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이한 피음조건에서 자라는 3개 활엽수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Deciduous Hardwood Seed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 Regimes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9 no.1, 2010년, pp.36 - 48  

김길남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 ,  조민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이수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자작나무, 개벚나무, 함박꽃나무를 대상으로 피음수준을 전광 처리구(상대투광율; 100%), 약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64~73%), 보통피음 처리구 (상대투광율; 35~42%), 강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9~16%)로 달리하여 이들의 내음성 및 광 요구도에 관한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형광 반응, 엽록소 함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세 수종의 생육시기별 광합성 능력은 7월과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자작나무와 개벚나무에 비해 함박꽃나무의 광합성 능력이 매우 낮았다. 순양자수율 또한 광합성 능력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목의내음성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광보상점은 함박꽃나무가 자작나무와 개벚나무에 비해 강한 내음성을 나타냈다. 피음 처리별 광합성 능력에서는 자작나무는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개벚나무는 시기별 차이는 있지만 강피음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 처리구에서 비슷한 광합성 능력을 보였다. 함박꽃나무는 보 통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광합성 능력을 나타냈다. 피음 처리별 엽록소 형광 반응 특성에서 광화학 반응에 대한 순양자수율의 최대치인 광화학효율($F_v/F_m$)은 자 작나무의 경우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개벚나무는 약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광화학효율을 보였으며, 함박꽃 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한 광화학효율을 나타냈다. 특히 함박꽃나무는 다른 두 수종과는 달리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세 수종의 피음 수준별 광합성 능력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실험대상 수종들의 총 엽록소 함량은 세 수종 모두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광 처리구에 비해서 강피음 처리구에서 총 엽록소 함량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와 b 각각의 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다. 피음 수준이 높아지면서 엽록소 b의 함량 증가가 엽록소 a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 때문에 피음 강도가 강해지면서 엽록소 a/b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 수종의 적정 생육 광도는 자작나무는 전광 처리구(상대투광율; 100%), 개 벚나무는 약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64~73%), 함박꽃 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35~42%)가 적합 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수목의 생육에 있어서 광도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토양환경, 경쟁식생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환경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광도 변화와 연계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s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Prunus leveilleana, Magnolia sieboldii, growing under four different light intensity regimes (full sun, and 64~73%, 35~42%, 9~16% of f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로 상이한 광도에서 자란 자작나무, 개벚나무, 함박꽃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 특성, 엽록소 형광반응 및 엽록소 함량변화를 조사하여 광도와 관련된 생리·생태학적 특성, 즉 내음성 지표를 조사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의 광 환경에서 내음성이 높은 수종은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가? 임상의 광 환경에서는 내음성 수준이 낮은 수종은 엽록소함량이 감소하고, 빛 흡수율과 광합성의 저하로 생장이 불량하게 된다(Kim 등, 2001; Kim과 Lee, 2001b). 반면 내음성이 높은 수종 또는 중용수는 잎의 두께가 얇아지고, 면적이 넓어지는 형태적 변화가 나타나 수광량이 증대된다(Kwon 등, 1996). 그리고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광합성에서는 암반응을 담당하는 탄소고정계의 효소와 활성이 저하하며, 명반응을 담당하는 광화학계의 색소와 활성이 증가하는 생화학적 변화가 나타나, 광합성에 대한 흡수된 빛의 이용 효율이 증가된다. 이러한 현상은 낮은 광도조건에 적응하여 생존할 수 있는 내음성의 기작이 된다(Terasima와 Hikosaka, 1995).
임상의 광 환경에서 내음성 수준이 낮은 수종은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가? 임상의 광 환경에서는 내음성 수준이 낮은 수종은 엽록소함량이 감소하고, 빛 흡수율과 광합성의 저하로 생장이 불량하게 된다(Kim 등, 2001; Kim과 Lee, 2001b). 반면 내음성이 높은 수종 또는 중용수는 잎의 두께가 얇아지고, 면적이 넓어지는 형태적 변화가 나타나 수광량이 증대된다(Kwon 등, 1996).
빛의 이용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또한 광도변화에 대한 형태적·생화학적 변화는 광합성 특성을 나타내는 광-광합성곡선에 반영되어, 암호흡속도, 광보상점, 광포화점, 최대광합성 속도, 순양자수율(apparent quantum yield)을 변화시킨다(Kim과 Lee, 2001a; Terashima와 Evans, 1988). 그리고 빛의 이용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엽록소 형광반응과 엽록소 a, b의 함량 및 이들의 성분비 변화를 초래한다(Kim과 Lee, 2001b). 따라서 광도저하에 대한 광합성 특성과 광합성색소의 함량변화는 수목의 내 음성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가 된다(Woo 등, 1999; Kimmins,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rnon, D.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a Vulgaris. Plant Physiol. 24(1):1-15. 

  2. Ashton, P.M.S. and G.P. Berlyn. 1992. Leaf adaptations of some Shorea species to sun and shade. New Phytol. 121(4):587-596 (in Korea). 

  3. Barker, M.G., M.C. Press, and N.D. Brown. 1997.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dipterocarp seedlings in three tropical rain forest light environments: a basis for niche partitioning. Oecologia 112:453-463 (in Korea). 

  4. Bose, S., S.K. Hurbert, and D.C. Fork. 1988.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photoinhibition and recovery in a sun and a shade species of the red algal genus Porphyra. Plant Physiol. 86:946-950. 

  5. Cho, M.S. 2008.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s of deciduous hardwood species distributed in the central temperate zone of korean fores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81pp (in Korea). 

  6. Choe, H.S. and H.J. Lee. 1995. Seasonal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and photosynthetic rates in four species of maple tree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8(1):137-146. 

  7. Choi, J.H. 2001. Effects of artificial shade treatment on the growth performances, water relations, and photosynthesis of several tree speci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s dissertation 152pp. 

  8. Choi, J.H., K.W. Kwon, and J.C. Chung. 2006.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s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hardwood species according to artificial shade treatment. J. Korean For. Soc. 95(5):614-620. 

  9. Choi, Y.B. and J.H. Kim. 1995. Change in needl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treated with artificial acid rain. Jour. Korean For. Soc. 84(1):97-102. 

  10. Demarez, V., J.P. Gastellu-etchegorry, E. Mougin, G. Marty, and C. Proisy. 1999. Seasonal variation of leaf chlorophyll content of a temperate forest. Inversion of the PROSPECT model. Int. J. Remote Sensing 20(5):879-894. 

  11. Demmig, B. and O. Bjrkman. 1987. Comparison of the effect of excessive light on chlorophyll fluorescence (77K) and photon yield of $O_2$ evolution in leaves of higher plants. Planta 171:171-184. 

  12. Einhorn, K.S., E. Rosenqvist, and J.W. Leverenz. 2004. Photoingibition in seedlings of Fraxinus and Fagus under natural light conditions: Implications for forest regeneration?. Oecologia 140(2):241-251. 

  13. Han, S.S. and H.S. Kim. 1989. Effects of light, temperature, and water stress on the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rates of leaves in four Oak Species. Jour. Korean For. Soc. 78(2):151-159. 

  14. Hiscox, J.D. and G.F. Israelstam. 1978.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chlorophyll from leaf tissue without maceration. Can. J. Bot. 57:1332-1334. 

  15. Holmes, M.G. and H. Smith. 1975. The function of phytochrome in plants growing in the natural environment. Nature 254:512-514. 

  16. Inada, K. 1980. Spectral absorption property of pigments in living leaves and its contribution to photosynthesis. Jan. J. Crop science 49:286-294. 

  17. Jeong, H.H. and K.S. Kim. 1999.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of Hedera rhombea Bean and Pachysandra terminalis Sieb. et Zucc. Kor. J. Hort. Sci. & Tech. 17(1):29-32. 

  18. Kim, P.G. and E.J. Lee. 2001a.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1: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intercellular $CO_2$ pressure on photosynthesi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2):126-133. 

  19. Kim, P.G. and E.J. Lee. 2001b.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2: Adapt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to chang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3):171-176. 

  20. Kim, P.G., Y.S. Yi, D.J. Chung, S.Y. Woo, J.H. Sung, and E.J. Lee. 2001.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shade tolerant and intolerant tree species. Jour. Korean For. Soc. 90(4):476-487. 

  21. Kim, Y.C. 1986. Effect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1) - The influence of shading in the growth of seedlings grown on the seed bed -. Jour. Korean For. Soc. 73:43-54. 

  22. Kim, Y.H. 1999. Growth characteristics and crown architecture of Pinus densiflora S. et Z. at an early stage of regeneration in canopy gap.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s dissertation 100pp. 

  23. Kimmins, J.P. 1997. Forest ecology (2nd ed.). prentice hall. New Jersey 596pp. 

  24. Kitao, M., H. Utsugi, S. kuramoto, R. Tabuchi, K. Fujimoto, and S. Lihpai. 2003. Light-dependent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indicated by chlorophyll fluorescence in five mangrove species native to Pohnpei Island, Micronesia. Physiol. Plantarum 117:376-382. 

  25. Kitao, M., T.T. Lei, T. Koike, H. Tobita, and Y. Maruyama. 2000. Susceptibility to photoinhibition of three deciduous broadleaf tree species with different successional traits raised under various light regime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3:81-89. 

  26. Kozlowski, T.T., P.J. Kramer, and S.G. Pallardy. 1991. The Physiology of Woody Plants. A.P. New York. pp. 811. 

  27. Kwon, K.W., J.H. Choi, and J.C. Chung. 2000. 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light requirement and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 (2). Jour. Korean For. Soc. 89(2):198-207. 

  28. Kwon, K.W., S.A. Kim, and D.K. Lee. 1996.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chlorophyll contents in the leaves of several species of conifers and hardwoods subjected to artificial shading treatment.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4:42-49. 

  29. Laisk, A., H. Eichelmann, V. Oja, B. Rasulov, E. Padu, L. Bichele, H. Pettai, and O. Kull. 2005. Adjustment of leaf photosynthesis to shade in a natural canopy: rate parameter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8:375-388. 

  30. Lee, C.H., C.H. Shin, K.S. Kim, and M.S. Choi. 2006.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sis and growth in seedling of Kalopanax pictus Nakai. Korean Journal of Madicinal Crop Science 14(4):244-249. 

  31.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and J.H. Shin.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our. Korean For. Soc. 95(6):705-710. 

  32. Lu, Q., X. Wen, C. Lu, Q. Zhang, and T. Kuang. 2003. Photoingibition and photoprotection in senescent leaves of field-grown wheat plants. Plant Physiol. and Biochem. 41:749-754. 

  33. Mackinney, G. 1941. Absorption of light by chlorophyll solution. J. Biol. Chem. 140:315-322. 

  34. Makino A., T. Sato, H. Nakano, and T. Mae. 1997. Leaf photosynthesis, plant growth and nitrogen allocation in rice under different irradiances. Planta 203:390-398. 

  35. Rascher, U., M. Liebig, and U. Lttge. 2000. Evaluation of instant light-response curve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obtained with a portable chlorophyll fluorometer on site in the field. Plant, Cell and Environment. 23:1397-1405. 

  36. SAS institute Inc. 2000. SAS/STAT TM Guide for Personal Computer. Version 8 Edition. SAS Institute Inc., N. C. 1026pp. 

  37. Sigmaplot. 2000. philscience. 136pp. 

  38. Smith, H. 1995. Physiololgical and ecological function within the phytochrome family. Annu. Rev. Plant Physiol. Plnat Mol. Biol. 46:289-315. 

  39. Son, S.G., S.M. Je, S.Y. Woo, K.O. Byun, Y.J. Kang, and B.S. Kwang. 2006. Physiological differences of Ilex rotunda and Illicium anisatum under low light intensiti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2):61-67. 

  40. Terashima, I. and J.R. Evans. 1988. Effects of light and nitrogen nutrition on the organiz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in spinach. Plant and Cell Physiology 29(1):143-155. 

  41. Terashima, I. and K. Hikosaka. 1995. Comparative ecophysiology of leaf and canopy photosynthesis. Plant, Cell and Environment 18(10):1111-1128. 

  42. Woo, S.Y. and D.K. Lee. 1992. Effects of different light intensities and nutrition conditions on photosynthesis and ribulose-Diphosphate carboxylase activity of Quercus acutissima carr. seedlings. Jour. Korean For. Soc. 81(1):11-20. 

  43. Woo, S.Y., D.S. Lee, and O.K. Kwon. 1999. Shading effect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bies holophyll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97-1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