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보육교사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 및 영양교육 요구 조사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among Child-Care Teacher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1, 2010년, pp.137 - 148  

최경숙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75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service education, to research the methods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nutrition management capability for infants and children. Investigated results of child-care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stat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육교사들이 관심 있는 본인에 대한 영양교육 내용과 보육시설에 필요한 유아 영양교육 내용 및 보육시설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양교육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 특히 보육교사의 근무 보육시설 유형과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영양지식의 차이에 대한 보고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근무 보육시설 유형과 경력별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의 수준 및 영양교육 요구 내용을 조사하여 보육시설에 맞춤 영양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단,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지역의 보육교사에 대해 실시한 제한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시설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현재 보육시설의 수는 약 33,499개소에 이르고 있고, 여기에서 1,135,502명의 아동이 보육받고 있으며(MIHWFA 2009), 앞으로 보육 아동의 수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보육시설은 전 생애를 통해 모든 측면의 성장과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기의 영유아를 보육한다는 점과 보육 대상 아동의 수가 매우 많다는 점으로 볼 때, 보육시설의 역할과 책임은 매우 중요하다.
2009년 기준 국내 보육시설의 수는? 취업모가 아니더라도 아동의 사회성 발달, 인지발달 등 조기교육, 영재교육을 이유로 가정에서 어머니가 자녀를 돌보는 양육형태는 점차 사라져가고 보육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부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재 보육시설의 수는 약 33,499개소에 이르고 있고, 여기에서 1,135,502명의 아동이 보육받고 있으며(MIHWFA 2009), 앞으로 보육 아동의 수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보육시설은 전 생애를 통해 모든 측면의 성장과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기의 영유아를 보육한다는 점과 보육 대상 아동의 수가 매우 많다는 점으로 볼 때, 보육시설의 역할과 책임은 매우 중요하다.
서울시 보육교사들에게 나타난 문제점은? 보육시설의 급식관리는 급식담당 교사 개인의 노력과 보육시설장의 관심정도에 따라 급식의 내용과 방법이 달라지고 있어(Lee 2006) 보육교사나 시설장의 영양적 가치관은 유아의 급식과 영양관리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서울시 어린이집 교사들 중에는 아침식사 결식율과 식사의 불규칙성, 짠 음식과 단 음식의 선호, 잦은 외식 등 건강하지 않은 식사습관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많았고, 성장기에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 식품 중 미량 영양소의 생체 이용율에 대한 영양지식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Chang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yun SJ, Han KJ, Lee JH (1994): A study on type of feeding and attitude of mothers to breastfeeding. Kor J Maternal Child Health Nursing 4(1): 52-67 

  2. Chang HJ, Ko ES (2007):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in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2(3): 299-309 

  3. Chang NS, Yoo YJ, Lee JM (1998):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n J Diet Cult 13(2): 107-118 

  4. Chi SA (2007): An analysis on in-service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 Theses of Child Pedagogy 11(3):155-180 

  5. Choi MK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Korea J Culinary Res 13(2): 188-200 

  6. Cho CB, Chae BS (2005): A study of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user satisfaction with the food service environment of nurture facilities. J Foodservice Management 8(3): 87-106 

  7. Cho MS (2000):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d day-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Diet Cult 15(4): 313-323 

  8. Kang BS, Cho CH (2007): Rearch survey methodology. Muyukkyungyoungsa. Seoul 

  9. Kim KH (2006): The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Gyu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11(5): 598-607 

  10.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 J Diet Cult 15(3): 201-213 

  11. Lee BS (2006): The survey of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Ansan. Korean J Food & Nutr 19(4): 435-447 

  12. Lee HO (2004): A study of dietary attitudes of preschool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Korean J Food & Nutr 17(3): 302-312 

  13. Lee HO (2007): Health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urriculum and effects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J Food & Nutr 20(2): 202-208 

  14. Lee MS, Lee JY, Yoon SH (2006): Assessment of the child care centers' foodservice facility and development of the kitchen facility model based on the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J Korean Diet Assoc 9(3): 219-232 

  15. Lee YM, Lee GW (1996): Nutrition knowledge and snack serving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3): 423-432 

  16. Lim HJ (2005):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seasonal difference of nutrient intake of adult worki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0(4): 501-512 

  17. Lim HK, Ahn HS (1995):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2. Mother's message and nutrition awareness of children. Korean J Diet Culture 9(5): 525-532 

  1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es (2009): Guide for Child-care Program 2008. Available from http://www.educare.or.kr/[2009.12.30] 

  19. Min JH, Lee YK (2004):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in day 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Nutr 37(8): 712-721 

  20. Park HO, Kim EK, Chi KA, Kwak TK (2000): Comparison of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lifestyle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K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5(4): 586-597 

  21. Park KM (2005): A study of teachers' recogni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education at day-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0(6): 920-929 

  22. Sin EK, Lee Y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4): 488-501 

  23. Yoon HS, Choi YS (2002):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health consciousnes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attitu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Masan city. Korean J Nutr 35(3): 368-379 

  24. Yoon HS, Choi YS, Lee KH (2003): Evaluati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s of nurses working in Kyungnam area. Korean J Nutr 36(3): 306-318 

  25.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5(3): 513-521 

  26. Yun IS, Jung SJ, Park JE, Cha YS (2007): A study of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 area. Korean J Human Ecology 10(1):7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