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쌀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in Korean Mark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5, 2010년, pp.737 - 744  

양희선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창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시판 쌀국수 10종을 구입하여 3군으로 분류하여 조리 특성과 관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순수 쌀국수의 경우 제조사의 조리방법이나 조리시간에 따라 조리손실률과 경도, 부착성, 인장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쌀가루 혼합 비율이 다른 시료의 비교에서 쌀가루 혼합 비율에 상관없이 국수가 굵을수록 단단하고 조리시간이 긴 시료일수록 부착성이 증가하였다. 불에 직접 삶지 않고 뜨거운 물을 부어 익히는 조리법 시료군이 국수의 조리 손실률이 현저히 낮았다. 특히 실온에서 일정시간 침수 후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하는 쌀국수의 조리 손실률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국수 품질특성간의 상관성 조사에서 국수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부착성, 응집성, 탄력성과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 결과에서 쌀가루 함량보다는 조리방법 및 시간, 국수 굵기, 최종 포장 상태에서 냉동, 냉장, 건면의 차이 등이 조리 특성과 조직감, 관능 특성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통적으로 관능검사에서 덜 단단하고 쫄깃함, 부착성, 매끄러움성, 씹힘성, 탄력성이 높다고 평가될수록 쌀국수의 전반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나 조직감에 의해 쌀국수의 기호성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시판 쌀국수를 시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포장지에 나타난 정보에만 국한하였으며, 국수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쌀 품종, 국수 제조 방법, 첨가물 사용 유무 등을 고려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쌀국수 제품의 포장지에 제시되어 있는 제조사의 조리방법이 제품의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적정 조리 조건이었는지 또한 추후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development of rice noodl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10 kinds of commercial rice noodles were evaluated. Rice noodl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for examination: 100% rice noodles with different shapes; round shape noodles with different rice con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수류에 대한 국내연구는 대부분이 건강 천연 식재료를 첨가한 밀가루 국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고(6-13), 쌀국수 개발 연구(14)는 매우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쌀국수 가공이나 품질 특성에 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쌀국수의 조리 및 관능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한국인의 기호에 맞는 쌀국수의 품질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쌀국수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시판 쌀국수를 3군 으로 분류하여 조리 특성과 관능 특성을 살펴 본 결과는 어떠한가? 국내 시판 쌀국수 10종을 구입하여 3군으로 분류하여 조리 특성과 관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순수 쌀국수의 경우 제조사의 조리방법이나 조리시간에 따라 조리손실률과 경도, 부착성, 인장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쌀가루 혼합 비율이 다른 시료의 비교에서 쌀가루 혼합 비율에 상관없이 국수가 굵을수록 단단하고 조리시간이 긴 시료일수록 부착성이 증가하였다. 불에 직접 삶지 않고 뜨거운 물을 부어 익히는 조리법 시료군이 국수의 조리 손실률이 현저히 낮았다. 특히 실온에서 일정시간 침수 후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하는 쌀국수의 조리 손실률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국수 품질특성간의 상관성 조사에서 국수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부착성, 응집성, 탄력성과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1인당 쌀의 소비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kg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3). 식품의 소비 패턴 변화로 밥을 주식으로 섭취하던 예전과 달리 밥 대신 빵이나 면 종류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어 국민 1인당 쌀의 소비량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대신 밀가루의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어 쌀 재고량이 천만 석을 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쌀 소비의 감소는 쌀 생산량의 감소를 불러와 쌀 산업을 지키고 전체적인 식량 안보를 확보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다.
쌀 소비의 감소는 어떠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가? 식품의 소비 패턴 변화로 밥을 주식으로 섭취하던 예전과 달리 밥 대신 빵이나 면 종류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어 국민 1인당 쌀의 소비량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대신 밀가루의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어 쌀 재고량이 천만 석을 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쌀 소비의 감소는 쌀 생산량의 감소를 불러와 쌀 산업을 지키고 전체적인 식량 안보를 확보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박평식. 2008. 식량위기 시대 세계의 쌀 생산.수출과 대응 전략.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7: 81-206. 

  2. 김병률. 2008. 국제 곡물파동과 식량위기 시대. 한국 농업의 나아갈 방향.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 27-64.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In-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utrition survey-. 

  4. Korea Rice Foodstuffs Association. 2007. The materials of present association conditions. 

  5. Lee JH. 2005. Utilization and preference for noodles. Major in traditional dietary life food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7. Kwak YJ. 1999. Influence of konjac flour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noodle.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8. Hyun YH, Hwang YK, Lee YS. 2001. A study of cooking properties of the noodle made of composite flour with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295-304. 

  9. Lee JW, Kee HJ, Park YK, Rhim JW, Jung ST, Ham KS, Kim IC, Kang SG. 2000.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98-305. 

  10. Bang SJ, Shin IS, Kim SM. 2006. Optimum process condition of noodles with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8-74. 

  11. Jeong GM, Kwon JS. 1998. Properties of dried wheat flour noodles blended with Chinese-yam powder. Bulletin of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5: 89-98. 

  12. Kim JY.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oat flour.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13. Hong SP, Jun HI, Song GS, Kwon KS, Kwon YJ, Kim YS. 2004.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ice-added dry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95-799. 

  14. Kim JS, Kim SB, Kim TY. 2006.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goami rice composite flour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7: 61-68. 

  15. Park HK, Lee HG. 2005.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rice noodle added with isolate soybean protein.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26-338. 

  16.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17. Kim UJ, Yoon JY, Kim HS. 2002.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92-697. 

  18. Park BH, Cho H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made with Dioscorea japonica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73-180. 

  19. Lee CH, Park SH. 1982. Studies on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of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1-29. 

  20. Bhattacharya M, Zee SY, Corke H.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quality of rice noodles. Cereal Chem 76: 861-867. 

  21. Lee YT, Jung JY.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β-glucan enriched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05-409. 

  22. Fu BX. 2008. Asian noodles: history, classification,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Food Research International 41: 888-902. 

  23. 이철호. 1991. 전통면류의 제법과 품질특성. Korean J Dietary Culture 6: 105-122. 

  24. Jo JC. 1999. Cooking quality of noodle affected by NaCl. Culinary Research 5: 471-483. 

  25. Kim SK, Kim HR, Bang JB. 1996. Effects of alkaline reagent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noodle property.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58-65. 

  26. Lee CH, Gore PJ, Lee HD, Yoo BS, Hong BS. 1987. Utilization of Australian wheat for Korean style dried noodle making. J Cereal Sci 6: 283-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