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5, 2010년, pp.616 - 624  

김귀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성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지현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소비가 활발한 시판 과실식초(사과, 포도, 감)에 대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초시료의 총산도는 포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시료마다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색도, 탁도 및 전반적 색차(${\Delta}E$)는 감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 과실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유기산acetic acid 외 oxalic, citric, malic,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나 함량은 시료마다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판과실식초의 유리아미노산 검출결과 필수아미노산은 포도와 감식초에서 총 9종, 사과식초에서 6종의 필수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시판 과실식초의 주된 향기성분은 acetic acid,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iso valeric acid, isoamyl alcohol, propanoic acid, phenethyl acetate 등으로 이외에 사과식초 17종, 포도식초 12종, 감식초 33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SAW 센서 전자코는 과실식초의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mpa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various commercial fruit vinegars (made from apples, grapes, and persimmons). Total acidity was highest in grape vinegars. Significant between-sample differences were evident in total and reducing sugar contents. Brownness, 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 중인 식초 중 비교적 소비가 많은 과실식초 3종을 선택하여, 이들 과실식초의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등의 이화학적 성분특성과 향기성분 패턴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과실식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가설 설정

  • 2)Ratio of acetic acid compared to total organic acids.
  • b : Degree of yellowness (yellow +70 ↔ -80 blu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에는 어떤 당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특히 과실식초는 과즙이 포함된 액을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각종 당이 함유되어 있다(5). 식초에는 포도당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fructose, sucrose, maltose 등이 포함됨으로써(6) 식초의 감미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3). 한편 식초제조 중 초산균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초산은 총산 함량을 좌우하여 품질판정 지표로 이용되며, 이외에 다양한 유기산이 함께 함유되어 식초의 산미를 형성하게 된다(7).
식초의 효과는 무엇인가? 한편 식초제조 중 초산균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초산은 총산 함량을 좌우하여 품질판정 지표로 이용되며, 이외에 다양한 유기산이 함께 함유되어 식초의 산미를 형성하게 된다(7). 이러한 식초의 다양한 성분들로 인해 식초는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효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체지방 감소, 피로회복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8). 특히 식초의 초산성분은 부패균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식품의 부패방지에도 기여한다(9,10).
시판 과실식초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시판 과실식초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여 Table 5에 나타내었다. 포도식초 및 감식초의 필수아미노산은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enylalanine, lysine, histidine, arginine 등 총 9종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사과식초는 methionine, histidine, arginine을 제외한 6종이 검출되었다. 또한 감식초에서는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γ-aminobutyric acid (GABA)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포도식초는 arginine이 다른 과실식초에 비해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Jo (18)에 의하면 국내산 시판 과실식초 중 사과식초는 arginine, histidine이, 감식초는 ornithine, threonine 및 glycine의 함량이 높다고 보고함에 따라 본 실험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감식초 1,247 ppm, 포도식초 592 ppm, 사과식초 33.58 ppm 순으로 감식초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감식초는 다른 과실식초에 비해 유리아미노산의 종류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식초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식초의 종류마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발효법이나 재료 배합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Jeong Y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 42, 52-59 

  2. Yoon HN. (1999)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40-1446 

  3. Jo JS. (1984)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8-60 

  4. Jeo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 Nutr., 5, 7-12 

  5. Moon SY, Chung HC, Yoon HN.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6. Masai H. (1980) Taste of the fermented becerage and foods. II. Taste of vinegar. The Brewing Society of Japan, 75, 888-891 

  7. Jeong YJ, Seo JH, Park NY, Shin SR, Kim KS. (1999) Changes in the compoents of persimm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II). Korean J. Food Preserv., 6, 233-238 

  8. Jeong Y, Seo, JH, Jung SH, Shin SR, Kim K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5, 374-379 

  9. Yang HC, Choi DS. (197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lover flower vinegar. J. Korean Agric. Chem. Soc., 22, 150-159 

  10. Youn KS, Kim SD, Chung HD, Choi YH. (2000) Clarification of apple vinegar by utrafiltration and flux charcateristics. J. Korean Soc. Chem. Biol., 43, 24-28 

  11. Seo JH, Park NY. Jeong YJ. (2001)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53-156 

  12. Noh BS. (2005)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using electron nose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48-1064 

  13. Lee BY. (1999)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for aroma analysis of persimmon vinegar concent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14-321 

  14. Yoon HN, Moon SY, Song SH. (1998)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99-305 

  15. Marais JP, De Wit JL, Quicke GV. (1966)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elson-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Biochem., 15, 373-381 

  16.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s, 1982 Edition. Cary, North Carolina, SAS Institute Inc., 119-138 

  17. Seo JH, Kim YJ, Lee KS.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Food Ind. Nutri., 8, 40-44 

  18. Jo BH. (1987)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vinegars. M.S. Thesis, Seoul Woman's Univ. 

  19. KFDA (2008) Korea Food Standard Code, 5-21-1 

  20. Lee MH, No HK. (2001)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using chito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277-282 

  21. Choi SY, Gu YJ, Lee MG.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immon beverage(final report).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2. Jeong YJ, Lee GD, Lee MH, Yea MJ, Lee GH, Choi SY. (1999) Monitoring on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10-815 

  23. Seo JH, Jeong YJ, Shin SR, Kim KS. (2000) Effect of tannins from astringent persimmon in alcohol fermentation for persimmon vineg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07-411 

  24.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 18-24 

  25. Jeong YJ, Seo KI, Kim KS.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J. East Asian Diet. Life, 6, 355-363 

  26. Kim DH, Lee JS. (2000) Vinegar production from subtropica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8-75 

  27.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Kim TY, Jeong YJ, Yoon KY, Kwon JH. (2009)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Korean J. Food Preserv., 16, 893-899 

  28. Su MS, Chein PJ. (2010) Aroma impact components of rabbiteye blueberry(Vaccinium ashei) vinegars. Food Chem., 119, 923-928 

  29. Tasfaye W, Garcia-parrilla MC, Troncoso AM. (2002) Sensory evaluation of sherry wine vinegar. J. Sensory Studies, 17, 133-144 

  30. Yoon HN, Moon SY, Song SH. (1998)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99-305 

  31. Aznar M, Lopez R, Cacho JF, Ferreira V. (2001)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impact odorants of aged red wines from Rioja. GC-olfactometry, quantitative GC-MS, and odor evaluation of HPLC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9, 2924-2929 

  32. Gallejon RM, Morales ML, Silva Ferreira AC, Troncoso AM. (2008) Defining sherry vinegar tipicity: Sensory and chemical approach. J. Agr. Food Chem., 56, 8086-8095 

  33. Gobbetti M, Corsetti A. (1997) Lactobacillus sanfrancisco a key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um: a review. Food Microbial, 14, 175-187 

  34. Park ER, Lee SK, Hwang HS, Mun CS, Gwak IS, Kim OK, Lee KH. (2008) Monitoring of natural preservative levels in foo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40-1646 

  35. Peynaud E. (1980) Le gout du vin. Bordas, Paris, France. 

  36. Kahn JH, Nickol GB, Correr HA. (1972)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vinegars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J. Agric. Food Chem., 20, 214-218 

  37. Davies NW. (1990) Gas chromatographic retention indices of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on methyl silicon and Carbowax 20M phases. J. Chromatogr, 503, 1-24 

  38. Noh BS, Yang YM, Lee TS, Hong HK, Kwon CH, Sung YK. (1998) Prediction of fermentation time of Korean style soybean paste by using the portable electron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56-362 

  39. Hong HK, Shin HW, Park HS, Yun DH, Kwon CH, Lee KC, Kim ST, Morizumi T. (1996) Gas dentification using micro-gas sensor array and neutral-network pattern recognition. Sensors Actuators. B33, 68-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