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온에 따른 영산강 식물플랑크톤군집 변동
Water Temperature and Community of Phytoplankton in Youngsan River,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8 no.2, 2010년, pp.56 - 63  

정은정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나정은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규만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심성순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학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산강의 7 조사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분포양상을 수온과 관련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 상지역에서 1년간의 조사를 통해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녹조류가 48속의 123종(46%), 규조류가 27속의 89종(34%) 그리고 남조류가 12속의 25종(9%) 등으로 총 265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구분은 Fenchel (1987)이 제시한 2~20 ${\mu}m$m의 미소식물플랑크톤, 20~200${\mu}m$의 소형식물플랑크톤, 200 이상의 중형식물플랑크톤으로 하여 각각의 크기그룹의 분포양상을 조사한 결과 클로로필 a의 농도는 미소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영산강의 식물플랑크톤으로 미소식물플랑크톤이 중요한 구성원임을 알 수 있었고, 수온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모든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가 수온과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소식물플랑크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관도를 보여주었다. 소형식물플랑크톤은 수온이 낮은 시기에 개체수가 많았으며 중형식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larify the ecological properti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nd the rel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size-fractionation measurements were studied from November 2004 to August 2005 in Youngsan River, Korea. A total of 265 phytoplankton species was i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의미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분포양상과 환경과의 상관성 분석은 하천의 생태계 이해에 중요한 접근이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계에서 크기 구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 ∙ 공간적 분포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과 여러 환경인자들과의 관계를 파악해서 향후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화가 일어나면, 식물플랑크톤은 수질 및 수생태계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나? 영양염의 농도와 조도, 수온 등의 조건이 성장에 유리한 상황이 되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이 일어나 수중 생태계에서 일차 생산성을 촉진하거나 과다증식으로 수면을 뒤덮는 수화현상(blooming)을 일으키는데(박 1991; Barnes and Mann 1991; Wetzel 1999; Graham and Wilcox 2009), 수화(水華)가 일어나면 식물플랑크톤은 스스로 광(light)흡수인자로 작용하여 빛의 투과를 막아 자신들의 성장을 방해하고(self-shading, Krik 1994), 포식되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은 식물플랑크톤이 호기성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거치면서 저층의 용존산소를 고갈시켜 저 산소(hypoxia) 또는 무산소(anoxia)상태가 되어 수질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Sundback et al. 1990; Horne and Goldman 1994), 독성을 가지는 조류의 대발생을 일으켜 수생태계 및 수산업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Harper 1992; Graham and Wilcox 2009).
식물플랑크톤은 크기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나요? 일반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은 크게 중형플랑크톤(mesophytoplankton, 200 μm 이상), 소형플랑크톤(microphytoplankton, 20~200 μm), 미세플랑크톤(nanophytoplankton, 2~20 μm), 극미플랑크톤(picophytoplankton, 0.2~2 μm), 펨토식물플랑크톤(0.2 μm 이하)로 분류하며, 이중 미세 플랑크톤은 수중 생태계내 microbial loop를 통한 에너지 전환 역할에서의 중요성이 보고되었다(Barnes and Mann 1991; Wetzel 1999). 그러나 식물플랑크톤을 크기에 따라 나누는 이러한 분류는 계통학적인 것이 아니고 형태적인 구분이기 때문에 이들의 분포양상이 환경과 어떤 관련을 가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크기 구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이 의미있는 이유는? 이와같이 식물플랑크톤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수서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이며, 수질 변화에 따라 현존량과 종조성이 크게 변화하는 수서생태계의 일차생산자이기 때문에 그들의 분포를 보면 수중 환경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이 1994).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생물학적 요인인 현존량, 종조성 등과 이화학적 요인 조사를 근간으로 하여 이들의 계절적 변화와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강과 호수의 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용재, 김명운, 김상종. 1998. 한강 중?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특성. Algae 13:331-338. 

  2. 박원훈. 1991. 호수 만입부에서의 조류 대량 증식 제어기술 개발. 과학기술처 보고서. 45-46pp. 

  3. 이 경, 윤숙경. 2002. 임진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5:111-122. 

  4.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군집분포 특성. Ocean Polar Res. 27:149-159. 

  5. 이옥민. 1994. 주암호의 연간('92)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27: 327-337. 

  6. 위인선. 1974. 영산강의 저서생물에 대한 생물학적 수질 판정. 한국육수학회지. 7:29-43. 

  7. 최민규, 김백호, 최규철. 1995. 영산강 상류의 담수조류 분포에 관한 연구(I) - 광주지역 상수원을 중심으로 - 대한위생학회지. 10:45-65. 

  8. 한국 기상청. 2004-2005. 기후정보. 

  9. Bailey-Watts AE. 1988. Studies on the control of the early spring diatom maximum in Loch Leven. 1981. In: Round E.F. (ed.) Algae and the Aquatic Environment. Biopress, 53-87pp. 

  10. Barnes RSK and KH Mann. 1991. Fundamentals of Aquatic Ecolog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1. Brower T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c. Brown Company. 143-145pp. 

  12. Bruno SF, RD Staker, GM Sharma and JT Turner. 1983. Primary productivity and phytoplankton size fraction dominance in a temperate North Atlantic estuary. Estuaries 6:200- 211. 

  13. Dongfang Y, G Zhenhui, C Yu, W Peigang and S Peiyan. 2004. Influence of seawater temperature on phytoplankton growth in Jiaozhou Bay, China. Chinese Journal of Oceanology and Limnology 22:166-175. 

  14. Fenchel T. 1987. Ecology of Protoza. Science Tech Publishers, Madison, Wisconsin and Springer-Verlag, Berlin. 

  15. Goldman JC and JH Ryther. 1976. Temperature-influenced species competition in mass cultures of marine phytoplankton. Biotechnol. Bioeng. 18:1125-1144. 

  16. Graham LE and LW Wilcox. 2009. Algae. Prentice Hall, New York. 

  17. Har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waters-Principles, Problems and Restoration-Chapman and Hall, London. 

  18.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2nd Ed. Mc- Graw-Hill Inc., New York. 

  19. Hutchinson GE. 1967. A Treatise on Limnology. Vol. II. Introduction to Lake Biology and the Limnoplankt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115pp. 

  20. Jimenez FJ, BB Rodriguez and V Rodriguez. 1987. Relations between chlorophyll, phytoplankton cell abundance and biovolume during a winter bloom in Mediterranean costal water. J. Exp. Mar. Bio. Ecol. 105:161-173. 

  21. Kalff J. 2002. Limnology. Prentice Hall, New Jersey. 

  22. Kanoshina I, U Lips and JM Leppanen. 2003. The influence of weather conditions (temperature and wind) on cyanobacterial bloom development in the Gulf on Finland (Baltic Sea). Harmful Algae 2:29-41. 

  23. Krik JTO. 1994. Light and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75-77p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24. Lampert W and U Sommer. 1997. Limnoecology - The Ecology of Lakes and Streams -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5. Malone TC and PJ Neale. 1981. Paramaters of light-dependent photosynthesis for phytoplamkton size fractions in temperate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 Bio. 61:289-297. 

  26. McNaughton SJ. 1968.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168-169. 

  27. Odata T and M Yanada. 1993. Phytoplankton carbon biomass estimated from the size-fractionated chl. a concentration and cell density in the northern coastal waters from spring bloom to summer. Bull Plankton Soc. Japan 39:127-144. 

  28. Schelske CL and EF Stoermer. 1972. Phosphorus, silica and eutrophication of Lake Michigan. Nat. and Eutrophicat. Spec. Symp. Amer. Soc. Limnol. Oceanogr. 1:157-171. 

  29. Shannon CF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ois press, Urbana. 1-117pp. 

  30. Shubert LE. 1984. Algae as Ecological Indicators. Academic Press, London. 

  31. Sundback K, B Joensseon, P Nilsson and I Lindstroem. 1990. Impact of accumulating drifting macroalgae on a shallow water sediment system: an experimental study. Mar. Ecol. Prog. Ser. 58:261-274. 

  32. Tryfon E and M Moustaka-Gouni. 1997.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cycles of phytoplankt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anoplankton of Lake Mikri Prespa. Hydrobiologia 351:61-75. 

  33. Wetzel RG. 1999.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3r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1006pp. 

  34. Wetzel RG and GE Likens. 2000. Limnological Analyses. Springer. New York, U.S.A. 429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