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시험생물종을 이용한 산업폐수 생태독성 평가 및 원인물질 탐색
Ecotoxicity Test of Wastewater by a Battery of Bioassay and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원문보기

환경독성보건학회지 =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v.25 no.3, 2010년, pp.207 - 214  

류태권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  조재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  김경태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  양창용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  정기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  윤준헌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  최경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xicity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dustrial effluent on the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measure the potential and real toxicity of mixed chemicals in the effluents, the biological method (i.e., WET test) should be used as well as chem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먼저 염에 의한 독성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S13 시료에 대해 Phase II 독성원인물질 탐색 단계인 총 용존 고형물 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4). 아울러, S13 시료의 수질오염물질 화학분석 결과(Table 5)를 참조하여 독성원인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K+ 등 7종의 용존 고형물에 대한 분석 결과, 칼슘 이온 및 염소 이온이 각각 13,968 mg/L와 11,961 mg/L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폐수 통합독성평가란 무엇인가? 산업폐수 통합독성평가(Whole Effluent Toxicitytest, WET test)란 지표생물을 이용하여 폐수의 독성을 평가하는 생물학적 독성평가 방법으로 폐수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혼합독성과 화학분석이 되지 않는 미지의 오염물질에 의한 독성까지 통합적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독성평가 기법이다(Ankley and Burkhard, 1992; Kosian et al., 1998).
방류수 통합독성평가가 이용되는 시험생물종은 무엇인가? 이는 기존의 개별 화학물질에 대한 분석에 의한 관리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오염관리기법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배출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수단으로써 활용하고 있다. 현재 방류수 통합독성평가에는 조류,물벼룩, 어류, 발광박테리아 등의 시험생물종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소 2종 이상의 종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Baun and Nyholm, 1996).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2011년부터 물벼룩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이용하여 산업폐수에 대한 통합독성을 평가하는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환경부, 2009).
수계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독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수는 약 246,000여 종에 이르며 국내에서도 약 41,000 여 종의 화학물질이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 종의 새로운 화학 물질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환경부, 2009). 따라서 수계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종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모든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배출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불가능한 일이다(Grothe et al., 1995; Power et al.,2004). 뿐만 아니라, 현행 이∙화학 수질기준을 충족시키는 산업폐수에서도 물벼룩 등 생물체에 대한 생태적 손상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Burgesset al., 1995; 나진성 등, 2004;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토해양부.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2008. 

  2. 나진성, 김기태, 김상돈, 장남익, 김용석. Daphnia magna와 Selenastrum capricornutum을 사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생물독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004; 26(12): 1326-1333. 

  3. 정명규, 나규환, 이장훈, 이종화, 김상규, 황갑수, 안혜원. 환경독성학, 동화기술 2006; 15-55. 

  4.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2008. 

  5. 환경부. 생태독성관리제도 업무편람 2009. 

  6. 환경부.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II) 2009. 

  7. American Gas Group Material Safety Data Sheet, Ammonia, Anhydrous 2010; 1-5. 

  8. Ankley GT and Burkhard LP. Identification of surfactants as toxicants in primary effluent, Environ Toxicol Chem 1992; 11(9): 1235-1248. 

  9. Barata C, Alanon P, Gutierrez-Alonso S, Riva MC, Fernandez C and Tarazona JV. A Daphnia magna feeding bioassay as a cost effective and ecological relevant sublethal toxicity test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toxic effluents, Sci Total Environ 2008; 405(1-3): 78-86. 

  10. Baun A and Nyholm N. Monitoring pesticides in surface water using bioassays on XAD-2 preconcentrated samples, Water Sci Technol 1996; 33(6): 339-347. 

  11. Bielmyer GK, Klaine SJ, Tomasso JR and Arnold WR. Changes in water quality after addition of sea salts to fresh water: implications during toxicity testing, Chemosphere 2004; 57(11): 1707-1711. 

  12. Burgess RM, Ho KT, Tagliabue MD, Kuhn A, Comeleo R, Comeleo P, Modica G and Morrison GE. Toxicity characterization of an industrial and a municipal effluent discharging to the marine environment, Mar Pollut Bull 1995; 30(8): 524-535. 

  13. Carr RS and Nipper M. Porewater toxicity testing: Biological, chemical, and Ecological considerations, SETAC Press, Florida, USA, 2003; 11-94. 

  14. de Vlaming V, Connor V, DiGiorgio C, Bailey HC, Linda A, Deanovic LA and Hinton DE. Application of whole effluent toxicity test procedures to ambient water quality assessment, Environ Toxicol Chem 2000; 19(1): 42-62. 

  15. Grothe DR, Dickson KL and Reed-Judkins DK. Whole Effluent Toxicity Testing: An Evaluation of Methods and Prediction of Receiving System Impacts, SETAC Press, Florida, USA, 1995; 9-322. 

  16. Hernando MD, Fernandez-Alba AR, Tauler R and Barcelo D. Toxicity assays applied to wastewater treatment, Talanta 2005; 65(2): 358-366. 

  17. Kim YH, Lee MJ, Eo SM, Yoo NJ, Lee HK and Choi KH. Chronic toxicities of effluents from dye industry using Daphnia magna, Korean J Environ Biol 2005; 23(2): 146-151. 

  18. Kim E, Jun YR, Jo HJ, Shin SB and Jung J. Toxicity identification in metal plating effluent: implications in establishing effluent discharge limits using bioassays in Korea, Mar Pollut Bull 2008; 57(6-12): 637-644. 

  19. Kosian PA, Makynen EA, Monson PD, David R, Mount O, Spacie A, Mekenyan OG and Ankley GT. Application of toxicity-based fractionation techniques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models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totox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ediment pore water. Environ Toxicol Chem 1998; 17(6): 1021-1033. 

  20. La Point TW and Waller WT. Field assessment in conjuunction with whole effluent toxicity testing, Environ Toxicol Chem 2000; 19(1): 14-24. 

  21. Lee JS, Lee KT, Kim CK, Kim HJ, Lee CH and Lee JH. Toxicity of binary mixture of cyanide and 3,5-dichlorophenol to Vibrio fischeri detrmined by newly developed Ntox bioassay system, Korean J Environ Toxicol 2007; 22(1): 27-36. 

  22. Mount DR, Gulley DD, Hockett JR, Garrison TD and Evans JM. Statistical models to predict the toxicity of major ions to Ceriodaphnia dubia, Daphnia magna and Pimephales promelas (fathead minnows), Environ Toxico Chem 1997; 16(10): 2009-2019. 

  23.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Test No. 201: Freshwater Alga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Test, Test No. 202: Daphnia, Acute Toxicity Test, Test No. 203: Fish, Acute Toxicity Test, Test No. 212: Fish, Short-term Toxicity Test on Embryo and Sac-fry Stages, 1998. 

  24. Onorati F and Mecozzi M. Effects of two diluents in the Microtox toxicity bioassay with marine sediments, Chemosphere 2004; 54(5): 679-687. 

  25. Power EA and Boumphrey RS. International trends in bioassay use for effluent management, Ecotoxicology 2004; 13(5): 377-398. 

  26. US EPA. Methods for Aquatic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s, Phase I, II, III. EPA/600/R-92/079-81, 1993. 

  27. Zha J and Wang Z. Acute and early life stage toxicity of industrial effluent on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Sci Total Environ 2006; 357(1-3): 112-1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