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벼 품종(삼광벼, 설갱벼, 큰눈벼, 화선찰벼, 홍진주벼, 흑광벼, 일품벼, 하이아미 및 녹미)의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항산화활성을 비교.분석하여 쌀의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품종별 현미와 백미의 항산화 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tocopherol, tocotrienol 및 $\gamma$-oryzanol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radical 제거능 및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각 품종의 현미와 백미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98~3.80%와 0.44~1.28%의 추출 수율을 보였으며, 실험결과 현미 추출물에서 백미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품종의 현미와 백미 중에서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높은 품종으로는 유색미인 홍진주벼로 나타났다. 홍진주벼와 더불어 흑광벼에서도 상당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 $\gamma$-oryzanol, polyphenol 등과 같이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성분들은 백미 추출물보다는 현미 추출물에서 다량 포함되어 있었으며 일반벼보다는 유색미에서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쌀 기능성 구명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금후 건강증진 식품으로서 쌀의 효능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켜 나아가 쌀 소비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various bio-active components from some brown rice and milled rice of some cultivars, as well as to assess their contribution to the radical scavenging linked-antioxidant activity. DPPH o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ave be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년 새롭게 육성된 품종인 하이아미는 진미벼와 계화벼의 교잡으로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기존 품종에 비하여 30%정도 높으며 녹미는 우리 고유의 토종 찹쌀인 청량 미로 낟알의 색이 녹색인 품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육성되어진 벼 품종들의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식생활 개선, 품종 농가보급 및 항산화 관련 건강식품 개발 등 효율적인 이용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벼 품종(삼광벼, 설갱벼, 큰눈벼, 화선찰벼, 홍진주벼, 흑광벼, 일품벼, 하이아미 및 녹미)의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분석하여 쌀의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품종별 현미와 백미의 항산화 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tocopherol, tocotrienol 및 γ-oryzanol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radical 제거능 및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에 포함되어있는 성분은 무엇인가? 쌀에는 phytic acid, polyphenols, flavonoids, vitamins, γ -oryzanol, ferulic acid 및 식이섬유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생체 내 우수한 기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8). 쌀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여러 가지 특수미, 유색미, 및 일반미 품종 추출물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 활성(2,7,8), 자광도와 흑향미 같은 적미의 메탄올과 물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활성(9), 시판 쌀에 대한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10), 거대배아미 및 유색미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변이원성(11,12), 유색미 쌀겨 추출물이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백혈구가 분비하는 염증관련 산물인 histamine과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분비를 저해하는 능력이 일반미보다 우수(13)하였으며, 미강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과 항산화 활성(14), 미강 추출물의 항암효과 (in vitro) 및 항알레르기 효과(15) 등의 생리활성에 관한 보고가 주로 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쌀 소비량이 감소하는데의 원인은 무엇이라 생각되는가? 8 kg으로 감소하였다(4,5). 이는 맞벌이 부부 증가 및 핵가족화로 인하여 우리의 식문화가 밥과 반찬 위주인 한식문화에서 패스트푸드나 육류가 주된 요리인 서구화된 식단으로의 변화되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사회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는 웰빙 붐을 타고 천연 유래의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의 선호도 증대로 보다 영양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새로운쌀 품종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JH, Jeong OY, Lee KS, Kim HY, Yang CI, Lee SB, Choi YH, Kim YG, Lee YT. 2008. Breeding for micronutrient-enriched japonica rice for improving human 

  2. Kong SH, Choi YM, Lee S,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3. Anderson JW. 2003. Whole grains protect against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Proc Nutr Soc 62: 135-142. 

  4. Chae JC. 2004. Present situation, research and prospect rice quality and bioactivity in Korea. Food Sci Indus 37: 47-54. 

  5. Na GS, Lee SK, Kim SY. 2007. Antioxidative effe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ultivated by organic 

  6. Kim EO, Oh JH, Lee KT, Im JG, Kim SS, Suh HS, Choi 

  7. Woo KS, Jeong EG, Suh SJ, Yang CI, Jeong HS, Kim KJ. 

  8.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 

  9. Park SH, Cho IJ, Kim YS, Ha TY. 2007. Effect of methanol extracts of red colored ric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activities of cancer cells. J Korean Soc 

  10. Sohn HY, Kwon CS, Son KH, Kwon GS, Kwon YS, Ryu 

  11. Kang MY, Lee YL, Go HJ, Nam SH.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giant 

  12. Kang MY, Shin SY, Nam SH. 2003. Correlation of antioxidants and antimutagenic activity with content of pigments and phenolic compounds of colored rice seeds. 

  13. Choi SP, Kang MY, Nam SH. 2004.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 

  14. Chun HS, You JE, Kim IH, Cho JS. 1999. Comparative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ice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71-1377. 

  15. Choi HI, Ye EJ, Kim SJ, Bae MJ, Yee ST, Park EJ, Park 

  16.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7.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8. Lee SM, Lee J. 2006.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vegetable oils, margarines, butters, and peanut butters 

  19. Lilitchan S, Tangprawat C, Aryusuk K, Krisnangkura S, Chokmoh S, Krisnangkura K. 2008. Partial extraction method for the rapid analysis of total lipids and $\gamma$ -oryzanol contents in rice bran. Food Chem 106: 752-759.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1. Mau JL, Lin II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22.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23.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24. Lee YR, Woo KS, Kim KJ, Son JR, Jeong HS. 2007. 

  25.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26. Xu Z, Hua N, Godber JS.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tocotrienols, and $\gamma$ -oryzanol components from rice bran against cholesterol oxidation accelerated by 2,2'-azobis (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J Agric Food Chem 49: 2077-2081. 

  27. Oki T, Masuda M, Kobayashi M, Nishiba Y. 2002. Polymeric procyanidins as radical-scavenging components in redhulled rice. J Agric Food Chem 50: 7524-7529. 

  28. Villano D, Fernandez-Pachon MS, Moya ML, Troncoso AM, Garcia-Parrilla MC. 2007.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lanta 71: 230-235. 

  29.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