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481 - 486  

조혜은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은경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2.5 mg/mL에서 49.0%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5 mg/mL 농도에서 69.2%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통풍과도 관련이 있는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g/mL에서 88.8%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mg/mL의 농도에서 86.2%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각각 54%와 42%, pH 6.0에서는 34%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오미자 열수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혈당강하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traceutical role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ater extract (OWE) was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nitrite scavening activity, and xanthine oxdi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Antioxidant activity of OWE was measured by using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를 열수 추출하여 생리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오미자의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 측정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 항염증 작용은 아질산 소거능으로 분석하였으며, 혈당강하효과는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기능성 제품 개발의 천연물 소재로서 오미자의 활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에 들어있는 성분의 종류는? 최근 세계음료 시장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지닌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는 추세이며 위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오미자는 상품성 높은 원료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2). 성분으로는 schizandrin, schizadran, γ-schizadrin, ethamigrenal, gomisin류 등이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수종의 gomisin이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3). 오미자 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lignan류인 gomisin의 구조를 확인 분류한 연구보고와 lignan 정량 분석에 관한 연구,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탄닌의 조성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다.
오미자란?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on)는 목련과의 낙엽 덩굴로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등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국내에는 오대산, 지리산, 발왕산 지역에서 자생하고, 강원도의 화천, 인제, 평창, 경상북도 봉화, 전라북도 무주, 진안, 장수 및 경상남도 함양 등지에서 재배되어 약재로 사용되고있다.
오미자 과육이 신맛을 내는 이유는? 오미자는 공 모양의 짙고 붉은 빛깔로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그 명칭이 유래된 것이라 한다. 또한 오미자 과육의 신맛은 주로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미자는 한국산이 우수하다고하여 약용으로서도 효용이 인정되었고, 오미자차, 오미자술, 강장제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JS, Lee SW. 1990. Effect of water extract in frui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alcohol metabolism. Korean J Dietary Culture 5: 259-262. 

  2. Haglind C, Tengblad J. 1994. Effect of caffeine containing energy drinks. Scand J Nutr 43: 169-175. 

  3. Kim OC, Jang HJ. 1994. Volatile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Agric Biotech 39: 30-36. 

  4. Yang HC, Lee JM, Song KB. 1982. Anthocyanins in cultured Omija (Shizandrae chinensis Baillon.) and its stability. J Korean Agric Chem Soc 25: 35-43. 

  5. Lee JS, Lee SW. 1989.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 lipid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Shizandrae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7-179. 

  6. Kim HK, Na G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hizandrae chinensis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84-490. 

  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8.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9.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10. Parejo IF, Viladomat J, Bastida A, Rosas-Romero N,Flerlage J, Burillo CC. 2002. Comparison betwe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distilled and nondistilled Mediterranean herbs and aromatic plants. J Agric Food Chem 50: 6882-6890. 

  11.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2. Park EY, Kim YC. 2009. Effectiveness of white tea water extract on skin whitening using in vitro test. Korean J Soc Cosm 15: 611-617. 

  13.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Appl Biol Chem 50: 198-203. 

  14. Kim JD, Yoon TH, Choi M, Lim KJ, Ju JS, Lee SY. 1990.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ine leaf on lipid parameters in rat. Korean J Gerontol 1: 47-50. 

  15. Choi SY, Chung MJ, Sung NJ. 2008.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bility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harvest times. Korean J Food Nutr 21: 157-164. 

  16. Nice DJ, Robinson DS, Jolden MA. 1995. Characterization of a heat-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Food Chem 52:393-397. 

  17. Ruidavets J, Teissedre P, Ferrieres J, Carando S, Bougard G, Cabanis J. 2000. Catechin in the Mediterranean diet: vegetable, fruit or wine? Atherosclerosis 153: 107-117. 

  18. Moon SH, Lee MK. 1998. Inhibitory effects of xanthine oxidase by boiled water extract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Nutr 24: 154-159. 

  19. Yeo SG, Park YB, Kim IS, Kim SB, Park YH. 199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54-159. 

  20. Shinde J, Taldone T, Barletta M, Kunaparaju N, Hu B, Kumar S, Placido J, William ZS. 2008.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yaygium cumini (Linn). Skeels seed kernel in vitro and in Goto-Kakizaki (GK) rats. Carbohydrate Res 343: 1278-1281. 

  21. Baron AD. 1998. Postprandial hyperglycemia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Diabetes Res Clin Pract 40: 51-55. 

  22. Park YE, Cho HM, Lee HJ, Hwang YS, Choi SSN, Lee SJ, Park ES, Lim JD, Choung MG. 2007. Antioxidant and inhibition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y of colored potato extracts. Korean J Crop Sci 52: 447-452. 

  23. Yin Y, Heo SI, Jung MJ, Wang MH.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 Pharmacogn 40: 1-5. 

  24. Park YB, Lee TG, Kim OK, Do JR, Yeo SG, Park YH, Kim SB.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25.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6. Jeon TW, Jo C, Kim KH, Byun MW. 2002.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by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Preserv 9: 369-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