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센 노인의 균형운동프로그램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lance Training Program for the Elderly Affected by Hansen's Disease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1, 2010년, pp.26 - 35  

정순미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박래준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rovement in the balance control ability of the elderly affected by Hansen's disease. We tried to compare the effects for the elderly affected by Hansen's disease with and without foot deformity. The subjects consisted of 19 patients 65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한센노인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어지며 최근의 한센병의 연구방향에 맞춰 한센노인의 신경손상으로 인해 형성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재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센노인들을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여 운동 실시 전·후의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한센병과 관련된 일반적인 상태를 살펴보았다. 한센병형의 다균나(MB)는 Ridley-Jopling(1988) 분류에서 세균지수 2+이상을 말하며 여러 신경을 침범 받았고, 5개 이상의 감각소실이 동반되는 경우이며, 희균나(PB)는 세균지수 2+미만을 말하며 한 개의 신경을 침범 받았으며 2~5개 비대칭적 감각소실이 동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 Dena(1963)의 연구에서 한센인에게 운동을 통한 치료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고 하였는데, 특히 운동을 통하여 약한 근육을 보강하며 운동성 유지 및 증가, 혈액순환 증진을 돕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을 통한 재활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한센병으로 인해 말초신경손상으로 근력약화 및 하지균형능력이 저하된 한센 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 주 2회씩 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집단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한센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운동방법들은 무엇보다도 자신이 스스로 운동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므로(Dena, 1962) 주 1회는 운동을 스스로 익힐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신경손상으로 인한 장애 또는 기형을 가진 한센노인들을 대상으로 균형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하지균형능력이 향상되는지, 또한 발의 기형을 가진 한센노인들과 기형이 없는 한센노인들을 비교해서 운동 실시 전·후 서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센병은 어떻게 발병하게 되는가? 한센병(Hansen's disease)은 인간의 가장 오랜 질병의 하나로(조율연, 1994) 과거에는 문둥병이라고 하여 무서운 전염력을 가진 아주 흉측한 질병으로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으며(이지호, 2004), 심지어 죽음 이전의 죽음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두려워하였던 질병이었으며(김이화, 1993), 한센병은 만성감염성 면역질환으로 나균이 체내에 침입하여 면역력이 약할 경우에 나균에 감염되어 대략 3~7년의 잠복기를 거쳐서 임상적으로 발병하게 된다(채규태, 1994). 한센병의 치료는 1981년 WHO의 복합나화학요법(MDT)의 발달로 활발히 이루어져, 세계적으로 1980년대에 1,000만~1,200만 정도였으나 1999년에는 107만명 정도로 급격하게 감소하여왔다(Britton과 Lockwood, 2004).
Hansen's disease이 아직 공중보건학적 문제로 남은 근거는 무엇인가? 한센병의 치료는 1981년 WHO의 복합나화학요법(MDT)의 발달로 활발히 이루어져, 세계적으로 1980년대에 1,000만~1,200만 정도였으나 1999년에는 107만명 정도로 급격하게 감소하여왔다(Britton과 Lockwood, 2004). 그러나 아프리카, 아시아 및 라틴아메리카에 위치한 일부 국가들은 유병율이 10,000명당 1명 이상이어서 한센병이 아직은 공중보건학적 문제로 남아있다(대한나학회, 2004).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복합나화학요법이 도입되기 전인 1968년에 한센환자는 37,571명이었으나 2008년 말에는 대폭 감소하여 전체 14,748명이 등록 관리되고 있으며, 활동성과 비활동성을 포함하는 요치료대상자가 8,747명이고, 치료가 종결된 후 재발 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한센서비스대상자가 6,001명이다(질병관리본부, 2008).
한센병은 어떤 질병인가? 한센병(Hansen's disease)은 인간의 가장 오랜 질병의 하나로(조율연, 1994) 과거에는 문둥병이라고 하여 무서운 전염력을 가진 아주 흉측한 질병으로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으며(이지호, 2004), 심지어 죽음 이전의 죽음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두려워하였던 질병이었으며(김이화, 1993), 한센병은 만성감염성 면역질환으로 나균이 체내에 침입하여 면역력이 약할 경우에 나균에 감염되어 대략 3~7년의 잠복기를 거쳐서 임상적으로 발병하게 된다(채규태, 1994). 한센병의 치료는 1981년 WHO의 복합나화학요법(MDT)의 발달로 활발히 이루어져, 세계적으로 1980년대에 1,000만~1,200만 정도였으나 1999년에는 107만명 정도로 급격하게 감소하여왔다(Britton과 Lockwood,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경환. 남자노인의 정적.동적 균형능력의 증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02;7(3):201-208. 

  2. 강종호, 방현수, 김진상. 고유수용성 감각 정보의 변화에 관한 고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2008;5(1):19-29. 

  3. 김용연. 한센병에서 신경손상에 관한 연구. 대한나학회지. 1995;28(1):87-88. 

  4. 김원호, 이충휘, 정보인 등. 노인의 균형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8;5(3):21-33. 

  5. 김이화. 나환자의 MMPI 프로파일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6. 김종필. 주요 국가의 한센사업 현황 및 제도. 대한나학회지. 2006;39(2):37-50. 

  7. 김종필. 한센병가이드. 한국복지협회, 2007a. 

  8. 김종필. 한센사업대상자의 기대여명 및 잠재수명상실년수. 대한나학회지. 2007b;40(2):25-50. 

  9. 김종필. 최근 5년간의 재발 한센병 환자에 대한 조사. 대한나학회지. 2008;41(1):27-36. 

  10. 김철현, 김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능력에 미치는 효과: 골다골증성 골절을 유발하는 낙상위험인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08;10(3):81-90. 

  11. 김한수. 가정운동훈련 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보행증진에 미치는 영향. 계명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12. 대학나학회. 나병학. 한국한센복지협회, 2004. 

  13. 류명인, 소희영.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체력, 낙상관련 지각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8;38(4):620-628. 

  14. 박래준, 김용관. 한국 나장애인시설 나환자들에 대한 물리치료 실태조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8;10(1):139-148. 

  15. 박래준. 나병환자를 위한 물리치료.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회지. 1990;3:6-12. 

  16. 송준영, 상영호. MDT 치료종결 환자의 임상적 분석. 대한나관리협회지. 1996;29(1):55-62. 

  17. 이래환. 한센병에 의한 장애와 보조기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대한나학회지. 2008;41(2):37-54. 

  18. 이성근. 소록도 한센인의 골절에 대한 연구. 대한나학회지. 2007;40(2):15-23. 

  19. 이지호. 소록도 한센병 환자의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20. 전미양, 최명애.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양로원 여성노인의 보행,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2002;4(1);5-23. 

  21. 조율연, 민간나사업 단체의 진로. 대한나학회지. 1994;27(1):73-80. 

  22. 질병관리본부. 한센사업지침. 질병관리본부, 2008. 

  23. 채규태. 나병의 면역학적 이해. 대한나학회지. 1994;27(2);9-20. 

  24. Briggs RC, Gossman MR, Birch R, et al. Balance performance among non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Phys Ther. 1989;69(9):748-756. 

  25. Britton WJ, Lockwood DN. Leprosy. Lancet 2004;363(9416):1209-1219. 

  26. Chandler JM, Duncan PW. Balance and falls in the elderly. In: Guccione A, ed. Geriatric Physical Physical Therapy. St. Louis, Mosby co., 1992. 

  27. Dite W, Temple VA. A clinical test of stepping and change of direction to identify multiple falling older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1):1566-1571. 

  28.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M192-197. 

  29. Ellen DK. Physical therapy in leprosy for paramedical. American leprosy mission, 1962. 

  30. Faber MJ, Bosscher RJ, Chin A, et al.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on falls and mobility in frail and pre-frail older adults: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of Phys Med and Rehabil. 2006;87(7):885-896. 

  31. Gardiner MD. Exercise Therapy. London, Bell and Sons LTD, 1962. 

  32. Gardiner MD. The Principles of Exercise Therapy. 1963. 

  33. Horak FB. Clinical Measurement of postural control in adults. Phys Ther. 1987;67(12):1881-1885. 

  34. Kauffman T. Impact of aging-related muscular skeletal and postural changes on fall. Top Geriatr Rehabil. 1990;5:34-43. 

  35. Kent-Braun JA, Ng AV. Specific strength and voluntary muscle activation in young and elderly women and men. J Appl Physiol. 1999;98(1):22-29. 

  36. Lord SR, Caplan GA, Ward JA. Balance, reaction time, and muscle strength in exercising and non exercising older women. Arch Phys Med Rehabil. 1993;74(8):837-839. 

  37. Lord SR, Clark RD, Webster IW. Postural stability and associated physiological factors in a population of aged persons. J Gerontol. 1991;46(3):M69-76. 

  38. Lord SR, Ward JA, Williams P, et al. The effect of a 12-month exercise trial on balance, strength, and falls in older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Geriatr Soc. 1995;43(11):1198-1206. 

  39. Marchetti GF, Whitney SL.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4-item dynamic gait index. Phys Ther. 2006:86(12):1651-1660. 

  40. Marilyn M. Physical Therapists as Exercise Experts for Ageing Adults: Evidence-based examination and exercise prescription. 2008. 

  41. Masdeu JC, Sudarsky L, Wolfson L. Gait Disorders of Aging: Talls and therapeutic strategies. Philadelphia. PA, Lippincott-Raven, 1997. 

  42. Ridley DS, Jopling WH. A classification of leprosy for research. Purpose leprosy review. 1962;33:119-128. 

  43. Shumway-Cook A, Baldwin M, Polissar NL, et al.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Phys Ther. 1997;77(8):812-819. 

  44. Shumway-Cook A, Silver IF, LeMier M., et al.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multi-factorial intervention on falls and fall risk factors in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7;62(12):1420-1427. 

  45. Srinivasan. Prevention of Disabilities in Patients with Leprosy: A practical guide. Geneva. WHO. 1993. 

  46. Stanley PB, Wayne CM, Jane ME. Exercise Physiology: Basis of human movement in health and disease.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