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섯가지 관엽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력 비교
Comparison of Indoor CO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5, 2010년, pp.864 - 870  

박신애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민지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류명화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오명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손기철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본 연구는 실내 관엽식물들의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5종의 관엽식물인 헤데라($Hedera$ $helix$ L.),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 파키라($Pachira$ $aquatica$),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사용하였다. 피트모스 배지와 하이드로볼 배지에 이식된 식물을 각각 밀폐 동화상에 넣고, 이산화탄소 500ppm 또는 1,000ppm을 주입하고, 광도는 50과 $200{\mu}mol{\cdot}m^{-2}{\cdot}s^{-1}$ 두 수준으로 하여, 주간과 야간의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1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을 광합성 속도(${\mu}molCO_2{\cdot}m^{-2}{\cdot}s^{-1}$)로 산출하였다. 주간에 모든 품종의 식물들이 밀폐 동화상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였다. 파키라($Pachira$ $aquatica$)와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가 이산화탄소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초기 주입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500ppm일 때보다 1000ppm일때, 광도가 $50{\mu}mol{\cdot}m^{-2}{\cdot}s^{-1}$일 때보다 $200{\mu}mol{\cdot}m^{-2}{\cdot}s^{-1}$일 때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크며, 광합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광합성률을 비교해 보면, 파키라($Pachira$ $aquatica$), 헤데라($Hedera$ $helix$ L.),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와 같이 엽면적이 넓은 식물들이 상대적으로 엽면적이 작은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와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와 같은 식물들보다 높은 광합성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품종에서 주간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량에 비해 야간에 식물의 호흡에 의해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배지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광합성률에서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서 관엽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주간에 식물이 광합성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거나, 부피가 크고 실내와 같은 저광 조건에서 활발한 광합성이 가능한 식물을 선택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제거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liage plants on reducing indoor carbon dioxide ($CO_2$). Five foliage plants such as $Hedera$ $helix$ L., $Ficus$ $benjamina$ L., $Pachira$ $aquatica$, $Chamaed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많이 이용되는 관엽식물 5종을 선정하여 이산화탄소가 주입된 밀폐된 동화상에서 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건인 배지, 광도, 및 초기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각 식물의 이산화탄소 교환율을 측정하고, 기초 광합성률과 비교함으로써, 이 관엽식물들의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 관엽식물들의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5종의 관엽식물인 헤데라(Hedera helix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산업화와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엇이 증가하고 있는가? 도시의 산업화와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광화학 산화물, 질소 산화물, 탄화 수소류, 유해한 화학 물질 및 분진 등과 같은 도시형 대기 오염 물질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다(Johnston등 2002; WHO, 2000). 대기오염 물질은 각종 형태로 배출되어 실내에 유입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한 건물의 밀폐화로 인하여 실내 오염 물질은 계속 증가되고 있다(Sawada와 Oyabu, 2008).
우리나라 법적 실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기준량을 맞추기 위한 공기정화 장치의 단점은 무엇이 있는가? 연소기구가 작동하는 동안은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3,000ppm을 초과할 수 있으며(Arashidani 등, 1996), 5,000ppm 이상의 고농도 이산화탄소에 노출될 경우 호흡장애, 두통 및 어지러움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Schwarzberg, 1993). 공기정화 장치는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적정 농도로 유지시킬 수 있지만 비용 부담 측면이나 장기 운영에 의해 기계자체의 오염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언제 발생하는가? 이산화탄소는 자연적으로나 인위적으로 배출량이 매우 높은 물질로서 지구 온난화 현상을 일으키는 주요 요소중에 하나이다(Cox 등, 2000). 이산화탄소는 미생물의 분해 작용이나 인간의 물질 대사 과정 및 실내에서 사용되는 석유, 가스 스토브 등 개방형 연소기구를 작동시킬 때 발생된다(Moriske 등, 1996; Wanner, 1993). 일반적으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범위는 700ppm–2,000ppm이지만, 우리나라 건축법과 환경 보전법에서 정하는 실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기준량은 한 시간 평균 1,000ppm 이하이며(Ministry of Environment, 1997), 미국냉난방공조기술자학회(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에서 제시한 기준 역시 1,000ppm이다(ASHRAE,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HRAE. 1989. Sandards for ventilation required for acceptable indoor air quality. ASHRAE 62-1989R. Atlanta. 

  2. Arashidani, K., M., Yoshikawa, T., Kwamoto, K. Matsuno, F. Kayama, and Y. Koda. 1996. Indoor pollution from heating. Ind. Health. 34:205-215. 

  3. Cox, P.M., R.A. Betts, C.D. Jones, S.A. Spall, and I.J. Totterdell. 2000.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due to carbon-cycle feedbacks in a coupled climate model. Nature 408:184-187. 

  4. Darrall, N.M. 1989.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on physiological processes in plants. Plant Cell Environ. 12:1-30. 

  5. Dorgan, C.B., C.E. Dorgan, M.S. Kanarek, and A.J. Willman. 1998. Health and productivity benefits of improved indoor air quality. ASHRAE Transactions 104 (Pt. 1):658-666. 

  6. Guieysse, B., C. Hort, V. Platel, R. Munoz, M. Ondarts, and S. Revah. 2008. Biological treatment of indoor air for VOC removal: Potential and challenges. Biotechnol. Adv. 26:398-410. 

  7. Johnston, P.K., G. Hadwen, J. McCarthy, and J.R. Girman. 2002. A screening-level ranking of toxic chemicals at levels typically found in indoor air. US-EPA 930-936. 

  8. Kang, H., B.H. Kwack, and W.K. Sim. 1990. Assessing studies on the recent use and change of indoor landscaping plants at apartment houses in Seoul. J. Kor. Inst. Landscape Archtecture 18:1-8. 

  9. Kim, K.J., M.J. Kil, J.S. Song, E.H. Yoo, K.C. Son, and S.J. Kays. 2008. Efficiency of volatile formaldehyde removal by indoor plants: Contribution of aerial plant parts versus the root zone. J. Amer. Soc. Hort. Sci. 133:521-526. 

  10. Kim, Y.H., J.H. Bae, J.I. Son, Y.B. Lee, H.K. Jang, H.J. Jeon, and B.Y. Jung. 2003. Bio Environmental Control. Hwang-Moon, Seoul. 

  11. Kuzyakov, Y. 2006. Sources of $CO_{2}$ efflux from soil and review of partitioning methods. Soil Biol. Biochem. 38:425-448. 

  12. Han, S.W. 2001. Removal efficiency of indoor air pollutant gases using oriental orchids. PhD Diss., Seoul Woman's Univ., Seoul, Korea. 

  13. Hong, J. 2000. Benzene and formaldehyde removal by indoor foliage plants. PhD Diss., Korea Univ., Seoul, Korea. 

  14. Ministry of Environment. 1997. Environment white paper. Ministry of Environment. 

  15. Moriske, H.J., M. Drews, G. Ebert, G. Menk, C. Scheller, M. Schondube, and L. Konieczny. 1996. Indoor air pollution by different heating systems: Coal burning, open fireplace and central heating. Toxicology Letters 88:349-354. 

  16. Park, S.A., M.G. Kim, M.H. Yoo, M.M. Oh, and K.C. Son. 2010. Plant physiological responses in relation to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CO_{2}$ concentration for the selection of efficient foliage plants on indoor air purification. Kor. J. Hort. Sci. Technol. Submitted. 

  17. Park, S.H. and Y.B. Lee. 1997. Indoor $CO_{2}$ and NO2 fixation in light-acclimatized foliage plants. J. Kor. Soc. Hort. Sci. 38:551-555. 

  18. Park, S.H. and K.K. Shim. 1989.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interior landscape plants in large buildings in Seoul. J. Kor. Inst. Landscape Archtecture 17:43-54. 

  19. Prasanna, P., P. Jaiswal, S. Nayak, A. Sood, and B.D. Kaushik. 2009. Cyanobacterial diversity in the rhizosphere of rice and its ecological significance. Indian J. Microbiol. 49:89-97. 

  20. Robinson, J. and W.C. Nelson. 1995. National human activity pattern survey data base. U.S. EPA. Research Triangle Park, NC. 

  21. Sawada, A. and T. Oyabu. 2008.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pothos for airborne chemicals in growing conditions and its evaluation. Atmospheric Environ. 42:594-602. 

  22. Schwarzberg, M.N. 1993. Carbon dioxide level as migraine threshold factor: Hypothesis and possible solutions. Medical Hypotheses 41:35-36. 

  23. Shiotsu, M. and I.K. Yoshizawa. 1998. Survey on human activity patterns according to time and place: Basic research on the exposure dose to indoor air pollutants Part 1. Transactions of AIJ. 511:45-52. 

  24. Sierra, J. and P. Renault. 1995. Oxygen consumption by soil microorganisms as affected by oxygen and carbon dioxide levels. Appl. Soil Ecol. 2:175-184. 

  25. Son, K.C., S.H. Lee, S.G. Seo, and J.E. Song. 2000. Effects of foliage plants and potting soil on the absorption and adsorp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J. Kor. Soc. Hort. Sci. 41:305-310. 

  26. Wanner, H.U. 1993. Sources of pollutants in indoor air. IARC Scientific Publications 109:19-30. 

  27. World Health Organisation; 2000, Air quality guidelines for Europe. 2nd ed. Copenhagen. 

  28. Woleverton, B.C., A. Johnson, and K. Bounds. 1989. Interior landscape plant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 p. 1-2. NASA Report. 

  29. Zhang, J.J. and K.R. Smith. 2003. Indoor air pollution: A global problem. British Medical Bul. 68:209-2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