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행동 변화를 위한 보건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 금연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전략의 적용
Development of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Health Behavior Change: Application of Social Ecological Models to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4, 2010년, pp.177 - 188  

김혜경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and to develop multilevel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smoking cessation. Methods: This paper reviewed theories and empirical findings with currents ecological models to develop communication strategies. Theory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흡연의 시작과 유지에 관여하는 다양한 차원의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변화시키는 보건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향 후 다차원적 금연 프로그램 개발의 효율화과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금연 뿐 아니라 다른 건강행동의 영역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므로 건강증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성 향상에도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흡연의 시작과 유지에 관여하는 다양한 차원의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변화시키는 보건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향 후 다차원적 금연 프로그램 개발의 효율화과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금연 뿐 아니라 다른 건강행동의 영역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므로 건강증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성 향상에도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이와 더불어 영향목표 달성을 위한 하위목표는 학습목표로, 영향목표 달성의 결과로 발생되는 건강성과는 프로그램 목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표는 각 차원에서 어떠한 성과가 있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할 뿐 아니라 평가의 대상을 구체화한다. 금연중재 프로그램의 목적과 다차원적, 위계적 목표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그러나 기존의 금연 중재 프로그램은 개인차원의 교육적 접근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어 개인, 가족, 지역사회 등 사회적 차원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이 무시되는 경향이 강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흡연의 시작과 유지에 관여하는 다양한 차원의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변화시키는 보건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전략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개인과 환경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적 요인들이 개인(생리적, 심리적 요인), 개인간 요인(사회적, 문화적), 조직,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과 정책 차원으로 구성됨을 제시한다(Cohen 등, 2000; Glanz 등, 2005; Glass와 McAtee, 2006). 각 차원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이 구체적으로 파악되고 조정되어야 하는데, 행동변화가 달성되기 위한 가장 최상의 조건은 환경과 정책이 건강한 선택을 지원하고, 건강한 선택을 지지하는 사회적 규범과 지지가 강력할 때, 그리고 개인이 이러한 선택을 하도록 동기유발 되고, 교육을 받을 때라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건강증진의 핵심목표는 무엇인가?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건강증진의 핵심목표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습관 등 건강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 유지시키는 것이다. 개인 건강행동의 변화와 유지 현상은 다양한 생물학적, 심리적, 그리고 사회적 결정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개인수준의 흡연 영향요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개인수준의 흡연 영향요인은 지식, 태도, 믿음, 자아개념, 과거경험, 동기유발정도, 기술, 행동의 실천과 같은 개인내적 요인(intrapersonal factors)을 의미한다. 흡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을 활용하여 금연실천을 예측하는 일은 커뮤니케이션 전략개발의 기초가 된다.
청소년의 흡연행동과 관련된 사회화과정에 있어 무엇이 청소년 흡연에 대한 중요한 예측요인인가? 청소년의 흡연행동과 관련된 사회화과정에서 부모와 선생님의 영향은 특히 중요하다. 우선 부모나 선생님과 같은 영향력 있는 어른의 흡연여부가 청소년의 흡연에 대한 중요한 예측요인이 된다. 그러나 사회화 과정은 실제 부모가 흡연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 이상의 차원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흡연이 얼마나 보편적인 행동인지,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행동인지, 그리고 흡연이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명, 김혜경, 김영복 등. 각급학교를 통한 건강증진사업 추진전략과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2005. 

  2. 김영복, 김혜경, 김명. 국민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지역사회 보건교육의 추진방향. 보건과 사회과학. 2003;14:5-28. 

  3. 김혜경. 범이론적모형에 근거한 성인의 건강증진 실천행위에 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4. 김혜경, 권은주, 문순영. 건강검진 고객의 건강상담 요구도 분석. 한국건강관리협회 연구보고서, 2007. 

  5. 김혜경, 조선, 현성민, 권은주, 박지연. 2008년도 성인금연교육사업 평가. 한국건강관리협회 연구보고서, 2009. 

  6. 김혜경, 윤청하, 이은희 등 취약지역 빈곤아동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건강관리협회?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7. 질병관리본부.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 2010. 

  8. Bartholomew LK, Parcel GS, Kok G, Gottlieb NH.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Jossey-Bass, 2006. 

  9. Browning C, Thomas SA, Behavioral Change: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social and public health. Elsevier, 2005. 

  1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obacco use among adults-United States, 2005.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06;55(42):1145-1148. 

  11. Cohen DA, Scribner RA, Farley TA. A structural model of health behavior: A pragmatic approach to explain and influence health behaviors at the population level. Preventive Medicine 2000;30:146-154. 

  12. Fisher EB et al. Cigarette smoking in Health Behavior Handbook.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13. Glass TA, McAtee MJ. Behavioral science at the crossroads in public health: Extending horizons, envisioning the future. Social Science & Medicine 2006;62(7):1650-1671. 

  14.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2008. 

  15. Green J. The role of theory in evidence-based health promotion practice.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0;15:125-129. 

  16. Leatherdale ST et al. A multilevel analysis examining how smoking friends, parents, and older students in the school environment are risk factors for susceptibility to smoking among non smoking elementary school youth. Preventive Science 2006;7:397-402. 

  17. McKenzie JF, Neiger BL. Thackeray S.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 Pearson, 2009. 

  18. Mille WR, Rollnick S. Motivational interviewing: Preparing people to change addictive behavior. New York: Guilford Press, 1991. 

  19. Ory MG, Jordan PJ, Bazzarre T. The Behavior Change Consortium: Setting the stage for a new century of health behavior change research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2;17(5): 500-511. 

  20. Pellmar TC, Brandt EN, Baird MA. Health and Behavior: The Interplay of Biological, Behavioral, and Social Influence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02;16(4);206-219. 

  21. Perry CL. Creating health behavior change: How to develop community-wide programs for youth. SAGE Publication, 1999. 

  22. Prochaska JO, DiClemente CC. Stages and process of self-change in smoking: Towards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3;51: 390-395. 

  23. Shumaker SA, Schron EB, Ockene JK, McBee WL. The Handbook of Health Behavior Chang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8. 

  24. Siegel M. The effectiveness of state-level tobacco control interventions: A review of program implementation and behavioral outcom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002;23:45-71. 

  25. Sorenson JR, Steckler A. Improving the health of the public: a behavioral-change perspective.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2;17(5):493-494. 

  26. Wiium N, Wold B. An ecological system approach to adolescent smoking behavior.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2009;38: 1351-1363. 

  27. Wilcox P. An ec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youth smoking trajectories: Problems and prospects. Addiction 2003;98 (suppl1):57-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