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강서구 조성녹지축의 야생조류 서식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Wildbirds Habitat of Artificial Green Corridor in Gangseo-gu, Seoul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9 no.1, 2010년, pp.47 - 59  

최진우 ((주)기술사사무소 L.E.T 부설 에코플랜연구센터)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irdbirds habitat for improvement plan in green corridor. The target site, Gangseo-gu artificial green corridor was set up with the structure in which small scale of core green space with Goongsan and Yeomchang neighborhood parks in urbanized city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내 파편화된 소규모 산림을 연결하는 서울시 강서구 조성녹지축을 대상으로 서식처의 공간적 특성과 식물생태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야생조류의 서식 및 이동현황을 파악하여 야생조류 목표 종의 서식환경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내 파편화된 소규모 산림을 연결하는 서울시 강서구 조성녹지축을 대상으로 야생 조류 목표 종의 서식환경 관리를 제안하고자 서식처의 공간적 특성과 식물생태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야생조류의 서식 및 이동현황을 파악하였다. 대상지 조성녹지 축은 핵심녹지인 궁산근린공원, 염창근린공원을 양 끝으로 하여 연결녹지 인 공암나루근린공원, 황금 내 근린공원, 구암근린공원이 핵심녹지 사이에 긴 선형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 본 연구는 도시내 파편화된 소규모 산림을 연결하는 조성녹지축을 대상으로 야생조류 목표종의 서식환경 관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처의 구조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향후에는 도시녹지 축을 연결하는 다른 유형의 대상지를 함께 조사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며, 목표종의 선호하는 서식처 환경과 대상지 녹지축의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서식처 관리계획이 연구되어야 할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acArthur R. and E. O. Wilson, 1963.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ceton Univ, Press, New Jersey, 203pp. 

  2. Shaw J. H., 1985, Introduction to wildlife management, McGraw-Hill Book Campany, 316pp. 

  3. 半田眞理子, 1989, 都市の生態系と練, 綠の讀本 10, 3-10. 

  4. Galli A. E., C. F. Leek and R. T. T. Forman, 1976, Avian distribution patterns in forest island of different sizes in Central New Jersey, Aug, 93, 356-382. 

  5. Tilghman N. G., 1987, Characteristics of urban woodlands affecting breeding bird diversity and abunda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 415-495. 

  6. 박찬열, 1994, 야생조류의 서식에 적합한 도시환경림 조성 및 관리 방안, 석사학위논문, 산림자원학과, 서울대학교, 수원. 

  7. Hounsome M., 1979, Bird life in the city -Nature in cites- Pitman Press, New York, 281pp 

  8. 이우신, 1997, 도시내 야생조류의 서식현황과 보호 대책 -서울시를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2) 240-248. 

  9. Askins R. A., 1987,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abundance of forest and the composition of forest bird community, Biol. Conserv., 39, 129-152. 

  10. Bender D. J., 1998, Habitat loss and population decline: a meta-analysis of the patch size effect, Ecology, 79, 517-533. 

  11. 이수동, 2005,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녹지의 연결성 평가 및 연결기법 연구-서울시를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조경학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12. 한봉호, 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경학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국토생태네트워크의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183pp. 

  14. 都市綠花技術開發機構(財), 2002,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위한 생태도시 만들기 가이드-, 시그마프레스, 170pp. 

  15. 서울시, 2004, 공원녹지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기본계획, 301pp. 

  16. 서울시, 2000, 서울특별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 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245pp. 

  17. Pohl W., H. D. Schulze and M. Grobmann, 1984, Gutachten: Werte fur die Landschaftplanung ?Grunvolumenzahl und Bodenfunktionzahl, Schriftenreihe der Umweltbehorde Hamburg. 

  18. Hooper R. G., H. S. Grawford and R. F. Harlow, 1973, Bird density and diversity as related to veget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rea, J. of forestry, 71, 766-799. 

  19. Shannon C. 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cience, 185, 27-39. 

  20. Whittaker R. H., 1972, Evolution and measurement of species diversity, Taxon, 21, 213-251. 

  21. Kurosawa R. and R. H. Askins, 2002, Effect of habitat fragmentation on birds in deciduous forest in Japan, Conservation Biology, 17(3), 695-707. 

  22. Freemark K. E. and B. Collins, 1992, Landscape ecology of birds breeding in temperate forest fragment, Ecology and conservation of neotropical migrant landbird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454pp 

  23. Cieslak M., 1992, Breeding bird communities on forest edge and interior, Ekol. Polska, 40, 461-475. 

  24.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 126pp. 

  25. Root R. B., 1967, The niche exploitation pattern of the blue-gray gnatcather, Ecol. monogr, 37, 317-350. 

  26. Miller W., M. G. Collins, F. R. Steiner and E. Cook, 1998, An approach for greenway suitability analys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2, 91-105. 

  27. Noss R. F., 1993, Wildlife corridor, Ecology of green ways. Lond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 Polis, London, 43-68. 

  28. 이경재, 1999, 축령산 관광단지 조성사업 개발예정지 자연생태계 조사 및 평가, 경기지방공사, 110pp. 

  29. 조우, 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특성 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 박사학위논문, 조경학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30. 환경부, 1997, 도시지역에서의 효율적인 생물서식공간 조성기술의 개발, 858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