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보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Breast Self-examination Program Enriched Environmentally among Healthy Wome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2, 2010년, pp.105 - 115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김소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nrichment program on barrier, benefit, confidence, and compli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women at 3 months after instruction.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among 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의 효과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영향력이 없어져 유방자가검진 연구에서 교육과 함께 엽서나 전화 등을 통한‘reminder’가 없어졌을 때 그 규칙성과 지속성도 중지될 수 있다(Clarke & Savage, 1999).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방자가간호의 지속성을 생각할 때 교육 프로그램 후에도 교육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건강행위를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는 점에 또 다른 의의가 있다 하겠다.
  • 본 연구는 환경강화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이 여성들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 유익성, 확신성 및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이후, 실험군에게는 환경강화를 주어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환경보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이 성인여성 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 유익성, 확신성 및 유방자가검진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 군 전후연구로써, 유방자가검진 이행의 습관화를 위한 효율 적 중재방안 모색의 하나로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환경보 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은 장애성 지각의 의미있는 감소 와 유방자가검진 이행에 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는 환경보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 유익성, 확신성 및 유방자가검진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Figure 1).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보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 유익성, 확신성 및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의 하나인 공중 목욕시설 내에서의 유방자가검진을 할 수 있게 준비된 물리적 환경과 동료지지가 포함되는 환경보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 유익성, 확신성 및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방자가검진 이행 증진을 위한 환경적 보강의 효과성에 대한 검정으로 이후 건강행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에 대한 깊이있는 탐구의 계기마련에 기여할 수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2. 환경보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의 적용을 받은 실험군은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이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 가설 1. 환경보강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의 적용을 받은 실험군은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이 대조군보다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유방암은 병기 1기에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이어서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유방자가검진, 유방촬영술 및 임상검진이 권장된다(Korean Breast Cancer Society [KBCS], 2009). 이중 유방자가검진은 최근 타 방법에 비해 민감성이 부족하고 사망률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며 논쟁적인 의견(Elmore, Armstrong, Lehman, & Fletcher, 2005)이 나오기도 한다.
유방암의 조기진단을 위해 권장되는 것은 무엇인가? 유방암은 병기 1기에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이어서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유방자가검진, 유방촬영술 및 임상검진이 권장된다(Korean Breast Cancer Society [KBCS], 2009). 이중 유방자가검진은 최근 타 방법에 비해 민감성이 부족하고 사망률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며 논쟁적인 의견(Elmore, Armstrong, Lehman, & Fletcher, 2005)이 나오기도 한다.
유방암의 조기진단을 위한 유방자가검진은 최근 타 방법에 비해 어떠한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는가? 유방암은 병기 1기에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이어서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유방자가검진, 유방촬영술 및 임상검진이 권장된다(Korean Breast Cancer Society [KBCS], 2009). 이중 유방자가검진은 최근 타 방법에 비해 민감성이 부족하고 사망률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며 논쟁적인 의견(Elmore, Armstrong, Lehman, & Fletcher, 2005)이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유방암 환자의 약 90%가 우연히 또는 자가검진을 통해 여성자신이 처음 발견하므로 여전히 유방자가검진의 효과와 필요성은 지지되고 있으며 여성들의 지속적인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KBCS, 2009; Nekhlyudov & Fletcher,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ner, A., Honein, G., & Anne, O. (2002). The determinants of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A focus group study of women in the United Arab Emirates. Oncology Nursing Forum, 29(9), E91-E98. 

  2. Champion, V. L., & Menon, U. (1997). Predicting mammography and breast self-examination in African American women. Cancer Nursing, 20(5), 315-322. 

  3. Choe, M. A., Hah, Y. S., Kim, K. S., Yi, M. S., & Choi, J. A. (2008). A study on exercise behavior, exercise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101-110. 

  4. Choi, K. O. (1996). Effectiveness of teaching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program types for the breast self-examin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5. Clark, V. A., & Savage, S. A. (1999). Breast self-examination training: A brief review. Cancer Nursing, 22(4), 320-326. 

  6. Cohen, M. (2006). Breast cancer early detection, health beliefs, and cancer worries in randomly selected women with and without a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5(10), 873-883. 

  7. Dundar, P. E., Ozmen, D., Oxturk, B., Hasploat, G., Akyildiz, F., Coban, S., et al. (2006).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mammography in a group of women in a rural area in western Turkey. BioMed Central Cancer, 24, 6-43. 

  8. Elmore, J. G., Armstrong, K., Lehman, C. D., & Fletcher, S. W. (2005). Screening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3(10), 1245-1256. 

  9. Hur, H. K., Park, S. M., & Kim, G. Y. (2004). Factors related to the stage of mammography screening in married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dult Academy Nursing, 16(1), 72-81. 

  10. Janda, M., Stanek, C., Newman, B., Obermair, A., & Trimmel, M. (2002). Impact of videotaped information on frequency and confide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Breast Cancer Research Treatment, 73(1), 37-43. 

  11. Jirojwong, S., & MacLennan, R. (2003). Health beliefs, perceived self-efficacy, and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Thai migrants in Brisban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1(3), 241-249. 

  1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9). Common knowledge for breast cancer. Retrieved July 17, 2009, from http://www.kbcs.or.kr. 

  13. Lee, E. H., Kim, J. S., & Song, M. S. (2002).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Champion's health belief model scale with Korean women. Cancer Nursing, 25(5), 391-395. 

  14. Lee, E. O., Lim, N. Y., & Park, H. A. (1998). Nursing.medical research &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5. Lee, Y. W., & Lee, E. H. (2001). Predicting factors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dult Academy of Nursing, 13(4), 551-559. 

  16. Lierman, L. M., Young, H. M., Powell-Cope, G. Georgiadou, F., & Benoliel, J. Q. (1994). Effects of education and support on breast self-examination in older women. Nursing Research, 43(3), 158-163. 

  17. Ludwick, R., & Gaczowski, T. (2001). Breast self exams by teenagers: Outcome of a teaching program. Cancer Nursing, 24(4), 315-319. 

  18. Malotte, C. K., Jarvis, B., Fishbein, M., Kamb, M., Iatesta, M., Hoxworth, T., et al. (1986). Assessing breast self-examination compliance in the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Beha vioral Medicine, 9(4), 363-371.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The analysis of patient with cancer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2007). Retrieved March 15, 2009, from http://stat.mw.go.kr 

  20. Nahcivan, N. O., & Secginli, S. (2007). Health beliefs related to breast self-examination in a sample of Turkish women. Oncology Nursing Forum, 34(2), 425-432. 

  21. Nekhlyudov, L., & Fletcher, S. (2001). Is it time to stop teaching breast self-examination?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4(13), 1851-1854. 

  22. Park, S. M., Hur, H. K., Kim, G. Y., & Song, H. Y. (2007). A descriptive study for developing a program to promote compliance with regular breast self-examination (BS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2), 88-97. 

  23. Pender, N. J. (1997). Health promotion in health practice (M. A. Choi, & I. S. Lee, Trans.) Seoul: Hyunmoo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24. Rosenstock, I. M., Strecher, V. J., & Becker, M. H. (1988).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ly, 15(2), 175-183. 

  25. Salazar, M. K., & Carter, W. B. (1993). Evaluation of breast self examination beliefs using a decision model. Western Journal Nursing Research, 15, 403-21. 

  26. Seo, Y. O. (2003). The difference of wome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education after education for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dult Academy of Nursing, 15(1), 5-13. 

  27. Stamler, L. L., Thomas, B., & Lafreniere, K. (2000). Working women identify influences and obstacles to breast health practices. Oncology Nursing Forum, 27(5), 835-842. 

  28. Tennessen, C., & Cimprich, B. (1995). Views to nature: Effects on atten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 77-85. 

  29. Thomas, B., Stamler, L. L., Lafreniere, K. D., & Delahunt, T. D. (2002). Breast health educational interventions: Changes in beliefs and practice of working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s, 50(10), 460-467. 

  30. van Praag, H., Kempermann, G., & Gage, F. H. (2000). Neural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enrichment.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3), 191-198. 

  31. Yang, Y. H. (2007). The effect of BSE education with practice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 14(2), 189-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