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 관련 요인이 자궁근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Health-related Factors on Uterine Myoma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 2010년, pp.325 - 333  

최지현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정구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성의 자궁근종에 대한 유병률을 초음파진단장비로 확인하고 건강 관련 요인과 자궁근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건강 관련 요인이 자궁근종의 발생에 미치는 구체적인 발생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자궁근종이 진단된 모집단과 자궁근종이 없는 대조군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초음파진단 장비로 진단된 자궁근종의 유병률은 29.7%로 나타났으며, 자궁근종군의 연령분포는 40~49세가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자궁근종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연령, 결혼력, 직업의 활동량, 생활의 만족도, 체중, 비만도, 분만력, 수유, 유산, 피임 등은 자궁근종과의 상관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alence of female uterine myoma was determined using ultrasound diagnosis instrument, and correlation between health-related factors and uterine myoma was analyzed to investigate concrete factors for production of uterine myoma. Subjects in uterine myoma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sked to ans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자궁근종이 진단된 모집단과 자궁근종이 없는 대조군을 대상으로 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관련 요인에 따른 자궁근종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관련 인자와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자궁근종의 보다 구체적인 발생인 자를 이해하고 자궁근종의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 T. Baird, T. A. Bramley, and T. A. Hawkins, "Effect of treatment with LHRH analogue Zoladex on binding of oestradiol, Progestrone and epidemal growth factor to Uterine fibromyoma," Horm, Vol.32, No.1, pp.154-156, 1989 

  2. D. D. Brandon, T. E. Erickson, and E. J. Keenan,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human Uterine leiomyoma," J. Clin. Endocrinol. Metab., Vol.80, No.6, pp.1876-1881, 1995. 

  3. V. C. Buttram Jr and R. C. Reiter, "Uterine leiomyoma:Etiology,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Fertil. Steril., Vol..36, No.4, pp.433-445, 1981. 

  4. G. P. Flake and J. A. Darlene Dixon,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Uterine leiomyomas:A review,"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Vol.111, No.8, pp.1037-1054, 2003. 

  5. F. Paraziini, C. La Vecchia, and E. Negri,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uterine fibroids:a case-control study," Obstet Gynecol, Vol.72, No.6, pp.853-857, 1988. 

  6. A. S. Lev-Toaff, B. G. Coleman, P. H. Arger, "Leiomyomas in pregnancy;sonographic study," Radiology, Vol.164, No.2, pp.375-380, 1987. 

  7. Donna Day Baird, David B. Dunson, Michael C. Hill, "High cumulative incidence of Uterine leiomyoma in black and white women:Ultrasound evidence," AM. J. Obstet. Gynecol., Vol.188, No.1, pp.100-107, 2003. 

  8. F. Chiaffarino, F. Paraziini, C. La Vecchia, "Diet and Uterine myomas," Obstet. Gynecol., Vol.94, No.3, pp.395-398, 1999. 

  9. L. H. Arthur, R. M. Daniel, A. S. Jr. Morton, Comprehensive Gynecology, 2nd ed. St. Louise, Mosby, p.182, 1992. 

  10. C. K. Requard, F. A. Mettler, and J. D. Wicks, "Preoperative sonography of malignant ovarian neoplasms," AJR, Vol.137, No.1, pp.79-82, 1981. 

  11. 홍대기, 자궁근종 관련인자의 역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2006. 

  12. 강은정,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3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3.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 2000. 

  14. 박정규 외 8인, “자궁근종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제48권, 제2호, pp.436-445, 2005. 

  15. 황성연 외 3인, “자궁근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연구”, 원광의과학, 13권, 12호, pp.87-96, 1997. 

  16. S. A. Shikora, J. M. Niloff, and B. R. Bistrian,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Uterine leiomyoma," Nutrition, Vol.7, No.4, pp.251-255, 1991. 

  17. F. Sato, M. Nishi, and R. Kudo, "Body fat distribution and Uterine leiomyomas," J. Epidemiol, Vol.8, No.3, pp.176-180, 1998. 

  18. L. M. Marshall, D. Spiegelman, and M. B. Goldman, "A prostective study of reproductive factors and oral contraceptive use in relation to the risk of Uterine leiomyoma," Fertil. Steril., Vol.70, No.3, pp.432-439, 1998. 

  19. F. Chiaffarino, F. Paraziini, and C. Vecchia, "Use of oral contraceptive and Uterine fibroids:results from a case-control study," Br. J. Obstet. Gynecol. Vol.106, No.8, pp.857-860, 1999. 

  20. L. Bernstein, M. C. Pike, and P. K. Ross, "Estrogen and sex hormone-binging globulin levels in nulliparous and parous women," J. Natl. Cancer Inst., Vol.74, No.4, pp.741-745, 1985. 

  21. Renee Boynton-Jarrett, Janet Rich-Edwards, and Susan Malspeis, "A Prospective study of Hypertension and Risk of Uterine leiomyoma," AM. J. Epidemiology, Vol.161, No.7, pp.628-63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