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징어의 섭취 시 혈액 내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오징어 급여를 통한 실험쥐의 당 농도, 지질성분 분석과 면역 항체변화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식이를 급여후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의 경우 대조군은 78.9 mg/dL를 나타낸 반면 건조오징어 급여군은 81.3 mg/dL, 가공오징어 급여군은 88.1 mg/dL로서 시료 투여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소폭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험식이가 종료된 후 실험쥐의 혈청 중 HDL-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군이 58.1 mg/dL, 건조오징어 급여군이 71.6 mg/dL, 가공오징어 급여군이 63.1 mg/dL으로 각각 나타났다. 혈청 중 triglyceride 함량의 경우 오징어 건조오징어 급여군이 221.8 mg/dL로 196.6 mg/dL를 나타낸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한 반면 가공오징어 급여군은 158.3 mg/dL로 감소하였다. 혈액 내 glucose 농도는 대조군 95.4 mg/dL과 비교했을 때 건조오징어 급여군과 가공오징어 급여군이 각각 77.7 mg/dL, 90.3 mg/dL로 측정되었다. 오징어 섭취에 의한 항체 생성능을 알아보기 위한 IgG 수치는 대조군 25.4 ng/mL과 비교했을 때 가공오징어 급여군에서 48.1 ng/mL로써 증가하였다. 실험결과 건조오징어가 가공오징어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H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의 함량은 큰 폭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lucose 및 항체 생성능의 수치는 가공오징어 급여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공오징어가 건조오징어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체내 면역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건조오징어가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혈액 내 지질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도출함에 따라, 오징어 가공에서 타우린, DHA, EPA의 조성과 지질조성에 변화를 주어야 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오징어 가공의 효과적인 공정에 대한 연구가 종래 오징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tent levels of taurine, DHA, and EPA of dried cuttlefish powder were $11.67{\pm}6.62\;g/kg$, $3001.11{\pm}11.42\;mg/100\;g$ and $688.13{\pm}10.51\;mg/100\;g$, respectively, which were 10~20% higher than those of the salt processed cuttlefish. After feeding d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혈중 과콜레스테롤이 면역력이 약화되었을 때 생기는 염증 반응과 관계가 있으며(12), 혈중 glucose 함량 증가가 면역질환의 대표적인 당뇨를 유발할 수 있음(13)을 바탕으로 오징어를 섭취한 실험쥐의 혈액을 분석하였다. 또한 triglyceride, EPA, DHA와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이 동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결과(14)를 도입해 오징어의 대표적 가공물로서 유통되고 있는 반건조 및 가공 조미 오징어 섭취에 따른 마우스 혈중 지질 profiles의 변화를 측정하고 혈액 내 IgG 항체생성능 실험을 통해 면역력 증진을 평가함으로써, 앞으로 오징어의 건강식품 소재로의 활용 증진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징어나 새우의 섭취가 제한되는 경향이 있는 이유는? 콜레스테롤은 인간 세포막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되는 주요 성분이기는 하나, 식품 중에 함유되어 있는 콜레스테롤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매우 민감하게 생각되어진다. 오징어나 새우는 영양성분이 높은 건강식품임에도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이유로 동맥경화의 예방차원에서 섭취가 제한되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로 오징어, 문어 등 연체동물 및 새우, 게 등 갑각류나 조개류에는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7).
우리나라에 혈관순환계 질환의 발생이 급증하는 이유는? 근래 들어 우리나라는 서구화에 따른 식습관의 변화로 고지혈증에 기인하는 순환기계 질환의 사망률 증가를 유발하고 있으며(1) 더불어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률의 급격한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동물성 지방의 과다섭취로 인한 동맥경화(atherosclerosis),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고혈압(hypertension) 등과 같은 혈관순환계 질환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2).
오징어의 효능은?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오래전부터 식용되어온 식품으로 함유성분인 타우린, 베타인, EPA, DHA 등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고(8), 혈압정상화, 심장병예방, 인슐린분비 촉진 작용을 하며, 먹물 중에는 항암성분이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9,10). 지구 온난화의 여파로 동해안의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 오징어의 어획량은 2006년 138,000 톤으로 2005년 45,000 톤보다 3배 정도 늘어났으며 해마다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JD, Lee YI, Kim BR, Choi YS, Lee SY. 1997. Effects of Meju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 Kim BR, Kim JD, Ham SS, Choi YS, Lee SY. 1995. Effects of spice added Natto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metabolism 

  3. Bowman BA, Russell RM. 2001. Presents knowledge in nutrition. 8th ed. ILSL, Washington DC, USA. 

  4. Yu CH. 2002. A review on the changes of lifestyle and the relate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 Korean J Nutr 5: 

  5. Kang JH. 1998.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nutritional assessment in periodic health examination. Korea J Community Nutr 3: 855-858. 

  6. Nestle M. 1998. Nutrition in medical education-New policies needed for the 1990S. J Nutr Educ 20: 1-6. 

  7. Sugano M, Imaizumi K. 1986. Cholesterol. Sankyoshuppan, 

  8. Kim HS, Kim JS, Heu MS. 2008. Fractionation of endoprotease from viscera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 llex argentinus. J Korean Fish Soc 41: 176-181. 

  9. Stansby ME. 1990. Fatty acid composition of fish. In Fish Oils in Nutrition. Stansby ME, ed. Van Nostrand Reinhold, 

  10. Okutani K. 1976. An antitumor substance obtained from the internal shell of squid-Isolation procedures and antitumor activity. Bull Jap Soc Sci Fish 42: 449-453. 

  11. Kim JH, Seo HY, Kim KS. 2004. Analysis of radiolytic products of lipid in irradiated dried squids (Todarodes pacificus). 

  12. Marta MD, Joao BR, Rafael NM, Thiago D, Ivana BC, Vania 

  13. Harizi H, Homo F, Amrani A, Coulaud J, Mormede P. 2007. 

  14. Catherine AR, Lydia B, Gaorav G, John L, Michael N, 

  15. Rodrigueza C, Pereza A, Badiaa P, Izquierdob S, Fernandez H, Lorenzo A. 1998. The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requirements of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L.) larvae when using an appropriate DHA/EPA ratio in the diet. 

  16. John AT, Vitor S, Catherine JW. 1995. The in vivo and in vitro protective properties of taurine. General Pharm: Vas Sys 26: 453-462. 

  17. Jeun JA, Jung HY, Kim JH, Kim YO, Youn SH, Shin CS. 

  18. Kim CH, Kwon MC, Han JG, Ha JH, Jeong HS, Choi GP, 

  19. Bihan E, Perrin A, Kouet N. 2007. Effect of different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L.) viscera. Food Chem 104: 345-352. 

  20. Geni R, Deborah HM, Rosana AM, Yara S, Elizabeth AFS. 2006. Fatty acids and cholesterol oxidation in salted and dried shrimp. Food Chem 95: 344-351. 

  21. Roach J, Lee M, Sloane-Stanley GH. 1993. The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and cholesterol synthesis are affected differently by dietary cholesterol in the rat. Biochem Biophy Acta 1170: 165-172. 

  22. William EC, Don SL. 1982. The effect of shellfish in the diet upon the plasma lipid levels in humans. Metabolism 31: 1046-1051. 

  23. Kim JY, Lee YJ.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Rhodiola rosea root on the immune system. Korean J Herbology 

  24. Carl RA, Glenn MS, Nabila MW, Jorge LR, Edward EH,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