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모델에서의 Theanine의 간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Theanine on the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350 - 355  

우정부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선오 (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원) ,  성태종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최성길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조성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최철웅 (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세트아니모펜(APAP)으로 유도된 간독성 모델에 미치는 theanine의 간 보호 작용에 대하여 간 기능 지표효소의 활성 측정, 항산화 및 GSH량 측정, 조직학적 변화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Theanine은 그 자체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과량 투여된 APAP에 의해 발생하는 간조직의 지질과산화의 감소와 GSH가 회복되는 것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질과산화와 GSH의 감소로 인해 발생한 간세포의 손상이 theanine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을 간수치 검사와 간조직 검사를 통해 최종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간보호에 효과를 보이는 녹차의 카테킨이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녹차의 theanine도 간 보호작용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 아미노산 성분인 theanine을 강화시킨 기능성 녹차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anine on acetaminophen (APAP)-induced hepatotoxicity were investigated in vivo and in vitro. The effects of theanine on liver toxicity induced by APAP were assessed by blood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analyses. APAP treatment (400 mg/kg) caused severe liv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자공여 작용은 활성 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여 연쇄반응을 중단시키고 식품 내 지질산화억제나 인체 내에서의 노화를 억제하는 작용의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환원성 물질의 분석시약으로 안정한 free radical인 DPPH를 이용하여, theanine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으며,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쥐 뇌의 지질을 이용한 지질과산화를 측정하였다. 수행 결과 DPPH의 실험에서 theanine의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실험의 최고 처리농도인 200μg/mL에서는 Vit.
  • 본 연구 결과 theanine을 200 mg/kg의 용량으로 3일간 전 투여하였을 때 가장 강한 간 보호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2). 이러한 결과로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는 theanine이 APAP 간 손상 실험모델에서 간 손상 수치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간 손상 억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APAP로 유도한 간 손상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theanine이 산화적 자극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 기호식품 녹차의 간 보호 기능성을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은 어떤 장기인가? 간은 영양소 및 물질 대사와 해독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알려진 간 손상 유도 물질에는 알코올, 지질과산화, 식품 중의 toxin과 항생물질, 화학 요법제, 중추신경계용 약물, 순환기계용 약물과 같은 간독성 약물 등이 있다.
1949년 화학구조가 밝혀진 이래로 theanine의 특성은? 녹차 3∼4컵에는 theanine이 100~200 mg 함유되어 있고, 녹차의 단맛을 내는 성분이다(6). 1949년 화학구조가 밝혀진 이래로(7) theanine은 caffeine과 catechins 의 전구체로써 중추 신경계 보호 및 신경세포 성장 촉진 인자이며(8-10), 신경안정 및 혈압을 낮추어 정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그러나 아직까지 theanine 의 APAP 독성에 대한 간 보호 작용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간독성 약물 중 APAP를 과량 투여 시 나타나는 결과는? APAP는 acetanilide 및 phenacetine의 주요 대사물로서 1800년대 후반기에 합성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 도입된 이후 아스피린을 대용하는 즉, 위장 출혈을 일으키지 않는 해열 및 진통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13). 한편, APAP는 상용량(4 g/day 이하, 성인기준)에서는 안전하지만, 과량 투여 시(6 g/day 이상, 성인기준) 사람과 동물에서 간의 글루타치온(GSH) 함량을 감소시켜 치명적인 간과 신장괴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9). 사람에서는 APAP를 250 mg/kg 이상 복용 하였을 경우 간조직의 50% 정도가 손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0). 제기되고 있는 APAP의 간 손상 기전은 두 가지 이론이 있다(21,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HK. 2004.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nutraceuticals. 

  2. Shim CK. 2004. Implementation and policy direction of the Korean health functional food law and its regulations. Food Sci Ind 37: 37-40. 

  3. Goto T, Yoshida Y, Amano I, Horie H. 1996. Simultaneous analysis of individual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Foods & Food Ingred J Jpn 170: 46-51. 

  4. Graham HN. 1992.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 Med 21: 334-350. 

  5. Hasegawa R, Chujo T. 1995. Preventive effects of green tea against liver oxidative DNA damage and hepatotoxicity in rate treated with 2-nitropane. Food Chem Toxicol 33: 961-970. 

  6. Ashihara H, Sano H, Crozier A. 2008. Caffeine and related purine alkaloids: biosynthesis, catabolism, function and genetic engineering. Phytochemistry 69: 841-856. 

  7. Friedman M, Mackey BE, Kim HJ, Lee IS, Lee KR, Lee SU, Kozukue E, Kozukue N. 2007.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tea compounds against human cancer cells. J Agric Food Chem 24: 243-253. 

  8. Casimir J, Jadot J, Renard M. 1960.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ethyl- $\gamma$ -glutamine from Xerocomus badius. Biochim Biophys Acta 39: 462-468. 

  9. Crozier A, Yokota T, Jaganath IB, Marks SC, Saltmarsh M, Clifford MN. 2006. Secondary metabolites in fruits, vegetables, beverages and other plant-based dietary components. In Plant Secondary Metabolites. Blackwell, Oxford, England. Chapter 7, p 208-302. 

  10. Sakato A. 1949.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ea. III. A new amide theanine. Nippon Nogeikagaku Kaishi 23: 262-267. 

  11. Pacheco GS, Panatto JP, Fagundes DA, Scaini G, Bassani 

  12. Guengerich FP, Kim DH, Iwasaki M. 1991. Role of human cytochrome P-450 IIEL in the oxidation of many low molecular weight cancer suspects. Chem Res Toxicol 4: 

  13. Imaeda AB, Watanabe A, Sohail MA, Mahmood S, 

  14. Lee WM. 2004. Acetaminophen and the US Acute Liver Failure Study Group: lowering the risks of hepatic failure. 

  15. Laine JE, Auriola S, Pasanen M, Juvonen RO. 2009. 

  16. Fischer LJ, Green MD, Harman AW. 1986. Levels of acetaminophen and its metabolites in mouse tissue after a toxic dose. J Pharmacol EXP Ther 219: 281-286. 

  17. Sun J, Schnackenberg LK, Beger RD. 2009. Studies of acetaminophen and metabolites in urine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oxicity using metabolomics. Drug Metab Lett 3: 

  18. Marchetti A, Rossiter R. 2009. Managing acute acetaminophen poisoning with oral versus intravenous N-acetylcysteine: a provider-perspective cost analysis. J Med Econ 12: 384-391. 

  19. Clissold SP. 1986. Pracetamol and phenacetin. Drugs 4: 

  20. Hinson JA, Roberts DW, James LP. 2010. Mechanisms of acetaminophen-induced liver necrosis. Handb Exp Pharmacol 

  21. Jaeschke H, Bajt ML. 2006. Intracellular signaling mechanisms of acetaminophen-induced liver cell death. Toxicol Sci 89: 31-41. 

  22. Schwabe RF, Uchinami H, Qian T, Bennett BL, Lemasters JJ, Brenner DA. 2004. Differential requirement for c-Jun NH2-terminal kinase in TNF $\alpha$ - and Fas-mediated apoptosis in hepatocytes. FASEB J 18: 720-722. 

  23. Matsuzaki T, Hata Y. 1985. Antioxidative activity of tea leaf catechins. Nippon Nogeikagaku Kaish 59: 129-134. 

  24. Wang EJ, Li Y, Lin M, Chen L, Stein A, Reuhl KR, Yang 

  25. Wu YL, Piao DM, Han XH, Nan JX. 2008. Protective effects of salidroside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toxicity in mice. Biol Pharm Bull 31: 1523-1529. 

  26. Yokozawa T, Dong E, Chung HY, Oura H, Nakagawa H. 

  27. Lee YS, Han OK, Jeon TW, Lee ES, Kim KJ, Park CW, Kim HJ. 2002. Effect of Astrahali radix extract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16: 707-713. 

  28. Lee KJ, You HJ, Park SJ, Chung YC, Jeong TC, Jeong HG. 

  29. Levine RL, Garland D, Oliver CN, Amici A, Climet I, Lenz 

  30. Sugiyama T, Sadzuka Y. 2004. Theanine, a specific glutamate derivative in green tea, reduces the adverse reactions of doxorubicin by changing the glutathione level. Cancer Lett 212: 177-184. 

  31. Yeung JH, Chiu LC, Ooi VE. 1994. Effect of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glutathion and protection against paracetamol-induced hepatotoxicity in the rat. Methods Find Exp Clin Pharmacol 16: 723-729. 

  32. Biaglow JE, Varnes ME, Roizen-Towle L, Clark EP, Epp ER, Astor MB, Hall EJ. 1986. Biochemistry of reduction of nitro heterocycles. Biochem Pharmacol 35: 77-90. 

  33. Vermeulen NPE, Bessems JGM, Van de Straat R. 1992. Molecular aspects of paracetamol-induced hepatotoxicty and its mechanism-based prevention. Drug Metab Rev 24: 367-407. 

  34. Cohen SD, Khairallah EA. 1997. Selective protein arylation and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ty. Prug Metab Rev 29: 59-101. 

  35. Lee KJ, You HJ, Park SJ, Kim YS, Chung YC, Jeong TC, Jeong HG. 2001. Hepatoprotective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in mice. Cancer Lett 174: 73-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