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소재 BF-7의 어린이 장.단기 기억력 향상 효과
The Improvement of Short- and Long-term Memory of Young Children by BF-7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376 - 382  

김도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옥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여주홍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잠사양봉소재과) ,  이광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잠사양봉소재과) ,  박금덕 ((주)서흥캅셀) ,  김대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정윤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경용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이원복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윤영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상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 ,  현주석 (중앙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BF-7이 어린이의 장기 및 단기 기억을 현저하게 촉진시킴을 보여주었다. 기존 임상 시험 결과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천연 소재인 BF-7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BF-7은 어린이 장기 및 단기 기억력, 기억유지도 및 기억의 효과적 활용 등 전반적인 기억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매우 안전하면서 효과가 탁월한 천연소재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shown that BF-7 enhances short- and long-term memory and attention in normal person. BF-7 was addressed to clinical study for children if BF-7 is also effective to children, since accumulated verification of safety and effectiveness is needed for young ages, in special. We administer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억개선과 관련된 약물에 대한 최근 연구는 치매 및 성인층의 기억력 감퇴를 막는 소재의 발굴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는 최근에 성인의 기억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천연 소재 물질인 Brain Factor-7(이하 BF-7)이 정상 어린이의 장기 및 단기 기억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기 및 단기 기억을 언어와 시각 기억의 회상 및 인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아동용 Rey-Kim 기억 검사를 사용하여 BF-7이 어린이의 기억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10,17). 기억 검사는 BF-7 투여 아동군과 위약 투여 아동군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 기억 검사는 BF-7 투여 아동군과 위약 투여 아동군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성인과 다양한 전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된 BF-7의 기억력 개선 효과에 근거해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의 장기 및 단기 기억력을 개선 및 향상시킬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기억의 특성은 무엇인가? 반면에, 장기기억은 학습과 같은 장기적 처리에 필요한 정보 저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저장되는 정보의 용량및 저장된 정보의 시간적 지속성이 무한대에 가까운 특성을 가진다(12). 장기기억의 형성 원리는 일반적으로 단기기억의 장기화 여부에 의존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장기 및 단기 기억의 정확성을 검사하는 방식은 무엇이 있는가? 장기 및 단기 기억의 정확성을 검사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16). 첫째는 재인(recognition) 과제이다. 재인 과제에서는, 정보가 기억에 저장된 후 인출 단계에 단서를 제시하고 기억된 내용과 단서가 일치하는지 아니면 불일치하는지를 묻게 된다. 둘째는 회상(recall) 과제로서 단서를 통한 재인보다는 기억된 내용을 단서 없이 직접 구술하거나 묘사하도록 지시하여 기억내용의 직접적인 인출 결과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회상 과제는 일반적으로 재인 과제보다는 능동적인 인출 과정을 요구하므로 과제 난이도가 높으며, 기억된 정보의 내용이 부정확할 경우 기억 인출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단기기억은 어떻게 과제 수행을 하는가? 정보의 저장(storage)을 담당하는 기억은 크게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STM)과 장기기억(long-term memory, LTM)으로 구분된다(11,12). 단기기억은 일상 인지적 과제와 관련된 일련의 처리 단계에서 기억 정보를 수시로 저장 또는 인출함(retrieval)으로써, 과제의 효율적 수행에 큰 도움이 된다. 주어진 과제의 작업적 수행(working performance)을 담당한다는 측면에서 단기기억은, 수동적인 정보처리 저장소의 역할보다는 능동적 정보의 저장 및 인출을 수행하는 관계로, 작업기억(working memory, WM)이라 명명되기도 하였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e HS, Kang YK, Shin YK, Lee HJ, Yu JI, Lee KG, Yeo 

  2. Lee SH, Kim YS, Kang YK, Kwon OS, Shin YK, Song JH, 

  3. Lee JY, Lee SH, Sung JJ, Kim ET, Cho HJ, Kim KH, Kang 

  4. Lee MY, Lee SH, Lee JS, Min KJ, Lee KG, Yeo JH, Kwon 

  5. Kim DK, Lee JY, Sung JJ, Kim ET, Kim YS, Kwon OS, 

  6. Seo SG, Kim HK. 2004.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schizophrenic patients. Korean J Psychol 23: 23-43. 

  7. Kim DH, Lee HJ, Choi G, Kim OH, Lee KG, Yeo JH, Lee 

  8. Kim DH, Lee HJ, Lee KG, Yeo JH, Lee JY, Youn YC, Paik 

  9. Kim HK. 1999. Rey-Kim memory test: manual. Neuropsychology Publishing Co., Daegu, Korea. p 215-230. 

  10. Kim HK. 2005.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manual. 

  11. Shiffrin RM. 1976. Capacity limitations in information processing, attention, and memory. In Handbook of learning and cognitive processes. Estes WK, ed. Erlbaum, Hillsdale, 

  12. Shiffrin RM, Atkinson RC. 1969. Storage and retrieval processes in long-term memory. Psychol Rev 76: 179-193. 

  13. Baddeley AD. 1986. Working memor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 34-62. 

  14. Squire LR. 1987. Memory and brai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 13-41. 

  15. Squire LR, Zola-Morgan S. 1991. The medial temporal lobe memory system. Science 253: 1380-1386. 

  16. Calkins MW. 1898. A study of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of the concrete and of the verbal. Psychol Rev 5: 451-456. 

  17. Kim HK. 2005. Kims EXIT (Executive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 manual. Neuropsychology Publishing Co., Daegu, Korea. p 70-83. 

  18. Yeo JH, Lee KG, Kweon HY, Woo SO, Ham SM, Lee YW, 

  19. Rey A. 1941. L'examen psychologique dans les cas d'encephalopathie tarumatique. Archives de Psychologie 28: 286-340. 

  20. Rey A. 1964. L'examen clinique en psychologie. Press Universitaire de France Press, Paris, France. p 212-270. 

  21. Caselli RJ, Reiman EM, Hentz JG, Osborne D, Alexander GE, Boeve BF. 2002. A distinctive interaction between memory and chronic daytime somnolence in anymptomatic APOE e4 homozygotes. Sleep 25: 437-4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