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완요법이 조기진통 임부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on Anxiety and Stres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4, 2010년, pp.336 - 347  

최명숙 (서일대학 간호과) ,  박영주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laxation therapy on state anxiety, preterm labor stress, blood pressure, skin temperature, pulse rate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and heart rate of their bab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5 pregnant women with preter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완요법이 조기진통 임부의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반복측정이 있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의 유사 실험연구로, 본 연구의 연구설계는 Figure 1과 같다.
  • 자료수집은 분만실 간호사를 교육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간호사에게 연구진행과정을 설명하고 각 도구 기록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혈압계와 맥박측정, 태아심박동측정에 있어 일관성이 있도록 확인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기하였고 피부온도측정법에 대해서도 사용방법에 대해교육하고 반복 실습하여 정확성을 기하였다. 간호사는 CD player에 연결된 이어폰을 대상자에게 연결해주고 시작 버튼을 누른 후 이완요법 내용이 담긴 CD를 7분 동안 듣도록 하였다.
  • 이완요법은 조기진통임부에게 입원 후 진통 억제제 β교감신경 흥분제(Yutopar)를 적용한 후 5일간 오전 8~10시 사이 1회, 오후 8~10시 사이 2회 처치하였다. 이는 사전 조사에서 오전 한번 처치의 효과보다는 12시간 마다 이완요법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사료되어 1일 2회 실시하였으며, Shim(2005)의 연구에서 복식호흡의 효과를 보는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단기효과보다는 입원기간의 지속적인 이완요법 효과의 변화과정을 측정하고자 입원 5일간 관찰하였다. 실험처치를 5일간 적용한 것은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기간을 고려하여 결정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조기진통 임부의 증상이 완화되어 안정되는 시기가 5일 이후로 판단되어 입원일 부터 5일간 이완요법을 적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조기진통 임부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근육 이완법, 호흡법 및 이완을 유도하는 이미지 상상하기를 하위 구성요소로 하는 이완요법을 구성하고 이를 음악을 배경으로 CD로 제작하여 조기진통 임부가 반복적으로 일관되게 적용 가능하도록 실험을 계획하고 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불안과 스트레스의 심리적인 반응과 불안의 생리적인 반응인 혈압, 맥박과 피부온도 및 태아심박동 변화를 측정하여 향후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의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이완요법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 것이다.
  • 이완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맥박수와 태아심박동수가 낮을 것이다. 이완요법 적용 3일후 실험군의 맥박수는 92.
  • 가설 2. 이완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 이완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축기 · 이완기 혈압이 낮을 것이다.
  • 이완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낮을 것이다.
  • 가설 5. 이완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임부맥박과 태아심박동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4. 이완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피부온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기진통은 무엇인가? 조기진통(preterm labor)은 임신 37주 이전에 자궁경관의 개대(dilation)와 소실(effacement)이 동반되면서 규칙적으로 자궁수축이 있는 것으로(Susan, 2009), 조기진통이 진행되어 20~37주 사이에 분만하는 것을 조산(preterm birth)이라 한다(Lee & Lee, 2010; Susan, 2009). 조산의 발생빈도는 전체 임신의 6~15%로 주산기 이환율과 사망률의 가장 큰 원인이 되며 선천성 심장질환, 뇌성마비, 실명, 난청, 만성폐질환, 감염 등의 장기적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조기진통 임부의 일반적인 관리는 병원에 입원하여 진통억제제를 투여 받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무슨 일이 생기는가? 그동안 조기진통 임부의 일반적인 관리로는 임신기간 연장을 위하여 병원에 입원하여 침상안정을 취하면서 진통억제제(tocolytic drug)를 투여 받는 것이다(Shin, 2006; Susan,2009). 이 과정에서 조기진통 임부들은 가족들과 분리되어 낯선 병원 환경에 적응해야 하고, 절대안정으로 인하여 활동이 제한되며, 조산의 가능성 및 태아의 안녕에 대한 염려 등으로 불안, 스트레스, 신체적 불편감 및 피로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03; Kim, Lee, Cho, & Lim,2009; Moon, 2006; Ryu & Shin, 2009).
조산으로 인한 후유증은 무엇이 있는가? 조기진통(preterm labor)은 임신 37주 이전에 자궁경관의 개대(dilation)와 소실(effacement)이 동반되면서 규칙적으로 자궁수축이 있는 것으로(Susan, 2009), 조기진통이 진행되어 20~37주 사이에 분만하는 것을 조산(preterm birth)이라 한다(Lee & Lee, 2010; Susan, 2009). 조산의 발생빈도는 전체 임신의 6~15%로 주산기 이환율과 사망률의 가장 큰 원인이 되며 선천성 심장질환, 뇌성마비, 실명, 난청, 만성폐질환, 감염 등의 장기적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der, J., Fink, N., Bitzer, J., Hosli, I., & Holzgreve, W. (2007).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pregnancy; A risk factor for obstetric, fetal and neonatal outcom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aternal Fetal and Neonatal Medicine, 20 (3), 189-209. 

  2. An, J. D. (2004). The effect of Taekwondo players' stress decrease on abdominal breathing and medit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8 (2), 172-187. 

  3. An, S. E. (2008).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and labor time in primipara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 (3), 196-204. 

  4. Astin, J. A., Shapiro, S. L., Eisenberg, D. M., & Forys, K. L. (2003). Mind-body medicine: State of the scie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Journal of American Board of Family Practice, 16 (2), 131-147. 

  5. Benson, H., Beary, J. F., & Carol, M. P. (1974). The relaxation response. Psychiatry, 37, 37-46. 

  6. Chang, S. B., Kim, H. S., Ko, Y. H., Bae, C. H., & An, S. E. (2009).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blood pressure, peripheral skin temperature and saturation oxygen of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1), 32-43. 

  7. Chang, S. B., Park, H. J., Bae, C. H., & Shim, J. O. (2007). Th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preterm labor anxiety and frequency of uterine contrac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3), 31-41. 

  8. Cunningham, F. G., Leveno, K. J., Bloom, S., & Hauth, J. C. (2009). Williams obstetrics. (23rd ed). New York: McGraw-Hill. 

  9. Gennaro, S., & Hennessy, M. D. (2003).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Impact on preterm birt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Neonatal Nursing, 32 (5), 668-675. 

  10. Gift, A. G. (1989). Visual analog scales: Measurement of subjective phenomena. Nursing Research, 38 , 286-288. 

  11. Han, C. J., & Jun, H. Y. (2009). The effect of foot reflexology on stress decrease in Korea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7 (4), 37-45 

  12. Jacobson, J. E. (1974). progressive relaxation(3r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Kim, H. K. (2003). Stress and copying style of women with preterm lab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 (11), 1220-1223. 

  15. Kim, J. Y. (2010), The effect of imagery-centered music listening on relaxation of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K. H., & Jeon, K. K. (1994). Stress coping and effect of college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 (2), 229-237. 

  17. Kim, K. S., Lee, S. W., Choe, M. A., Yi, M. S., Choi, S., & Kwon, S. H. (2005).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training using biofeedback on stress, immune respons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7), 1295-1303. 

  18. Kim, M. K., Lee, Y. W., Cho, I. S., & Lim, J. Y. (2009).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after hospitalization in preterm labor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1), 24-31. 

  19. Kim, M. O. (2008). The effect of a mind-body therapeutic program for infertile women repeating IVF treatment on uncertainty, anxiety, and implantation r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Kwak, E. J. (2006). The effects of pre-delivery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reduction of anxiety and stress of the primigravida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8 (2), 1-21. 

  21. Lee, K. H., & Lee, Y. S. (2010). Maternity and women's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sa. 

  22. Moon, D. H. (2006). The comparative study with fatigue, anxiety and stress between full-term and preterm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3. Oh, J. (2007). Effect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stress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of women with preterm labor. Journal of Parent-Child Health, 10 (2), 99-109. 

  24. Park, J. S. (1993). A study on Korean imaginations of relax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 (1), 29-41. 

  25. Payne, R. (1995). How to use instant relaxation methods. Nursing Standard, 10, 23-25. 

  26. Ryu, K. H., & Shin, H. S. (2009).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2), 140-149. 

  27. Shim, J. O. (2005). Th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preterm labor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Shin, J. C. (2006). Recent trends in management of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9 (7), 1403- 1409. 

  29. Susan, S. R. (2009). Maternity, newborn, and women's health nursing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0. Yu, W. J., & Song, J. E. (2010). The effect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3), 442-4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