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양만내의 현장 부유입자물질 분포와 거동
Distribution and Behaviors of In-Situ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of Gwangyang Bay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24 no.1 = no.92, 2010년, pp.99 - 105  

이병관 ((주)오션이엔지) ,  김석윤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조현만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ntration and size analysis of in-situ suspended particulate material were measured using an optical instrument, LISST-100, in the bottom layer at the three inlets of the Seomjin River Estuary, mouth of Gwangyang bay, and Gwangyang bay-side of the Namhae Bridge.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양만의 세 입구 즉, 섬진강 하구, 광양만 입구, 남해대교 부근에서 광양만과 교환되는 저층 부유입자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세 입구의 해저 바닥 0.5m 상부 수층에서 조석주기별로 현장 부유입자농도와 크기를 연속 관측한 결과, 아래와 같이 광양만 부유입자의 분포와 거동특성을 요약하였다.
  • 본 연구는 여름철 담수유출이 강할 때, 광양만의 세 입구 해저 바닥 0.5m 상부 수층에서 섬진강 기원 부유입자와 광양만 입구 또는, 남해대교 부근의 저층 부유입자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광양만과 인접한 입구에서 부유입자의 특성과 조류 변화에 의한 부유입자의 시공간별 분포특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의 남해안의 형상은 어떠한가? 한반도의 남해안은 마지막 최대빙하기(Last glacial maximum)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해 침수된 리아형 해안으로 복잡한 해안선을 따라 크고 작은 만과 하구가 발달되어 있다. 광양만의 북측에 위치하는 섬진강은 한강, 낙동강, 금강과 비교하여 인위적인 환경 변화가 작으며 자연적인 상태를 유지한 채, 광양만과 자유롭게 교환되는 해역이다.
광양만 북측에 위치한 섬진강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반도의 남해안은 마지막 최대빙하기(Last glacial maximum)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해 침수된 리아형 해안으로 복잡한 해안선을 따라 크고 작은 만과 하구가 발달되어 있다. 광양만의 북측에 위치하는 섬진강은 한강, 낙동강, 금강과 비교하여 인위적인 환경 변화가 작으며 자연적인 상태를 유지한 채, 광양만과 자유롭게 교환되는 해역이다. 특히, 남해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은 남쪽의 여수반도 및 남동부의 남해도로 둘러싸인 반 폐쇄적 만으로 여수해만을 통해 남해와 연결되고, 노량 수로를 통해 진주만과 연결된다.
부유퇴적물의 분석을 위해 채수한 후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방법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해수 중 부유 상태에 있는 물질을 정량 또는, 정성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간접적인 방법으로 모니터링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채수한 후, 실험실에서 분석하기 때문에 운반 과정에서 시료가 변질될 수 있으며, 지속적 또는, 정밀한 관측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까지 부유물질을 이용하여 수괴의 시․공간적인 분포와 물질 거동을 파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간편하고 신속히 현장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간접적인 방법이 자주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grawal, Y.C. and Pottsmith, H.C. (2000). "Instruments for Particle Size and Settling Velocity Observations in Sediment Rransport", Mar. Geol., Vol 168, pp 89-114. 

  2. Agrawal, Y.C. and Pottsmith, H.C. (1994).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ing in STRES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14, pp 1101-1121. 

  3. Baker, E.T. and Lavelle, J.W. (1984).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Light Atttenuation Coefficient of Natural Suspens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89, pp 8197-8203. 

  4. Chang, H.D. and Oh, J.K. (1991).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Around the Kyunggi 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J. Oceanol. Soc. Kor., Vol 26, pp 13-23. 

  5. Choi, D.L., Hyun, S.M. and Lee, T.H. (2002).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The Sea, Vol 8, pp 35-43. 

  6. Choi, J.Y. (1993). "Seasonal Variations of Suspended Matters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ncent Coastal Area", J. Oceanol. Soc. Kor., Vol 28, pp 272-280. 

  7. Choi, J.Y., Choi, H.Y. and Seo, M.S. (1995). "Physical and Sedimentological Changes in the Keum Estuary After the Gate-close of Keum River Weir", J. Oceanol. Soc. Kor., Vol 30, pp 262-270. 

  8. Kang, S.Y. (2004).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Seumjin Drainage Divide", Jour. Kor.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Vol 11, pp 11-28. 

  9. Kim, D.C. and Kang, H.J. (1991). "Suspended Sediment Budget in Gwangyang Bay through the Yeosu Sound", Bull. Kor. Fish. Soc., Vol 24, pp 31-38. 

  10. Kim, S.J., Kim, D.C., Yi, H.I. and Shin, I.C. (1996). "Changes in Sedimentary Proces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Foraminifera in the Eastern Part of Kwangyang Bay", South Sea of Korea. J. Oceanol. Soc. Kor., Vol 1, pp 32-45. 

  11. Kim, S.Y. and Ha, J.S. (2001).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 J. Korean Fish. Soc., Vol 34, pp 268-278. 

  12. Kim, S.Y. and Lee, B.K. (2004a). "In Situ Particl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in Seomjin River Estuary", J. Korean Fish. Soc., Vol 37, pp 323-329. 

  13. Kim, S.Y. and Lee, B.K. (2004b). "A Study on the Sediment Flux in Gwangyang Bay: During Spring Tide, March 2003", J. Korean Fish. Soc., Vol 37, pp 511-516. 

  14. Lee, S.H., Kwon, H.K., Choi, H.Y., Yang, J.S. and Choi, J.Y. (1999).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II. Salinity Structure and Estuary Type", J. Oceanol. Soc. Kor., Vol 4, pp 253-265 (in Korean). 

  15. Lee, Y.D., Kim, C.W., Kim, D.Y., Park, B.N. and Lee, K.J. (1990). "A Study of Marine Environment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Sedimentation Processes and Heavy Metal Distribution", J. KSWPRC June, pp 1-7. 

  16. Lee, Y.G., Hwang, J.Y., Jung, K.K. and Choi, J.M. (1996).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 in Kwangyang Bay and Yosu Sound - Based on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Clay Mineral", J. Kor. Earth Sci. Soc., Vol 17, pp 407-416. 

  17. Lee, C.B. and Kim, T.I. (1987). "Formation and Evolution of Turbidity Maximum in the Keum Estuary, We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 Vol 22, pp 105-118. 

  18. Park, C.K. and Oh, J.K. (1991). "A Study on the Clay Mineral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the Kyonggi Bay Areas", Oceanol. Soc. Kor., Vol 26, pp 313-323. 

  19. Park, Y.A., Lee, C.B. and Choi, J.H. (1984).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 Vol 19, pp 82-88. 

  20. You, H.S., Cho, S.H. and Koh, Y.K. (2000). "Fluvial Deposits Distributed Along the Seomjin River", J. Kor. Earth Sci. Soc., Vol 21, pp 174-1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