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근피와 유백피 추출액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Ulmus davidiana Extracts on Various Oil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1, 2010년, pp.107 - 116  

임용숙 (대구산업정보대학 호텔조리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oil에 대한 유근피유백피 추출물의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유근피는 모든 용매의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 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0.1% 추출물 첨가구 모두 저장 6시간에는 30 meq/Kg을 보인 후 최종 18시간까지 40 meq/Kg이하의 과산화물가를 보여 저장 시간이 증가해도 산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0.05%의 경우 부탄올메탄올 추출물은 상업용 항산화제와 비교할 때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백피는 0.1% 첨가군에서 물, 부탄올 추출물이 가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금속이온 첨가에 따른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유근피의 경우, 메탄올과 부탄올 추출물 0.1% 첨가군이 산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유백피는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시간 동안의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Perilla oil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의 항산화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BHT는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유근피 0.2% 첨가군에서 메탄올, 부탄올 추출물군은 거의 산화가 진행되지 않아 가장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유백피 역시 0.2%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금속이온 첨가에 의해서는 모든 추출물 중 유백피 0.2%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Lard에서는 각 용매 추출물 농도별 (0.05, 0.1%) 첨가군에 따른 각 추출물간의 항산화 효과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금속이온 첨가에서도 0.05, 0.1% 첨가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pared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root, Korean source; URK) and Ulmus davidiana (bark, Korean source; UBK). URK extracts obtained with all tested solvent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s on fish oils. Both treatments containing 0.1% (v/v) extract from URK and UBK each showed that 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및 항균 성분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유근피, 유백피 추출물이 유지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지의 종류에 따른 과산화물가를 측정하고 유지종류 및 금속이온 첨가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합성 항산화제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 항산화 제에 관해 어떤 연구 개발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는가?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효능을 가진 천연 항산화 제에 대한 개발이 지금까지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천연 항산화제는 대부분 식물기원의 항산화성 물질로서 오미자추출물(4), 칡 추출물(5), 감귤류 플라보노이드(6), 뽕나무 (7) 등이 항산화능이 높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산사, 황련, 상백피 등과 한약재 식물에서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뿐만 아니라 식품보존료 개발을 위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8, 9). 유근피, 유백피는 코르크 층의 유백피와 유근피를 벗겨 건조시킨 것으로서, 예로부터 수종, 임질, 유선염, 소변불통, 늑막염에 사용하였으며, 외용으로는 뿌리를 찧어 환부에 붙여 소염제로 이용하였다(10).
활성산소가 생체 내에서 무엇을 유발하는가?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세포막 분해, 단백질 분해, 지방산화, DNA 합성 억제, 광합성 억제, 엽록체 파괴등 생체 내에서 심각한 생리적인 장애를 유발한다(2). 이러한 활성산소와 유지의 산화로 인한 특정 비타민류의 필수아미노산 등의 손실을 최소화하거나 유지식품의 산패를 지연 또는 방지하는데 항산화제가 사용된다.
합성 항산화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활성산소와 유지의 산화로 인한 특정 비타민류의 필수아미노산 등의 손실을 최소화하거나 유지식품의 산패를 지연 또는 방지하는데 항산화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BHT, BHA, TBHQ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는 열안정성과 인체에 대한 독성이 문제시 되고 있어 사용상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Fridor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1 

  2. Gardner, D. R. and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6-phophogluconate dehydratase. J. Biol. Chem., 266, 1478-1483 

  3. Jun, B.S., Cha, J.Y. and Cho, Y.S. (2001)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osa stued.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231-238 

  4. Jang, E.J., Pyo, Y.H. and Ahn, M.S. (1996) Antioxidant effect of Omija(S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2, 372-376 

  5. Han, M.J. and Im, H.Y. (19990 Antioxidant effect of ether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Pueraria thunbergiana extract on perilla oil. Korean J. Soc. Food Sci., 15, 114-120 

  6. Cha, J.H., Kim, H.J., Kim, S.K., Lee, Y.J. and Cho, Y.S. (2000) Effects of citrus flavonoids on the lipid peroxidation conten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211-217 

  7. Kim, H.J., Cha, J.Y., Choi, M.L. and Cho, Y.S.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data. Korean J.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8. Kim, H.K., Kim, Y.E., Do, J.R., Lee, Y.C. and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9. Kim, M.S., Lee, D.C. Hong, J.E., Chang, I.S., Cho, H.Y., Kwon, Y.K. and Kim, H.Y.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49-958 

  10. Shin, M.K. (1997) 임상본초학, 영림사, 서울 P. 668-669 

  11. Hong, N.D., Rho, Y.S., Kim, N.J, and Kim, J.S. (1990) A study on the constituents of Ulmi cortex. Korean J. Pharmacogn., 21, 201-204 

  12. Hong, N.D., Rho, Y.S., Kim, N.J, and Kim, J.S. (1990) A study on efficacy on Ulmi cortex. Korean J. Pharmacogn., 21, 217-222 

  13. Yang, Y., Hyun, J.W., Lim, K.H., Sung, M.S., Paik, W.H., Bae, K.W., Cho, H., Kim, H.J., Woo, E.R., Park, H. and Park, J (1996) Antineoplastic effec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medical plants and various plants (III). Korean J Pharmacogn., 27, 105-110 

  14. Lee, Y.J. and Han, J.P.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ate scavenging abilities of extracts from Ulmus devidiana. Korean J. Soc. Food Sci. Nutr., 29, 893-899 

  15. Kim, C.S., Lee J.M., Choi, C.O., Park, S.B. and Eom, T.J. (2002) Chemical analysis and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Ulmus species(I): 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ives. J. Mokchae Konghak, 30, 66-73. 

  16. Kwak, H. J., Kwon, Y. J., Jeong, P. H., Kwon, J. H. and Kim, H. K. (2000)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Korean J. Soc. Food Sci. Nutr., 29, 249-255. 

  17. Oh, M. J., Son, H. Y., Kang, J. C. and Lee, K. S (1990) Antioxidative effect of pueraria root extract on edible oils and fa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19, 448-456. 

  18. Cha, G. S. and Choi, C. C. (1990) Determination of oxidation stability of perilla oil by the rancimat method. J. Foods Biotechnol., 22, 61-65 

  19. Yeo, K. M. and Choi, H. S. (1998)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ustrital application of perilla oil. Food Industry Nutr., 3, 30-36. 

  20. Lee, J.S. and Cheigh, H.S. (1997)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crude phenolic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 Doenjang ). Korean J. Soc. Food Sci. Nutr., 26, 376-382 

  21. Son, J.Y., Son, H.S. and Cho, W. D. (1998) Antioxidant effect of Onion skin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14, 16-20 

  22. Hong, J.I., Kweon, M.H., Ra, K.S., Sung, H.K. and Yang, H.C. (1995)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f xanthine oxidase by ethanol extract from Capsella bursa-pastoris. Agric. Chem. Biotechnol., 38, 590-5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