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간호의 국내외 현황분석 - 한국, 미국, 일본,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Home Nursing Car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Four Nation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4 no.2, 2010년, pp.211 - 225  

성명숙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장희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김춘길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강경화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남경아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박종덕 (국민건강보험공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comparative study analyzed information systems including manpower, contents of service, clients, and costs among four nation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f relevant publications from Korea,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supported the use of several plans to activate home nurs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가정방문 간호서비스의 종류는? 방문간호서비스의 주요서비스 대상은 노인으로 방문간호서비스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간호서비스중 하나이다. 한국의 가정방문 간호서비스는 노인장기요양법에 의한 방문간호서비스 이외에 2007년 보건소 맞춤형 건강관리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가 운영 중이다. 이들 세 가지 사업은 근거법이나 재원, 주요서비스 대상 및 서비스제공 인력 등에 차이가 있으나 노인이 대상이며 가정에서 제공되는 간호서비스라는 점에서 중복 및 혼란이 있는 상태이다.
방문간호가 시작된 이유는?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유병율 및 합병증 증가로 노인에 대한 장기요양서비스 요구가 증대되고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가 도입됨으로써 방문간호가 시작되었다. 한국 노인의 90%이상이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가지고 있어 방문 간호서비스는 대상자의 건강문제 관리, 안위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증진 등에 매우 필수적인 사업이다.
한국의 가정방문 간호서비스의 한계는? 한국의 가정방문 간호서비스는 노인장기요양법에 의한 방문간호서비스 이외에 2007년 보건소 맞춤형 건강관리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가 운영 중이다. 이들 세 가지 사업은 근거법이나 재원, 주요서비스 대상 및 서비스제공 인력 등에 차이가 있으나 노인이 대상이며 가정에서 제공되는 간호서비스라는 점에서 중복 및 혼란이 있는 상태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업의 대상자 선택율을 높이고 사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른 사업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조건을 구성해 나가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erm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Long term care statistical report: 2003 

  2. Germ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Long term care statistical report: 2005 

  3. Japanese nurses association. (2002). The standards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1998 first revision, 2001 second revision. Tokyo 

  4. Jang, B. W. (2008). Policy of longterm care for the aged on Japan: In depth analysis of longterm care. Paju: Yangseowon. 

  5. Jang, H. S. (2007). The role and function of home healthcare based on the public health centers, hospitals and long-term care insurance.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6. Kim, C. J., Kim, Y. S., Kang, H. Y., Park, J. H., Sung, M. S., Woo, Y. J., Oh, H. S., Yoon, Y. O., Cho, H. S., & Ju, Y. H. (2008). Development of home care quality indicators(HCQIs) at demonstration project of elderly care insurance progra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8(2), 377-394. 

  7. Kim, C. H. (2009). A comparative study of long-term car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n German, Japan and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8.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on Japan (2009). An outlook of survey among home health care service centers. Tokyo 

  9.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on Japan (2002). Long term care in Japan. from web site: http://www.mhlw.go.jp/english/topics/elderly/care/index.html 

  10. National association for Home care & Hospice (2004). Basic statistics about home care. from web site: www.nahc.org/04HC_Stats.pdf 

  11. Park, J. H., Yun, S. Y., Kim, M. J., Han, K. J., Hong, K. J., Park, S. A., Whang, N. M., & Heo, J. S. (2002). Discussion on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home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6), 855-866. 

  12. Seo, M. E. (2009).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of major countries-focused on Germany, Japan and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13.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nursing policy (2006).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role of nurses. Report of policy research. Seoul. 

  14.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Notification of longterm care wages: civil service consultation casebook related screening and claim. Seoul. 

  1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7). Medicare & Home Health Care.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