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지상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8 no.6, 2010년, pp.373 - 378  

오영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서하림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유미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동선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utilization of the aerial par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PCO),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aerial parts and rhizomes of C. officinale were measured using DPPH and ABTS radicals, and nitrite scavenging assays. The ethyl acetate (EA) fraction prepared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천궁의 미활용 부위인 지상부의 기능성 및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천궁 지상부와 근경을 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한 후, 각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 천궁 근경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이미 밝혀져 있으나 (Joeng et al., 2009; Lee et al., 2002) 천궁 지상부의 항산화활성에 대한 연구 자료가 미흡하여, 본 연구에서는 천궁의근경과 지상부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 비교하였다. 천궁 지상부 추출물의 DPPH 소거활성은 EA 분획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궁이란?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 (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높이가 30~60 ㎝ 정도인 약용식물 자원으로서, 여름철에 수확하여 줄기, 잎, 수근을 제거하고, 그 뿌리나 지하부 (근경)를 건조한 후 얇게 세절하여 약용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천궁은 국내에서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성 제한적 원료’로 분류되어 천궁 뿌리의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천궁의 수확 시기는?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 (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높이가 30~60 ㎝ 정도인 약용식물 자원으로서, 여름철에 수확하여 줄기, 잎, 수근을 제거하고, 그 뿌리나 지하부 (근경)를 건조한 후 얇게 세절하여 약용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천궁은 국내에서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성 제한적 원료’로 분류되어 천궁 뿌리의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미나리과에 속하는 천궁의 지상부에 대해 과거 문헌에 쓰인 효능은? 그러나 천궁에 대한 연구는 주로 약리 작용이 알려진 뿌리에 한정되어 있으며, 천궁의 지상부 (잎과 줄기)의 생리활성및 활용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며, 천궁 지상부는 약용작물 재배농가에서도 농업 부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천궁 지상부에 관해서는 과거 문헌에 의하면, 천궁의 어린잎은 쌈이나 나물로 무쳐 먹거나, 국거리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방향성이 강해 목욕제로 사용하면 냉증이나 신경통, 혈액순환에 효력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Choi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3. 

  2. Choi HY, Jung K and Shin HS.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the various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rtner).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8:1051-1054. 

  3. Choi HS, Kim MS and Sawamura Masayoshi. (2002).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plant. Flavour and Fragrance Journal. 17:49-53. 

  4.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and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15-120. 

  5. Gray JI and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ournal of Food Science. 40:981-982. 

  6. Heo JS, Cha JY, Kim HW, Ahn HY, Eom KU, Heo SJ and Cho YS. (2010). Bioactive materials and biological activity in the extracts of leaf, stem mixture and root from Angelica gigas Nakai. Journal of Life Science. 20:750-759. 

  7. Jang SH, Yu EA, Han KS, Shin SC, Kim HK and Lee SG. (2008). Changes i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grimonia pilosa according to harvest time and various par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397-401. 

  8. Jeong JB, Park JH, Lee HK, Ju SY, Hong SC, Lee JR, Chung GY, Lim JH and Jeong HJ. (2009). Protectiv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Cnidium officinale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via antioxidant effect.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7:525-529. 

  9. Jung DS and Lee NH.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s extrac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herb.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5: 30-35. 

  10. Kim SK, Kim YH, Kang DK, Chung SH, Lee SP and Lee SC. (1998).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leaf of Saururus chinensis, Angelica dahurica and Cnidium officinal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299-304. 

  11. Kim JM, Son D, Lee P, Lee KJ, Kim H and Kim SY. (2003).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inhibits neuronal cell death by reduction of excessive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t hippocampal slice cultures and microglia cells.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 92:74-78. 

  12. Kobayashi M, Fujita M and Mitsuhashi H. (1984). Componen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occurrence of pregnenolone, coniferylferulate, ferulate and hydroxylphthalides.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2:3770-3773. 

  13. Kwak DH, Kim JK, Kim JY, Jeong HY, Keum KS, Han SH, Rho YI, Woo WH, Jung KY, Choi BK and Choo YK. (2002). Antiangiogenic activitie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Tabanus bovinu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81:373-379. 

  14. Kwon JH and Ahn YJ. (2002). Acaricidal activity of butylidenephthalide identified in Cnidium officinale rhizome against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Acari: Pyroglyphida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0:4479-4483. 

  15. Kwon JW, Lee EJ, Kim YC, Lee HS and Kwon TO. (2008).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9:155-163. 

  16. Lee CB. (1985). Encyclopedia of Korean plants. HyangMunSa. Seoul, Korea. p.583. 

  17. Lee JH, Choi HS, Chung MS and Lee MS. (2002). Volatile flavour compon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nidium officinal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4:330-338. 

  18. Lee SY, Kim MJ, Yim DS, Chi KJ Kim HS. (1990). Phthalide content of Cnidium rhizome.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1:69-73. 

  19. Nam KS, Son OL, Lee KH, Cho HJ and Shon YH. (2004). Effect of Cnidii rhizoma on proliferation of breast cancer cell, nitric oxide production and ornithine decarboxylase activity.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35:283-287. 

  20.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Tsukuba, Japan. p. 61 (in Japanese). 

  21. Re R, Pellegrini N, Proteggena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d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1231-1237. 

  22. Tsukamoto T, Ishikawa Y and Miyazawa M. (2005). Larvicidal and adulticidal activity of alkylphthalide derivatives from rhizome of Cnidium officinale against Drosophila meanogaster.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3:5549-5553. 

  23. Woo JH and Lee CH. (2008). Effect of harvest date on antioxidant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nd D.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 M. Lee & H. J. Choi.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1:128-133. 

  24. Yi EJ. (2004). Control of citrus blue mold and chili pepper anthracnose by ligustilide, and antifungal compound from Cnidium officinale Makino.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