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화학양론적 Na+β-alumina를 위한 Mg 원자의 치환: 제일원리 계산
Mg Atom Substitution for Nonstoichiometric Na+ β-Alumina: A First Principles Study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0 no.2, 2010년, pp.55 - 59  

김대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대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정용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서화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  김영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 ion conductivity can be improved by the substitution of an Mg atom for an Al atom to form a nonstoichiometric $Na^+$ $\beta$-alumina. We performed a first principles study to investigate the most stable substitution site of an Mg atom and the resulting stru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화학양론적 Na+ β-alumina에서 추가된 Na 원자에 대한 전하 보상으로 spinel 블럭에 위치한 Al 원자를 Mg 원자로 치환했을 때, 구조의 변화와 가장 안정한 치환 위치를 제일원리 계산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반면, 비화학양론적 Na+ β-alumina인 경우, 추가된 Na 원자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자리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되기 때문에, Na 원자의 이동은 쉽게 일어날 수 있다.5) 전기적 중성도 (charge neutrality)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추가된 Na 원자에 대한 전하를 보상해야 한다. Na+ β-alumina에서 전하의 보상은 전도층에 침입형으로 추가된 O 원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침입형 O 원자는 Na 원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평균 Na+ 이온 전도도가 낮아졌다.
  • 비화학양론적 Na+ β-alumina 2 × 2 × 1 초격자구조에서는 2개의 Al 원자가 Mg 원자로 치환되어야 하는데, 이 2개의 Mg 원자는 각기 다른 spinel 블럭으로 나누어져서 치환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a (sodium) 이온 전도체가 자동차 또는 인공위성의 배터리에 적절한 이유는 무엇인가? )사는 합작으로 Na/S 배터리를 생산하여 일본 미우라 (Miura), 후타마타(Futamata) 풍력발전소 등에 공급하고 있다.1) Na (sodium) 이온 전도체는 낮은 온도에서도 동작하기 때문에 자동차 또는 인공위성을 위한 높은 전력 밀도를 가지는 배터리에도 적합하다. 가장 성공적인 Na 이온 전도체는 1967년에 Ford 사의 Yao와 Kummer가 제안한 β-alumina이다.
재생가능 에너지의 중요성과 비중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기후변화 문제와 화석연료의 고갈 등으로 재생가능 에너지(renewable energy)의 중요성과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태양열, 풍력, 조력과 같은 재생가능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에너지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효과적인 에너지 저장 방법이 필요하다.
재생가능 에너지가 주목받고있는 사례로는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태양열, 풍력, 조력과 같은 재생가능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에너지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효과적인 에너지 저장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1980~90년도에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었던 Na/S(sodium/sulfur) 배터리는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고, 현재 일본 TEPCO (Tokyo Electric Power Co.)과 NGK (NGK Insulators Ltd.)사는 합작으로 Na/S 배터리를 생산하여 일본 미우라 (Miura), 후타마타(Futamata) 풍력발전소 등에 공급하고 있다.1) Na (sodium) 이온 전도체는 낮은 온도에서도 동작하기 때문에 자동차 또는 인공위성을 위한 높은 전력 밀도를 가지는 배터리에도 적합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 B. Kim, H. Y. Ahn and H. Y. Hur, Kor. J. Mater. Res., 16(3), 193 (2006). 

  2. Y. Yao and J. Kummer, J. Inorg. Nucl. Chem., 29(9), 2453 (1967). 

  3. X. Hayes, L. Holden and B. Tofield, Solid State Ionics, 1(5-6), 373 (1980). 

  4. H. Sato and R. Kikuchi, J. Chem. Phys., 55(2), 677 (1971). 

  5. W. Roth, Trans. Am. Cryst. Assoc., 11(1), 51 (1975). 

  6. M. Zendejas and J. Thomas, Physica Scripta, T33(1), 235 (1990). 

  7. M. Zendejas and J. Thomas, Physica Scripta, 47(3), 440 (1993). 

  8. G. K. Edstrom, J. Thomas and Farrington, Acta Cryst. B, 47(2), 210 (1991). 

  9. S. Allen, A. Cooper, F. DeRosa, J. Remeika and S. Ulasi, Phys. Rev. B, 17(10), 4031 (1978). 

  10. D. McWhan, P. Dernier, C. Vettier, A. Cooper and J. Remeika, Phys. Rev. B, 17(10), 4043 (1978). 

  11. G. Mariotto, E. Cazzanelli and E. Zanghellini, Solid State Ionics, 57(1-2), 21 (1992). 

  12. B. Hafskjold and X. Li, J. Phys. Condens. Matter, 7(15), 2949 (1995). 

  13. M. Alden, Solid State ionics, 20(1), 17 (1986). 

  14. T. Mathews, R. Subasri and O. Sreedharan, Solid State Ionics, 148(1-2), 135 (2002). 

  15. G. Kresse and J. Hafner, Phys. Rev. B, 47(1), 558 (1993). 

  16. G. Kresse and J. Furthuller, Comput. Mat. Sci., 6(1), 15 (1996). 

  17. G. Kresse and J. Furthuller, Phys. Rev. B, 54(16), 11169 (1996). 

  18. G. Kresse and D. Joubert, Phys. Rev. B, 59(3), 1758 (1999). 

  19. D. Vanderbilt, Phys. Rev. B, 41(11), 7892 (1990). 

  20. D. M. Wood and A. Zunger, J. Phys. A, 18(9), 1343 (1985). 

  21. P. Pulay, Chem. Phys. Lett., 73(2), 393 (1980). 

  22. S. Hendricks and L. Pauling, Z. Kristallogr., 64(3), 303 (1926). 

  23. J. Walker and C. Catlow, J. Phys. C Solid State Phys., 15(30), 6151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