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요법이 산모의 산후우울과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ostpartum Blues and Maternal Attachment of Puerperal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1, 2010년, pp.60 - 68  

이선미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ostpartum blues and maternal attachment of puerperal wom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puerperal wome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후우울을 나타내는 산모를 대상으로 음악요법을 실시한 후, 산후우울과 모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quasi-experimental design)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산모들이 수유실에서 신생아에게 수유하는 동안에 나타내는 행동을 관찰하면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후우울을 겪고 있는 산모가 CD player와 Headphone을 이용하여 산모가 선호하는 음악을 8일간 1일 1회 1시간 동안 듣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장에서는 산후우울을 경험하는 산모를 대상으로 음악요법을 적용하여 산후우울과 모아애착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음악요법을 적용하여 산모의 산후우울과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산후우울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법으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제2가설: 음악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모아애착 정도가 높을 것이다.
  • 제1가설: 음악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후우울 정도가 낮을 것이다.
  • 제1가설: 음악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후우울 정도가 낮을 것이다.
  • 제2가설: 음악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모아애착 정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만이란 무엇인가? 분만은 단순한 신체적 경험을 넘어 정신사회적 상호작용과 인지과정에 영향을 주는 총체적 경험이며, 산욕기는 신체, 심리,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모성으로서의 새로운 역할이 부가되고 책임이 가중되는 생의 전환기로써, 산모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시기이다(Klaus & Kennell, 1980).
모아애착 측정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모아애착 측정도구는 Cropley 등(1976)이 개발한 모아애착 측정도구(Maternal Attachment Tool)를 Kim (2000)이 번안한 것으로, 산모가 신생아와 접촉했을 때 나타내는 행동을 관찰하여 공식화한 도구이다. 외모와 기능, 상태를 평가하는 동일시행동 측정문항 10개와, 언어적, 시각적 접촉 및 피부 접촉을 측정하는 상호작용 양상 문항 12개로, 총 2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만기에 산모가 경험하는 것은? 이 시기 동안 산모가 정서적으로 적응하지 못할 경우 눈물을 흘리거나, 실망감, 유아에 대한 적응부족, 불면증,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Cho & Yang, 2001), 이러한 심리 반응은 정상적인 분만과정을 거친 산모라 할지라도 출산 후 우울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Beck,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nsworth, M. D. (1989). Attachments beyond infancy. The American Psychologist, 44, 709-716. 

  2. Alvin, J. (1975). Music Therapy. New York, NY: Basic Books, Inc. 

  3. Bai, J. I. (199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ostpartum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588-600. 

  4. Bai, J. I. (1999). Development of a home-based multimedia tutoring system for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9-20. 

  5. Beck, C. T. (1996). A meta-analysis of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Nursing Research, 45, 297-303. 

  6. Cho, B. H., & Yang, M. S. (2001).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 with infant. The Research Institutes for Human Life, 5, 79-87. 

  7. Cho, Y. S. (1987). The effects of the husband's emotional support on the preven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Using an experimental teaching interv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Choi, E. J. (2003). A study on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mental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9. Choi, J. (1996).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0. Cummings, E., & Davies, P. T. (1994).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35, 73-112. 

  11. Jeon, M. A. (2002). The effects of postpartum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and depression of matern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2. Jeong, S. B.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ealth-enhancing practice programs using comprehensive musical activit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elderly welfare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13. Jin, S. T. (1983). Music Therapy (II)-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effect of music. The New Medical Journal, 26, 101-106. 

  14. Kendell, R. (1984). Emotional and physical factors in the genesis of puerperal mental disorde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9, 3-11. 

  15. Kim, H. J. (2003). Effects of aroma therapy on postpartum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Changwon. 

  16. Kim, J. A. (1994).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ain and depression of musculoskeletal trauma pati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7. Kim, K. B., Kim, I. S., Jeong, M. Y., Oh, H. K., Kwon, Y. S., Lee, E. J., et al. (1999). The effect of the musical therapy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Society, 1, 217-223. 

  18. Kim, K. B., Lee, M. H., & Sok, S. H. (2006).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321-329. 

  19. Kim, K. Y. (2000). Effects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by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Klaus, M. H., & Kennell, J. H. (1980). Maternal-Infant Bonding. St. Louis, MO: C. V. Mosby. 

  21. Kwon, I. S. (2003). Effects on music therapy on pain, discomfort and depression for patients with fractured le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2. Kwon, J. H. (1997). A test of a vulnerability-stress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 55-66. 

  23. Lee, J. K. (2000). Psychiatry. Seoul: Ilchokak. 

  24. McClosky, J. C., & Bulechek, G. M. (1992). Music Therapy. In J. C. McClosky & G. M. Bulechek (Eds.),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pp. 346). St. Louis, MO: Mosby Year Book Inc. 

  25. McGrath, M. M., & Meyer, E. C. (1992). Maternal self-esteem: From theory to clinical practice in a special care nursery. Child Health Care, 21, 199-205. 

  26. Nagata, M., Nagagi, Y., Sobajima, H., Ando, T., Nishide, Y., & Honjo, S. (2000). Maternity blue and attachment to children in mothers of full-term normal infant.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1, 209-217. 

  27. Nonacs, R. (2005, March 5). Postpartum depression overview. Retrieved March 5, 2005, from http://www.emedicinehealth.com/ postpartum_depression/article_em.htm 

  28. Park, Y. S., & Kim, K. S. (1996). The effects of systematic group music therapy for the inpatients with depressive mood and psychiatric behavior.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0, 53-69. 

  29. Shin, H. J. (2007). The effects of Kangaroo' care on the maternal attachment and postpartum depression as well as on the growth of preterm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30. Sung, M. H., & Kim, M. K. (2005). A study of the effects of behavior contact in early mother-infant attach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842-8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