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잎 메탄올추출물의 마우스 경구투여에 의한 장관면역 활성
Activation of Intestinal Immune System by an Orally Administered Methanol Extract from Pine Needl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356 - 362  

윤진아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광원 (충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신선혁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홍연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결건조된 솔잎(Pinus densiflora needles)으로부터 냉수(PD-CW), 열수(PD-HW)와 메탄올추출물(PD-M)을 분획하여 in vitro에서 Peyer's patch를 경유한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PD-M 획분에서 유력한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MeOH 추출물을 균질화, 교반 또는 환류 등의 방법으로 조제하였을 때, 환류방법으로 조제된 MeOH 추출물에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은 장관면역 활성을 in vitro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솔잎으로부터 분획된 PD-M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고 Peyer's patch를 분리하여 ex vivo에서의 장관면역 활성도 관찰하였다. 다양한 농도로 1주일 동안 PD-M을 경구투여 한 결과, 1.0 g/kg of BW/day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한 C3H/He 마우스의 Peyer's patch로부터 얻은 세포배양 상등액에서 saline 대조군보다 2.5배의 높은 장관면역 활성을 보여주었다(p<0.05). 또한 다양한 농도로 경구투여 된 Peyer's patch 세포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측정한 IL-6 생산능은 1.0 g/kg of BW/day의 용량에서 1.13배로 증가하였으나 GM-CSF는 처리 용량에 따라 유의적인 값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PD-M의 경구투여가 Peyer's patch 세포로부터 GM-CSF와 IL-6 등의 조혈세포 증식인자의 분비를 촉진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러한 cytokine들이 골수세포 증식의 조절인자로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pine (Pinus densiflora) needles were fractionated into cold water (PD-CW), hot water (PD-HW) and methanol extract (PD-M), PD-M showed potent simulating activity (1.19-fold of the saline control) for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s mediated by Peyer's patch cells in vitro. MeOH extract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기능성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다양한 식물시료검색으로 선정된 솔잎으로부터, 섭취 후 Peyer's patch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계 및 조혈세포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소재를 찾기 위하여, 다양한 용매추출물로부터 활성 획분을 분리하고 이를 실험동물에 직접 경구투여 하여 활성을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in vitro실험에서 유의적(p<0.05)인 장관면역 활성을 보인 솔잎의 MeOH 획분도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가능성이 검토되어야 하기에 솔잎 MeOH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활성을 검토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막림프기관 종류 중 소화기관에 있는 장관 관련 림프상조직은 어디에 존재하며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 림프구와 항원간의 접촉과 림프구간의 상호작용이 용이하도록 조건과 환경을 제공하는 2차 림프조직계 중 점막림프기관(mucosa-associated lymphatic tissue, MALT)은 immune defense system에서 immunological barrier로서 중요한 생체 내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1). MALT 종류 중 소화기관에 위치하고 있는 장관 관련 림프상조직(gut-associated lymphatic tissue, GALT)은 생체 내에서 가장 큰 lymphoid tissue로 장관의 점막 부위에 존재하고 장관면역계 내 IgA response를 비롯하여 생체방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2). 특히, 넓은 표면적을 갖는 소화관 점막은 외부로부터 다양한 많은 양의 미생물, 이종 단백질 또는 화합물들과 끊임없이 접촉하고 감작된다고 볼 때, 면역조직으로서의 의의는 매우 높다.
솔잎은 무엇인가? 한편, 솔잎(pine needle)은 국내에 자생하는 상록침엽교목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잎으로 바늘과 닮았다고 해서 침엽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신선한 잎을 따서 그대로 쓰여 왔는데 괴혈병, 어린이 영양실조증, 피부질병, 공기정화제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하였으며 솔잎차를 만들어 신경통, 관절염, 팔다리마비, 동맥경화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기록이 전해져 오고 있다(12). 솔잎에는 비타민 C와 K, 카로틴,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탄닌 및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알칼로이드 성분은 들어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terpene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3).
솔잎에는 어떤 성분들이 들어있는가? 한편, 솔잎(pine needle)은 국내에 자생하는 상록침엽교목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잎으로 바늘과 닮았다고 해서 침엽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신선한 잎을 따서 그대로 쓰여 왔는데 괴혈병, 어린이 영양실조증, 피부질병, 공기정화제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하였으며 솔잎차를 만들어 신경통, 관절염, 팔다리마비, 동맥경화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기록이 전해져 오고 있다(12). 솔잎에는 비타민 C와 K, 카로틴,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탄닌 및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알칼로이드 성분은 들어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terpene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3). 최근 솔잎의 항당뇨 효과, 솔잎증류액의 암세포에 대한 in vitro 세포독성, 지질저하 및 항산화 효과와 항균효과 등 많은 연구들이 보고(14-16)되면서 솔잎은 다양한 약리활성을 가진 천연식물로 인정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unisawa J, Nochi T, Kiyono H. 2008. Immunological commonalities and distinctions between airway and digestive immunity. Trends Immunol 29: 505-513. 

  2. Mason KL, Huffnagle GB, Noverr MC, Kao JY. 2008. Overview of gut immunology. Adv Exp Med Biol 635: 1-14. 

  3. Mestecky J, Elson CO. 2008. Peyer's patches as the inductive site for IgA responses. J Immunol 180: 1293-1294. 

  4. David CW, Norman J, Hammon HM, Davis WC, Blum JW. 2003.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B- and T-lymphocytes in Peyer's patches of the ileum, in thymus and in lymph nodes of preterm calves, and in full-term claves at birth and on day 5 of life. J Dairy Sci 86: 3321-3329. 

  5. Onishi S, Yokoyama T, Chin K, Yuji M, Inamoto T, Qi WM, Warita K, Hoshi N, Kitagawa H. 2007.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and the fate of M cells in follicle-associated epithelium of rat Peyer's patch. J Vet Med Sci 69: 501-508. 

  6. Jang MH, Kweon MN, Iwatani K, Yamamoto M, Terahar 

  7. Corr SC, Gahan CC, Hill C. 2008. M-cells: origin, morphology and role in mucosal immunity and microbial pathogenesis. 

  8. Kwa SF, Beverley P, Smith AL. 2006. Peyer's patches are required for the induction of rapid Th1 responses in the gut and mesenteric lymph nodes during an enteric infection. J Immunol 176: 7533-7541. 

  9. Azzali G, Arcari ML, Caldara GF. 2008. The “mode” of lymphocyte extravasation through HEV of Peyer's patches and its role in normal homing and inflammation. Microvasc Res 75: 227-237. 

  10. Sung JY, Yoon TJ, Yu KW, Lee KH, Lee H. 2006. 

  11. Kiyohara H, Matsuzaki T, Matsumoto T, Nagai T, Yamada H. 2008. Elucidation of structures and functions through Peyer's patches of responsible carbohydrate chains in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polysaccharides from Japanese medicinal herbs. Yakugaku Zasshi 128: 709-716. 

  12. Moon KS. 2001. Chemical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medical herbs. Ilwol Co. Ltd., Seoul, Korea. p 115. 

  13. Wei FX, Li MY, Song YH, Li HZ. 2008. Apoptosis and activity changes of telomerase induced by essential oil from pine needles in HepG2 cell line. Zhong Yao Cai 31: 1197-1200. 

  14. Chung YJ, Bae MW, Chung JS, Chung MS. 2002. Cytotoxic effect of the distilled pine-needle extracts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691-695. 

  15. Park NH, Lee S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 and horseradish on the growth of vibrio. J 

  16. Kim YM, Jeong YK, Wang MH, Lee WY, Rhee HI. 2006. 

  17. Yu KW, Kiyohara H, Matsumoto T, Yang HC, Yamada H. 

  18. Page B, Page M, Noel C. 1993. A new fluorometric assay 

  19. Andoh A, Fujiyama Y, Kitoh K, Niwakawa M, Hodohara K, Bamba T, Hosoda S. 1993.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 enhances complement component C3 production by human monocytes/macrophages. Int J Hematol 57: 53-59. 

  20. Ha ES, Hwang SH, Shin KS, Yu KW, Lee KH, Choi JS, 

  21. Dong Q, Yao J, Fang JN, Ding K. 2007.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logical activity of two cold-water extractable polysaccharides from Cistanche deserticola Y. C. Ma. Carbohydr Res 342: 1343-1349. 

  22. Bafna AR, Mishra SH. 2006. Immunostimula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Curculigo orchioides on immunosuppressed mice. J Ethnopharmacol 104: 1-4. 

  23. Lee SH, Lillehoj HS, Cho SM, Chun HK, Park HJ, Lim CI, Lillehoj EP. 2009.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oriental plum (Prunus salicina Lindl.). Comp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32: 407-417. 

  24. Woo JH, Shin SL, Chang YD, Lee CH. 2009.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 flowers of Aster scaber, Aster maackii , Coreopsis lanceolata and Coreopsis tinctoria. Korean J Plant Res 22: 381-388. 

  25. Ju IO, Jung GT, Ryu J,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2-548. 

  26. Lai YH, D'Souza MJ. 2008. Microparticle transport in the human intestinal M cell model. J Drug Target 16: 36-42. 

  27. Koh JH, Yu KW, Suh HJ, Choi YM, Ahn TS. 2002. Activation of macrophages and the intestinal immune system by an orally administered decoction from cultured mycelia of Cordyceps sinensi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407-411. 

  28. Hong T, Matsumoto T, Kiyohara H, Yamada H. 1998. 

  29. Mosmann TR, Coffman RL. 1989. TH1 and TH2 cells: different patterns of lymphokine secretion lead to different functional properties. Annu Rev Immunol 7: 145-173. 

  30. Lotz M, Jirik F, Kabouridis P, Tsoukas C, Hirano T, Kishimoto T, Carson DA. 1988. B cell stimulating factor 2/interleukin 6 is a costimulant for human thymocytes and T lymphocytes. J Exp Med 167: 1253-12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