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해외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Migration by Hospital Nurses in Korea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4, 2010년, pp.437 - 445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손정태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migration by Korean hospital nurses. Methods: Using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512 nurses working in 7 hospitals ranging in size from 300 to 900 beds in D city and K provinc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단계로는 국내 간호직 환경에 대한 인식정도를 회귀모형에 투입하였다. 따라서 간호사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해외취업에 대한 의향에 미치는 정도를 단계별로 독립적으로 확인하고, 회귀모형의 설명력이 어느 정도 유의하게 증가하는 지를 검토하였다. 회귀모형에 포함된 변수상호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해 공차한계, 분산팽창지수, 상태지수를 확인한 결과 변수 상호간 다중공선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미국의 간호사 부족 현상이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간호사의 해외취업에 대한 의향정도를 설문 조사를 통해 조사하여 국내 간호사의 해외취업에 대한 의향정도를 확인하고, 어떤 요인들이 해외취업에 대한 국내 배출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추후 연구에서는 해외취업을 원하는 간호사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해외취업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며, 어떤 목적으로 해외취업을 희망하고, 해외취업을 통해 간호사들이 어떤 기술과 능력을 습득하였으며, 이들의 경험이 우리나라 간호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지가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사의 해외취업에 대한 의향정도를 살펴보고 해외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구와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방법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 간호사들의 해외취업에 대한 의향 정도를 다양한 인구학적, 개인적 특성, 그리고 우리나라 간호직에 대한 인식정도와 함께 파악하고 이들이 해외취업의향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해외취업을 희망하는 간호사는 5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간호사들의 해외취업에 대한 의향 정도를 확인하고, 개인적 특성, 국내 간호직 환경에 대한 인식이 해외취업 의향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 주도의 정책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당시 간호인력의 해외취업의 선례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 간호사의 해외취업은 초유의 현상이 아니며, 이미 1960년대 서독 진출에서부터 그 선례를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 초기에 이루어진 한국 간호인력의 서독 진출은, 당시 서독의 긴급한 간호인력 수요와 우리나라 정부의 서독 경제원조의 필요에서 이루어진 외교적 거래의 산물이었으며, 당시 간호 인력의 서독 진출을 ‘서독 파견’ 이라고 표현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정부 주도의 정책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Back, 2002;Jung, 2002). 이렇게 정부 주도의 정책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당시 간호인력의 해외취업은 서독 내부의 간호인력 공급부족 현상에 대한 서독 정부의 국가적 요청에 대한 우리 정부의 응답으로서, 당시 개발도상국에 머물러 있었던 우리나라의 경제적 필요성에 따른 집단적 인력수출의 의미가 있었다.
2003년 기준 미국간호사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시험을 응시한 사람은 몇명인가? 최근 나타나고 있는 우리나라 간호사의 미국 노동시장 진출 현상은 보건의료 노동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면서 간호분야의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003년 한 해만 해도 1,000여명이 미국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시험에 응시하였으며, 응시자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에 1,724명, 2006년에는 2,145명에 달하였다(Oh, 2009).
미국 내 간호사 부족의 심각성이 점점 늘어날 것이라 점쳐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앞으로 미국 내 간호사 부족의 심각성은 간호학교 입학생 수의 저하, 노인인구의 증가, 간호인력의 노령화 등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Buchan & Aiken, 2008;Rich & Nugent, 2010), 1999년 The Nursing Relief for Disadvantaged Areas Act 라는 법률을 제정하여 과거 외국 간호사들에게 주어졌던 H-1A visa보다 허용적인 H-1C visa를 부여함으로써(Brush & Berger, 2002), 미국 내 외국 간호사들의 취업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0년에는 400,000-800,000의 간호사가 부족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Auerbach, Buerhause, & Staiger,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an Foundation. (1988). Overseas employment of Korea. Seoul: Author. 

  2. Auerbach, D. I., Buerhaus, P., & Staiger, D. (2007). Better late than never: workforce supply implications of later entry into nursing. Health Aff, 26(1), 178-185. 

  3. Back, Y. H. (2002). Teardrop in Autovan. Deahankanho, 41(3), 14-15. 

  4. Brush, B. (2008). Global nurse migration today. J Nurs Scholarsh, 40(1), 20-25. 

  5. Brush, B. L. (1999). Has foreign nurse recruitment and retention impeded African American access to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Nurs Outlook, 47(4), 175-80. 

  6. Brush, L. B., & Vasupuram, R. (2006). Nurses, nannies, and caring work; Importation, visibility and marketability. Nurs Inq, 13(3), 181-185. 

  7. Brush, L. B., & Berger, A. (2002). Sending for nurses: Foreign nurse migration, 1965-2002. Nurs Health Pol Rev, 1(2), 103-115. 

  8. Buchan, J., & Aiken, L. H. (2008). Solving nursing shortages: A common priority. J Clin Nurs, 17(24), 3262-3268. 

  9. Cho, K. J., & Paik, S. N. (2004). Comparing nursing perspective between BSN and RN-BSN program student. J Korean Acad Nurs Admin, 10(4), 417-425. 

  10. Choi, B. G. (2010). A study on future strategies methodology of the overseas employ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ungi University. Seoul. 

  11. Hicks, J. R. (1932). The theory of wages. London: MacMillan. 

  12. Irvine, D. M., & Evans, M. G. (1995).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nurses: integrating research findings across studies. Nurs Res, 44(4), 246-253. 

  13. Jung, H. B. (2002). The influence of nursing export to the West German on globalization and economy of Korea. Deahankanho, 41(3), 12-13. 

  14. Kang, H. S., Seo, M., & Lee, H. (2003). Content analysis on motivation and barriers preparing for the NCLEX-RN in Korean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0(3), 292-299. 

  15. Keatings, M. (2006). Health services delivery: reframing policies for global nursing migration in North America: a Canadian perspective. Policy Polit Nurs Pract, 7(3), 62S-65S. 

  16. Kim, H. (2009). Analysis of stress level of Korean registered nurses who are preparing NCLEX-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7. Kingma, M. (2006). Nurses on the move: Migration and the global health care economy.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8. Lee, E. S. (1966). A theory of migration. Demography, 3(1), 47-57. 

  19. Massey, D. S., Arango, J., Hugo, G., Kouaouci, A., Pellegrino, A., & Taylor, E. (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 appraisal. Popul Dev Rev, 19(3), 431-466. 

  20. Oh, J. (2009, April). Korean housewives fever for working as an RN in America. Weekly Dong-A, 682, 56-57. 

  21. Payton, O. D. (1988). Research: The validation of clinical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2. Pittman, P., Aiken, L., & Buchan, J. (2007). International migration of nurses: introduction. Health Serv Res, 42(3), 1275-1280. 

  23. Pittman, P., Folsom, A., & Bass, E. (2010). U.S.-based recruitment of foreign-educated nurses: Implications of an emerging industry. Am J Nurs, 110(6), 38-48. 

  24. Polsky, D., Ross, S., Brush, B., & Sochalski, J. (2007). Trends in characteristics and country of origin among foreign-trained nurses in the United States, 1990 and 2000. Am J Public Health, 97(5), 895-899. 

  25. Rich, K., & Nugent, K. (2010). A United States perspective on the challenges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 Today, 30(3), 228-232. 

  26. Ross, S. J., & Polsky, D. (2005). Nursing shortages and international nurse migration. Int Nurs Rev, 52(4), 253-262. 

  27. Stigler, G. J. (1971). Theory of economic regulation. Bell J Econ Manag Sci, 2(1), 3-21. 

  28. Todaro, M. P. (1969). A model of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m Econ Rev, 59(1), 138-148 

  29. Yi, M., & Jezewski, M. A. (2000). Korean nurses' adjustment to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 Adv Nurs, 32(3), 721-7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