peel on antioxidantive capacity in 16-month-old rat. Korean J Nutr 37: 633-644. 

  26.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27. Kim NY, Kim YK, Bae KJ, Choi JH, Moon JH, Park GH, Oh DH. 2005.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55-758. 

  28. Cho CH, Kim S, Yoo G, Son MH, Park K, Lim BL, Kim DC, Chae HJ. 2008. Resveratrol extraction from grape fruit stem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11-16. 

  29. Yoda SK, Marques MOM, Petenate AJ, Meireles MAA. 2003.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from Stevia rebaudiana Bertoni using $CO_2$ and $CO_2$ +water: extraction kinetics and identification of extracted components. J Food Eng 57: 125-1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