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 분지 연일층군(마이오세)의 두호층에서 산출된 Albizia miokalkora Hu and Chaney
Albizia miokalkora Hu and Chaney from the Duho Formation of Yeonil Group (Miocene) in the Pohang Basi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7, 2010년, pp.691 - 697  

김종헌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북도 포항시 북부해수욕장 부근 일대에 분포하는 마이오세의 두호층에서 산출된 3개의 꼬투리 화석을 Albizia miokalkora Hu and Chaney로 동정하였다. 이 화석은 현재까지 한국, 중국, 일본의 제 3기 마이오세 식물군에서 유일하게 산출되고 있고, 난온대에서 아열대-열대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나지만 종의 다양성은 매우 낮았다고 생각된다. 화석 Albizia miokalkora Hu and Chaney는 난온대와 아열대-열대 기후와 같은 따뜻한 기후에 적응한 식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legume fossils collected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of Yeonil Group in the northern Pohang Beach, Gyeongsangbug-do, Korea were described as Albizia miokalkora Hu and Chaney. This species has only appearing in the Miocene floras of Korea, China and Japan until present. It has wide distri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포항 지역의 조사에서 3개의 꼬투리 화석이 새로이 발견되었다. 여기에서는 새로이 발견된 화석에 기초하여 기재를 하고 고식물학적 의미에 대해서 고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귀나무속(Albizia)의 화석이 매우 귀중하다고 평가되고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자귀나무속(Albizia)의 화석은 동아시아에서 매우 희귀한 화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생과 화석의 유연 관계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고식물 지리구 및 고기후의 추정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하다(김종헌 외, 2009). 동아시아의 제3기 식물군에서 자귀나무속의 화석은 잎이나 꼬투리가 주요한 연구 대상이며, 이들은 주로 중국과 일본에서 보고되어 있지만(Hu and Chaney, 1940; Hayashi, 1975; Tao et al.
포항 퇴적분지는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포항 퇴적분지는 경북 영일군의 동부 지역에 위치하며 영일만을 중심으로 대략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분포하고 남한에 분포하는 제3기 퇴적분지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포항분지의 지질은 백악기 경상누층군의 퇴적암류 및 화성암류와 이들을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제3기의 해성층이 발달해 있다(윤선, 1998).
운남의 여러 지역에 분포하는 Albizia를 비롯한 A. juligreissin Durazzini와 A. bracteata Dunn.의 3종의 종의 수는 산동, 포항이나 일본의 이키도보다 운남 지역에서 약간 더 많은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의 3종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종의 수는 산동, 포항이나 일본의 이키도보다 약간 많다. 이것으로 보아 화석 Albizia는 따뜻한 기후에 적응한 식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Ya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봉균, 윤선, 1982, 신생대층. 김옥준교수 정년퇴임기념 편집위원회,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대림문화정판사, 서울, 133-154. 

  2. 김종헌, 이성복, 안지민, 이혜인, 홍한솔, 2009, 포항 분지의 마이오세 연일층군의 두 호층에서 산출된 Albizia의 열매 화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 10-18. 

  3. 림경호, 장춘빈, 권정림, 리혜원, 리현수, 김창건, 박정남, 1994, 조선의 화석. 과학기술출판사, 평양, 223 p., pls. 1-96. 

  4. 엄상호, 이동우, 박봉순, 1964, 포항도폭설명서(1:50,000). 국립지질조사소, 서울, 1-21 (in Korean), 1-10 (in English). 

  5. 윤선, 1998, 신생대층, 제3기층. 이종혁, 원종관, 김정환, 이창진(편집),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서울, 274-306. 

  6. 이창복, 2006, 대한식물도감(상). 향문사, 서울, 914 p. 

  7. 전희영, 1982, 포항분지에 분포하는 제3기층군의 고식물군연구. 한국동력자원 연구소 조사연구보고 14, 7-23. 

  8. 정철환, 최덕근, 1993, 포항지역 연일층군(마이오세)에서 산출된 포자화분 화석군의 고기후적 의미. 한국고생물학회지, 9, 143-154. 

  9. Ablaev, A.G., Sin, E.U., Vassiliev, I.G., and Lu, Z.M., 1993, Miocene of the North Korea and the South Primorye (beds with Engelhardia). Feb Ran, 1-140. (in Russian) 

  10. Beijing Institute of Botany and Nanjing Institute of Geology and Palaeontology of Chinese Academy Sinica, 1978, Cenozoic plants from China. Fossil plants of China (3), Science Press, Beijing, China, 232 p., 149 pls. (in Chinese) 

  11. Chen, M.H., Kong, Z.C., and Chen, Y., 1983, On the discovery of Palaeogene flora from the western Sichuan Plateau and its significance in phytogeography. Acta Botanica Sinica, 25, 482-491, pls. 1-2. 

  12. Hayashi, T., 1975, Fossils from Chojabaru, Iki Island, Japan. Science Institute of Island, Iki, Japan, 120 p. (in Japanese) 

  13. Hu, H.H. and Chaney, R.W., 1940, Part 1. Instruction and systematic considerations. In Hu, H.H. and Chaney, R.W. (eds.), A Miocene flora from Shantung Province, China.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Publication, 507, 1-84, pls. 1-50. 

  14. Huzioka, K., 1972, The Tertiary of Korea. Journal of the Mining College Akita University, Japan, Series A, 5, 1-83, pls. 1-14. 

  15. Inoue, H., Iwaki, K., Kashiwaya, H., Iwamura, M., Horita, M., Miura, M., and Yamakishi, T., 1984, Foundation of phylogenetic classification. Hokuryukwan, Tokyo, Japan, 389 p. (in Japanese) 

  16. Jeong, E.K., 2009, The comparison of the Miocene fossil wood floras between Korea and Japan.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Tohoku University, Sendai, Japan, 130 p. 

  17. Jeong E.K., Kim, K., Kim, J.H., and Suzuki, M., 2004, Fossil woods from Janggi Group (Early Miocene) in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Plant Research, 117, 183-189. 

  18. Kanehara, K., 1936, The geology of the northern part of Yeonil-gun, Kyeongsangbuk-do,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Japan, 43, 73-103. (in Japanese) 

  19. Kim, B.K., 1984, Cenozoic biostratigraphy of South Kor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46, 85-96. 

  20. Kim, B.K., 1987, Cenozoic Erathem. In Lee, D.S. (ed.), Geology of Korea. Geological Society of Korea, Seoul, Korea, 202-221. 

  21. Kim, J.H., 2005, Fossil Albizia legume (Mimosaceae)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of the Yeonil Group in the Pohang ar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166-171. 

  22. Lim, J.D., Jeong, E.K., Kim, K., Paik, I.S., and Kim, H.M., 2010, Miocene woods of the Janggi Basin in Korea: Implications for paleofloral changes. Geosciences Journal, 14, 11-22. 

  23. Onoe, T., 1971, A Pleistocene flora Ebino City, Miyazaki Prefecture, Japan. Bulletin of Geological Survey of Japan, 241, 1-46, pls. 1-12. (in Japanese) 

  24. Saiki, H. and Harada, H., 1985, Broad-leaved woods. In Harada, H. and Haraguchi, H. (eds.), Structure of woods, 49-124. (in Japanese) 

  25. Song, Z.C., Li, H.M., Zheng, Y.H., and Liu, G.W., 1983, Miocene Phytogeographic Province of China. In Edtorial Comittee of the Memories of the Basic Principle of the Paleontology (ed.), Paleobigeographic Provinces of China. Science Press, Beijing, China, 178-184. (in Chinese) 

  26. Sun, G., Collinson, M.E., Li, C.S., Wang, Y.F., and Beerling, D.J., 2001, Quantitative reconstruction of palaeoclimate from the Middle Miocene Shangwang flora, eastern Chin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80, 315-329. 

  27. Tanai, T., 1978, Angiosperm. In Huzioka, K. (ed.), Paleontology, IV, Asakura Shoten, Tokyo, Japan, 313-383. (in Japanes) 

  28. Tanai, T., 1988, Dajima-type floras (Miocene) in Southwestern Hokkaido and northern Part of Honshu,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Series C, 15, 121-149. 

  29. Tanai, T., 1991, Tertiary climatic and vegetational chang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Journal of Geography, 100, 951-966. (in Japanese) 

  30. Tao, J.R., Zhou, Z.K., and Liu, Y.S., 2000, The Evolution of the Late Cretaceous-Cenozoic Floras in China. Science Press, Beijing, China, 282 p. (in Chinese) 

  31. Tateiwa, U., 1924,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unnichi, Kyuryuho and Choyo sheets and explanatory text. Geological Survey of Chosen (Korea), 6 p. 

  32. Yao, Y.F., Bruch, A.A., Mosbrugger, V., and Li, C.S., 2010, Quantitative reconstruction of Miocene climate patterns and evolution in southern China based on plant fossil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95, (in press). 

  33. Yi, S. and Yun, S., 1995, Miocene calcareous nannoplankton from the Pohang Basin, Korea. Palaeontographica B, 237, 113-158. 

  34. Yoon, S., 1975,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1. Geolog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 187-214. 

  35. Yun, H., 1986, Emende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 in the Pohang Basin, Part 1. Journal of Pala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 54-69. 

  36. Zhang, J. and Wang, Q., 2010, Further observations on the pod fossils of Wisteria (Leguminosae) from the Middle Miocene Shangwang Formation of Linqu, Shangdong Province. Acta Palaeontologica Sinica, 49, 87-95.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37. http//en.wikipedia.org/wiki/Albizia (검색일: 2010.8.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