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무관(朝鮮時代武官)의 철릭[帖裏] 연구
A Study on Cheollik, the Military Officials' Clothes,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5, 2010년, pp.960 - 976  

금종숙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Joseon Dynasty strictly identified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the dress and its ornament have been studied only based on embroidery emblems that are correctly identified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features of the only milit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大明會典』 · 『朝鮮王朝實錄』 · 『續大典』 · 『大典 後續錄』 · 『大典會通』 · 『林下筆記』 · 『弘齋全書』 ·  『星湖僿設』 · 『心田稿』 · 『戊午燕行錄』 · 『薊山紀 程』등을 참고하여, 武官이 철릭을 착용한 예와 형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 그러나 조선시대는 문무관이 엄격히 구분하였던 시대인 만큼 다른 복식도 특징이 있었으리라 생각되며, 더 세부적인 연구의 필요성으로 무관의 帖裏 (명칭이 한자는 帖裡 · 帖裏 · 貼裡 · 天益 · 天翼, 한글은 철릭 · 텰릭 · 쳠니 · 쳔닉으로 다양하나, 본고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용어로써 한자는 “帖裏”를 한글로는 “철릭”을 사용하고자 한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그러나 사대부 묘 무인석에는 갑주 · 철릭 · 직령 · 전포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조선 전기의 것이 많기 때문에 이 시기의 무인 복식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따라서 2010년 1월까지 조사된 무인석의 현황과 그 중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철릭을 조사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 조선시대는 文을 위주로 한 양반관료제로써 文武官이 엄격히 구분되었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복식 분야에서는 문무관이 정확히 구분되는 흉배 위주로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릭에서 문헌과 출토 유물과 무인석과 통신사행렬도 등으로 구분하여 문관과 다른 무관만의 특징을 연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무관 묘 출토 철릭 15건의 63점을 정리한〈표 2〉를 근거로 소매의 탈부착과 裳의 트임과 피륙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무관의 철릭이 문관의 것에 비해 길이와 소매의 길이 및 너비 등의 형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사대부 묘에 대한 연구로 경기도박물관36)과 국립민속박물관37)에서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기로 한다.
  • 둘째, 지금까지 출토된 철릭을 조사하고, 그 중 무관 묘의 철릭 15건 63점을 근거로 문관 유물과의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셋째, 사대부묘의 무인석 총 23기 중 5기를 통하여 조선 초기 무관의 철릭을 형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조선 후기의 회화 자료 중 무관인 軍官의 그림이 잘 묘사되어 朝鮮時代 通信 使行列圖 등을 통하여 철릭의 착용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조선 후기의 회화 자료 중 官職과 그림이 잘 묘사되어 朝鮮通信使行列圖를 통하여 무관인 軍官의 철릭 착용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大明會典 

  2. 大典會通 

  3. 大典後續錄 

  4. 星湖僿設 

  5. 續大典 

  6. 心田稿 

  7. 林下筆記 

  8. 朝鮮王朝實錄 

  9. 弘齋全書 

  10. 경기도박물관 (2008). 경기 묘제 석조 미술[上]. 경기도: 경기도박물관. 

  11. 高富子(2002). "조선시대 피륙[織物]의 무늬." 朝鮮時代피륙[織物]의 무늬. 檀國大學校 石宙善紀 念博物館. 

  12. 국립국어원 (2000). 표준국어대사전 상. 서울: 두산동아. 

  13. 국립민속박물관 (2007). 죽은자, 또한 산자의 공간무덤.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14. 담인복식미술관 (2006). (최원립 장군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민속원. 

  15. 데 바이에르, 박원길 역 (1994). 몽골석인상의 연구. 서울: 혜안. 

  16. 이은주 (2005). "김여온 묘의 출토복식 분석." (길짐승흉배와 함께 하는)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17. 박성실 (1996). "華城 鳩浦里 出土服飾 小考." 韓國服飾 第十四號. 檀國大學校石宙善紀念民俗博物館. 

  18. 박성실, 김향미 (2002). 조선시대 기능적 마상의류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第22號,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19. 박성실 (2008). "신경유墓출토 복식 고찰." 韓國服飾 第二十六號. 檀國大學校石宙善紀念博物館. 

  20. 이은주 (2008). "조선시대 무관의 길짐승흉배제도와 실제." 服飾 58권 5호. 

  21. 이은주 (2009). "출토복식을 통해 본 정담의 몰년 추정." 정담부부를 따라 떠나는 500년전 천상 여행 학술대회. 안동: 국립안동대학교 박물관. 

  22. 이은주, 송미경 (2008). "석인상에 나타난 복식 연구." 경기 묘제 석조 미술[下]. 경기도: 경기도 박물관. 

  23. 周?, 高春明(1996). 中國衣冠服?大?典上. 上海: 上海?書出版社.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