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 분지 장기층군의 하부 및 상부 함탄층(마이오세)의 화석목재에 나타난 고환경 요인
Paleoenvironmental Factor on the Fossil Woods from the Lower and Upper Coal-bearing Formations of the Janggi Group (Miocene)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6, 2010년, pp.573 - 583  

박노태 (서대전고등학교) ,  김종헌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항 분지 제3기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고식물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부 함탄층의 화석목재는 Ulmus sp., Prunus sp., and Acer sp.의 3속 3종으로, 상부 함탄층의 화석목재는 Taxodioxylon sp.와 Fagus hondoensis (Watari) Watari의 2속 2종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연구에 사용한 표본은 조직의 보존성이 좋지 않아서 종의 동정까지는 어렵지만, 이들은 모두 한국 마이오세 화석목재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들이다. 하부 및 상부 함탄층에서 채집한 화석목재의 나이테를 분석하여 얻어진 평균민감도 값은 0.367과 0.370로 비슷하지만, 이들은 0.30보다는 약간 높다. 현재의 두 그룹의 자료만으로 판단하면, 뿌리에 대한 물의 공급은 계절적인 강수량의 변화에 의해 매년 어느 정도 제한을 받았거나 물 공급에 있어 다양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aleobotanical study of the fossil woods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Tertiary Janggi Group, Pohang Basin. Three species belonging to three genera of Ulmus sp., Prunus sp., and Acer sp. were identified from the Lower Coalbearing Formation, and two species of two genera of Taxodioxylon sp. and F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포항 분지에 분포하는 장기층군의 하부 및 상부 함탄층에서 채집한 화석목재의 특징을 기재하고, 이들의 횡단면에 나타나는 나이테 분석을 통해 나무가 성장하던 당시의 고환경 요인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Radial section showing tracheids, ray parenchyma and cross-field pits. 3: Tangential section showing uniseriate rays. 4-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3기 마이오세의 퇴적암의 구분은? 포항 분지에 분포하는 제3기 마이오세의 퇴적암은 하부의 장기층군과 상부의 연일층군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육성기원의 퇴적층이고 후자는 해성기원의 퇴적층으로 알려져 있다(윤선, 1998).
화석목재에 나타나는 나이테는 무엇과 관계가 있는가? 포항 지역에서 많이 산출되는 화석잎과 화석목재에 대한 연구는 한반도 마이오세의 고식물상과 고환경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화석목재에 나타나는 나이테는 고기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화석목재는 목재가 퇴적물 속에 묻혀있는 동안 받게 되는 화석화 과정에서 물속에 용해되어 있던 여러 종류의 무기물들이 목재의 세포를 치환하거나 세포의 내강 또는 간극에 침전되어 고화된 것이다(e.
하부의 장기층군과 상부의 연일층군은 무엇으로 알려져 있는가? 포항 분지에 분포하는 제3기 마이오세의 퇴적암은 하부의 장기층군과 상부의 연일층군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육성기원의 퇴적층이고 후자는 해성기원의 퇴적층으로 알려져 있다(윤선, 1998). 장기층군과 연일 층군에서 화석목재를 비롯한 식물화석이 많이 산출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는 극히 미미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고강식, 1997, 유관속식물분류학. 세문사, 서울, 648 p. 

  2. 김경식, 정은경, 김종헌, 2004, 목재화석. 이광춘, 이성주, 최덕근, 이종덕, 윤혜수, 이융남(편집), 한국 고생물. 한국고생물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한국고생물학회, 399-429. 

  3. 김경식, 정은경, 선병윤, 이재동, 2008, 포항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미기록 화석목재. 고생물학회지, 24, 135-137. 

  4. 김우갑, 박홍덕, 정병갑, 1993, 식물형태.해부학. 아카데미 서적, 서울, 143-160. 

  5. 김종헌, 2008. 포항 분지의 제3기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규화목의 산출상태와 구성광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9, 531-538, 

  6. 김종헌, 이성복, 안지민, 이혜인, 홍한솔, 2009, 포항 분지의 마이오세 연일층군의 두호층에서 산출된 Albizia의 열매 화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 10-18. 

  7. 김종헌, 최성일, 2008, 포항분지의 마이오세 장기층군의 금광동층에서 산출된 메타세콰이아(Metasequoia) 화석에 대한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9, 319-327. 

  8. 박노태, 2010, 포항 분지 제3기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규화목 연구를 통한 고환경 해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p. 

  9. 윤 선, 1998, 신생대층. 이종혁, 원종관, 김정환, 이창진(편집), 한국의 지질, 대한지질학회, 서울, 274-321. 

  10. 전희영, 1982,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제3기층군의 고식물군 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조사연구보고, 제14호, 7 p. 

  11. Antevs, E., 1953, Tree rings and seasons in past geological eras. Tree ring Bulletin, 1953, 17-19. 

  12. Barefoot, A.C. and Hankins, F.W., 1982, Identification of modern and Tertiary woods. Oxford University Press, NY, USA, 189 p. 

  13. Basinger, J.F., 1981, The vegetative body of Metasequoia milleri from the Middle Eocene of Bro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Botany, 59, 2379-2410. 

  14. Chaloner, W.G. and Creber, G.T., 1973, Growth rings in fossil woods as evidence of past climate. In Tarling, D.H. and Runcorn, S.K. (eds.), Implications of continental drift to the earth sciences.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425-437. 

  15. Creber, G.T., 1977, Tree rings: A natural data-storage system. Biological Reviews, 52, 349-383. 

  16. Creber, G.T. and Chaloner, W.G., 1984,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wood structure of living and fossil trees. The Botanical Review, 50, 357-448. 

  17. Douglass, A.E., 1928, Climatic cycles and tree growth.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Publication 2, Washington, USA, 289 p. 

  18. Fritts. H.C., 1963, Computer Programs for Tree-Ring Research. Tree Ring Bulletin, 25, 2-7. 

  19. Fritts, H.C., 1966, Growth rings of trees: Their correlation with climate. Science, 154, 973-979. 

  20. Furst, O., 1963, Vergleichende Untersuchungen uber raumliche und zeitliche Unterscheide interannueller Jahrring-breitenschwankungen und ihre Auswertung. Flora, 153, 469-508. 

  21. Greguss, P., 1972, Xylotomy of the living Conifers. Akademiai Kiado, Budapest, Hungary, 172 p. 

  22. Henry, A.J., 1931, The calendar year as a time unit in drought statistics. Monthly Weather Review, 59, 150-154. 

  23. Huzioka, K., 1964, The Aniai type flora of Akita Prefecture, and the Aniai-type floras in Honshu, Japan. Journal of Mining College Akita University, Series A, 3, 1-105. 

  24. Huzioka, K., 1972, The Tertiary flora of Korea. Journal of Mining College Akita University, Series A, 5, 73-103. 

  25. Jeong, E.K., 2009, The comparison of the Miocene fossil wood floras between Korea and Japan.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Tohoku University, Sendai, Japan, 130 p. 

  26. Jeong, E.K., Kim, K., Kim, J.H., and Suzuki, M., 2003,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Tertiary fossil floras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genus Wataria. Geosciences Journal, 7, 157-161. 

  27. Jeong, E.K., Kim, K., Kim, J.H., and Suzuki, M., 2004, Fossil woods from Janggi Group (Early Miocene) in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Plant Research, 117, 183-189. 

  28. Jeong, E.K., Kim, K., Suzuki, M., and Kim, J.W., 2009, Foosil woods from the Lower Coal-beari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Early Miocene) in the Pohang Basin, Korea. Review of Paleobotany and Palynology, 153, 124-128. 

  29. Kim, B.K., Cheong, C.H., and Kim, S.J., 1975, Stratigraphic studies on the lignite-bearing strata distributed in the Yeongil district, North Gyeongsang-do,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 240-252. 

  30. Kim, J.H., 2005, Fossil Albizia legume (Mimosaceae)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of the Yeonil Group in the Pohang ar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166-171. 

  31. Kim, J.H., 2008, A new species of Acer samaras from the Miocene Yeonil Group in the Pohang Basin, Korea. Geosciences Journal, 12, 331-336. 

  32. Kim, K., Jeong, E.K., Huh, M., and Paik, I.S., 2002, Some coniferous woods from the Cretaceous of Korea. Geosciences Journal, 6, 131-140. 

  33. Krausel, R., 1949, Die fossilen Koniferen-Holzer. Palaeontographica B, 89, 83-203. 

  34. Lee, W.J., 1975, Discovery of the Miocene Kalopanax leaf from the Geumgwangdong Formation, Southeastern Korea. University Journal, Busan National University, Natural Science Series, 20, 47-52. 

  35. Lim, J.D., Jeong, E.K., Kim, K., Paik, I.S., and Kim, H.M., 2010, Miocene woods of the Janggi Basin in Korea: Implications for paleofloral changes. Geosciences Journal, 14, 11-22. 

  36. Richards, R.W., 1952, The Tropical rain for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bridge, England, 450 p. 

  37. Schulman, E., 1951, Definitive dendrochronologies: A progress report. Tree-Ring Bulletin, 18, 10-18. 

  38. Schulman, E., 1956, Dendroclimatic changes in semi-arid America. Tree-Ring Bulletin, 40, 59-63. 

  39. Seward, A.C., 1919, Fossil plants. Vol. IV. Cambridge University Press, England, Reprint, NY, Macmillan (Hafner Press), 1969, 543 p. 

  40. Stewart, W.L. and Rothwell, G.W., 1993, Paleobotany and the evolution of plants.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England, 521 p. 

  41. Tanai, T., 1990, Tertiary vegetational changes in East Asia.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of Museum, Tokyo, 7, 117-122. (in Japanese) 

  42. Tanai, T., 1991, Tertiary climatic and vegetational changes in the northern Hemisphers. Journal of Geography, 100, 951-966. (in Japanese) 

  43. Tateiwa, I., 1924,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unnichi, Kyuryuho and Choyo sheets. Geological Survey of Chosen (Korea), 1-6, 3 maps. 

  44. Taylor, T.N. and Taylor, E.L., 1993, Biology and evolution of fossil plants 4. Pretice Hall, NJ, USA, 982 p. 

  45. Unger, D.F., 1847, Uber den Grund der Bildung der Jahreslagen dicotyler Holzpfanzen. Botanical Zeitschr, 5, 265-272. 

  46. Vaudois, N. and Prive, C., 1971, Revision des bois fossiles de Cupressaceae. Palaeontographica B, 134, 61-86. 

  47. Watari, S., 1941, Studies on the fossil woods from the Tertiary of Japan II. Fossil woods from the River Nesori, Namiuti village, and the River Hiranuka, Kozuya village, Ninohe district, Iwate Prefecture. Japanese Journal of Botany, 11, 417-438. 

  48. Watari, S., 1952, Dicotyledonous woods from the Miocene along the Japan Sea side of Honshu.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III, 6, 97-134. 

  49. Yun, H., 1986, Emende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 in the Pohang Basin, part 1. Journal of Pala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 54-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