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두 및 대두추출물의 항암 및 항염증 활성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ng Bean and Soybean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6 = no.214, 2010년, pp.755 - 761  

임지영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석중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녹두 및 대두의 용매추출물을 제조하고 hepatoma 1c1c7 세포 및 대식세포인 RAW264.7 배양을 이용하여 항암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녹두추출물은 대두추출물 보다 ethylacetate 및 ethanol 추출물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QR 유도활성과 NO$PGE_2$의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 효과를 나타냈다. C18 silica flash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회수된 녹두에탄올 추출물의 7개 분획 중 소수성이 가장 강한 분획은 24 ${\mu}g$/mL의 CD value와 783 ${\mu}g$/mL의 $IC_{50}$를 보였다. 현재 다수의 염증 억제물질의 작용기전이 prostaglandin 합성 억제이며 이는 COX-2의 생성 및 활성저해에 의한 것임을 근거로 할 때 녹두의 ethanol 추출물은 항염증 및 암 발생 예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중요한 식품 자원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inone reductase (QR) inducing activities of mung bean and soybean solvent extracts were compared using murine hepatoma cells (Hepa 1c1c7). The mung bean extracts (ethylacetate and ethanol) showed higher chemoprevention index values (7.88-8.22) than those of soybean extracts (2.9-5.2) from f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체 의학에 따르면 녹두의 삶은 즙을 마시면 열을 내리고 혈압을 낮추는데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드름이나 피부질환에도 효과가 있어서 한방화장품의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 및 항염증 소재로서 녹두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녹두추출물의 항암 및 항염증 활성을 몇 가지 대두 품종들과 비교분석 하였다.

가설 설정

  • 1)QR induction assay was carried out by Hepa 1c1c7 cell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Quinone reductase는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99.2)]는 quinine을 hydroquinone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2상효소계의 하나로 glutathione S-transferase(GST)와 함께 cytochrome P-450의 작용에 의하여 유발되는 발암물질의 비활성화 및 배설에 기여한다(3). 지금까지 알려진 많은 항암물질들이 2상효소계의 활성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입증되면서(4) 2상효소계의 활성변화를 이용하여 항암 활성성분의 신속한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브로컬리, 포도, 파, 마늘류로부터 각각 분리 된 sulforaphane, resveratrol, organosulfides 등은 대표적인 2상효소계 유도물질 들이다(5-7).
본 연구에서 녹두 및 대두의 용매추출물을 제조하고 hepatoma 1c1c7 세포 및 대식세포인 RAW264.7 배양을 이용하여 항암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7 배양을 이용하여 항암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녹두추출물은 대두추출물 보다 ethylacetate 및 ethanol 추출물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QR 유도활성과 NO 및 PGE2의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 효과를 나타냈다. C18 silica flash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회수된 녹두에탄올 추출물의 7개 분획 중 소수성이 가장 강한 분획은 24 µg/mL의 CD value와 783 µg/mL의 IC50를 보 였다. 현재 다수의 염증 억제물질의 작용기전이 prostaglandin 합성 억제이며 이는 COX-2의 생성 및 활성저해에 의한 것임을 근거로 할 때 녹두의 ethanol 추출물은 항염증 및 암 발생 예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중요한 식품 자원으로 생각된다.
Kennedy(11)는 동물실험 결과를 토대로 대두에 존재하는 어떤 물질이 암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나? 콩의 섭취에 의한 암 예방 효과는 국내외로 비교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Kennedy(11)는 동물실험 결과를 토대로 대두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물질(Bowman-Birk inhibitor), phytic acid(inositol hexaphosphate), β-sitosterol, saponins 및 isoflavones이 암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동물 실험 결과에 따르면 콩의 메탄올 추출물이 신장과 소장에서 QR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benzo(a)pyrene으로 유발시킨 위와 폐암의 발생을 감소시켰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Park EJ, Pezzuto JM. Botanicals in cancer prevention. Cancer Metast. Rev. 21: 231-255 (2002) 

  2. Wattenberg LW. Chemoprevention of cancer. Cancer Res. 45: 1-8 (1985) 

  3. Prochaska HJ, Santamaria AB, Talalay P. Rapid detection of inducers of enzymes that protect against carcinogens. P. Natl. Acad. Sci. USA 89: 2394-2398 (1992) 

  4. Song LL, Kosmeder JW II, Lee SK, Gerhauser C, Lantvit D, Moon RC, Moriarty RM, Pezzuto JM.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mediated by 4'-bromoflavone, a potent inducer of phase II detoxification enzymes. Cancer Res. 59: 578-585 (1999) 

  5. Zhang Y, Talalay P, Cho CG, Posner GH. A major inducer of naticarcinogenic protective enzymes from broccoli: Isolation and elucidation of structure. P. Natl. Acad. Sci. USA 89: 2399-2403 (1992) 

  6. Gerhauser C, You M, Liu J, Moriarty RM, Hawthorne M, Mehta RG, Moon RC, Jang M, Cai L, Udeani GO, Slowing KV, Thomas CF, Beecher CWW, Fong HHS, Farnsworth N R, Kinghorn AD, Mehta RG, Moon RC, Pezzuto JM.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 218-220 (1997) 

  7. Xiao H, Parkin KL. Isolation of potential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from methanolic extracts of green onion (Alliumcepa). Phytochemistry 68: 1059-1067 (2007) 

  8. Aggarwal BB, Shishodia S, Sandur SK, Pandey MK, Sethi G. Inflammation and cancer: How hot is the link? Biochem. Pharmacol. 72: 1605-1621 (2006) 

  9. Surh YJ, Na HK. $NF-{\kappa}B$ and Nrf2 as prime molecular targets for chemoprevention and cytoprotection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hytochemicals. Gene Nutr. 2: 313-317 (2008) 

  10. Liu H, Dinkova-Kostova AT, Talalay P. Coordinate regulation of enzyme markers for inflammation and for protection against oxidant and electrophiles. P. Natl. Acad. Sci. USA 105: 15926-15931 (2008) 

  11. Kennedy A. Cancer prevention by soy products. J. Nutr. 125: 733S-743S (1995) 

  12. Kwon CS, Kim JS. Effect of soybean supplementation on murine drug-metabolizing enzymes and benzo(a)pyrene-induced lung cancer develop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35-539 (1999) 

  13. Birt DF, Hendrich S, Wang W. Dietary agents in cancer prevention: Flavonoids and isoflavonoids. Pharmacol. Therapeut. 90: 157-177 (2001) 

  14. Blay M, Espinel AE, Delgado MA, Baiges I, Blade C, Salvado LAJ. Isoflavone effect on gene expression profile and biomakers of inflammation. J. Pharmaceut. Biomed. 51: 382-390 (2010) 

  15. Oh HS, Kim JH, Lee MH. Isoflavone content,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63-270 (2003) 

  16. Kim OK, Gu YA, Jeong YJ.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powders after various hydrolysis protocols. Korean J. Food Preserv. 14: 301-307 (2007) 

  17. Choi JH, Kim SO, Kim KS, Lee MY. Effect of mung bean sprouts juice on cadmium-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80-986 (1998) 

  18. Chang SM, Nam SH, Kang MY. Screening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timutagen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from l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15-1122 (2002) 

  19. Peng X, Zheng Z, Cheng KW, Shan F, Ren GX, Chen F, Wang M. Inhibitory effect of mung bean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vitexin and isovitexin on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Food Chem. 106: 475-481 (2008) 

  20. Prochaska HJ, Santamaria AB. Direct measuremant of NAD(P)H: Quinone reductase from cell cultures in microtiter wells: A screening assay for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s. Anal. Biochem. 169: 328-336 (1988) 

  21. Marcocci L, Maguire JJ, Droy-Lefaix MT, Packer L. The nitricoxide- 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 Bioph. Res. Co. 201: 748-755 (1994) 

  22. Brooks JD, Goldberg MF, Nelson LA, Wu D, Nelson WG. Identification of potential prostate cancer preventive agents through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in vitro. Cancer Epidem. Biomar. 11: 868-875 (2002) 

  23. Cuendet M, Oteham CP, Moon RC, Pezzuto JM.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s a biomarker for cancer chemoprevention. J. Nat. Prod. 69: 460-463 (2006) 

  24. Ku KM, Kim MG, Hong MJ, Jeong YS, Kim JS, Lee IJ, Shin DH, Hwang YH, Kang YH. Antioxidant and QR inductive activities of novel functional soybean "Agakong3'. Food Sci. Biotechnol. 18: 624-629 (2009) 

  25. Xie T, Belinsky M, Xu Y, Jaiswal AK. ARE- and TRE-mediate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Response to xenobiotics and antioxidants. J. Biol. Chem. 270: 6894-6900 (1995) 

  26. Kwon CS, Kim JS. Quinone reductase activity is regulated by isoflavones in an organ specific manner. Food Sci. Biotechnol. 11: 285-288 (2002) 

  27. Bolling BW, Parkin KL. Phenolic derivatives from soy flour ethanol extract are potent in vitro quinone reductase (QR) inducing agents. J. Agr. Food Chem. 56: 10473-10480 (2008) 

  28. Bolling BW, Parkin KL. Limited contribution of isoflavones to hepatocellular phase II enzyme-inducing activity of soybean (Glycine max) extract. Food Chem. 113: 1069-1075 (2009) 

  29. Mazur WM, Duke JA, Wahala K, Rasku S, Adlercreutz H. Isoflavonoids and lignans in legumes: Nutritional and health aspects in humans. Nutr. Biochem. 9: 193-200 (1998) 

  30. Kim DK, Kim JB, Chon SU, Lee YS. antioxidant potential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seeds. Korean J. Plant Res. 8: 122-129 (2005) 

  31. Kim DK, CHon SU, Lee KD, Kim JB, Rim YS. Variation of flavon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 bean. Korean J. Crop Sci. 53: 279-284 (2008) 

  32. Kim BJ, Kim JH, Hea Y, Kim HP.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ung bean. Cosmetics Toiletries Magzine 113: 71-74 (1998) 

  33. Zhou YJ, Liu YE, Cao JG, Zng GY, Shen C, Li YL, Zhou MC, Chen Y, Pu W, Potter L, Shi YE. Vitexins, nature-derived lignan compounds, induce apotosis and suppress tumor growth. Clin. Cancer Res. 15: 5161-5169 (2009) 

  34. Choiprasert W, Dechsupa N, Kothan S, Garrigos M, Mankhetkorn S. Quercetin, quercetrin except rutin potentially increased pirarubicin cytotoxicity by non-competitively inhibiting the P-glycoprotein- and MRP1 function in living K562/adr and GLC4/adr cells. Am. J. Pharmacol. Toxicol. 5: 24-33 (2010) 

  35. Miean KH, Mohamed S.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s, J. Agr. Food Chem. 49: 3106-3112 (2001) 

  36. Chung IM, Yeo MA, Kim SJ, Moon HI. Protective effects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from the seeds of Vigna radiate L.wilczek against antioxidant mechanims. Human Exp. Toxicol. (DOI: 10.1077/0960327110382565) (2010) 

  37. Kim HK, Cheon BS, Kim YH, Kim SY, Kim HP. Effects of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th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and their structurenactivity relationships. Biochem. Pharmacol. 58: 759-765 (1999) 

  38. Dubois RN, Abramson SB, CroffordL, Gupta RA, Simon LS, Van De Putte LB, Lipsky PE. Cyclooxygenase in biology and disease. FASEB J. 12: 1063-1073 (1998) 

  39. Nathan C, Xie QW. Nitric oxide synthase: roles, tolls, and controls. Cell 78: 915-918 (1994) 

  40. Dugasani S, Pichika MR, Nadarajah VD, Balijepalli MK, Tandra S, Korlakunta JN. Compara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6]-gingerol, [8]-gingerol, [10]-gingerol and [6]-shogaol. J. Ethnopharmacol. 127: 515-520 (2010) 

  41. Dannenberg AJ, Altorki NK, Boyle JO, Dang C, Howe LR, Weksler BB, Subbaramaiah K. Cyclo-oxygenase-2: A pharmacological target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Lancet Oncol. 2: 544-551 (2001) 

  42. Kwon ES, Kim H, Kwon H. Inhibitory effects on the enzymes involved in the inflammation by the ethanol extracts of plant foodstuff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48-35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