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양파는 항생 및 항암작용을 나타내 심장 질환 및 성인병에 효과적인 다양한 유황화합물과 항산화 작용이 뛰어난 flavonoid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양파는 건물중의 80%를 당이 차지할 정도로 당 함량이 높으며, 주요 당은 fructan으로 잘 알려진 fructo-oligosaccharide이며 그 외 glucose, fructose, sucrose 등이 있다. 당 함량은 양파의 저장성에도 큰 영향을 미쳐서 당 함량이 높을수록 저장성이 좋으며, 저장 말기로 갈수록 glucose, fructose, 그리고 fructan 등의 감소가 일어난다. 충분한 예건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냉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수확후 상온에서 15-20일간 차압송풍예건을 실시해야 한다. 예건실시후
Onion has been reported to contain various organosulfur compounds which have antibiotic and anticarcinogenic properties and flavonoid like quercetin which is a valuable natural source of antioxidants. Carbohydrates in onion constitute about 80% of dry matter, and the major non-structural carbohydrate of onion bulb is fructo-oligosaccharides, well known as fructan, followed by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The sugar concentration is associated with dormancy and storage life of onion, occurring as decrease in glucose, fructose and fructan, particularly towards the end of storage. Forced air pre-drying for 15-20 days at room temperature is an essential procedure to reduce freezing injury and sprouting, then onion bulbs can be stored 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저장중 부패율을 낮추기 위해서 수확후 예건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물이다(Lim 등, 2002; Park 등, 2001; Wright와 Triggs, 2005). 본 논문에서는 양파의 수확후 관리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파의 수확후 생리, 품질, 수확후 처리기술, 저장기술, 장해, 그리고 신선편이 및 가공에 관한 최근 연구 현황을 검토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양파 | 양파는 어느 과에 속하는 작물인가? |
백합과에 속하는 작물
양파(Allium cepa L.)는 백합과에 속하는 작물로서 독특한 향미특성으로 오래전부터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조미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채소 중 재배면적 기준으로 6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주요 채소이다. |
양파 | 양파의 중・만생종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
매운맛이 강하고 당 함량이 높으며 저장력이 강해 주로 장기저장용으로 재배된다
유황화합물(ACSOs, S-alk(en)yl cysteine sulfoxides), flavonoid, glutathione, 그리고 selenium과 같은 항산화 및 항암 관련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높아 동맥경화, 암과 같은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Corzo-Martinez 등, 2007). 양파는 품종에 따라 맛, 형태, 색깔, 저장성 등이 다양한데, 조생종은 대체로 매운맛이 약하고 당 함량이 낮으며 수분함량이 높아 저장력이 떨어지는 반면, 중・만생종은 매운맛이 강하고 당 함량이 높으며 저장력이 강해 주로 장기저장용으로 재배된다. 조생종은 전남 무안, 해남, 고흥 등 남해안 지역에서 재배되며, 중・만생종은 함안, 창녕, 의성 등 영남 내륙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
양파 | 양파는 우리나라 채소 중 재배면적 기준으로 몇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주요 채소인가? |
6번째
)는 백합과에 속하는 작물로서 독특한 향미특성으로 오래전부터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조미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채소 중 재배면적 기준으로 6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주요 채소이다. 유황화합물(ACSOs, S-alk(en)yl cysteine sulfoxides), flavonoid, glutathione, 그리고 selenium과 같은 항산화 및 항암 관련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높아 동맥경화, 암과 같은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Corzo-Martinez 등, 2007).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