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듀센.베커 근이영양증 아동 부모의 우울과 삶의 질
Depressive Symptoms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Boys with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1 no.2, 2010년, pp.103 - 109  

황준원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구영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subject quality of life in depressed parents of boys with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 (DMB/ BMD). In addition, a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quality of life and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was explored. Methods :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DMD 및 BMD가 있는 아동의 부모에서 삶의 질을 조사하고, 연령, 성벌, 사회적 경제상태가 주는 영향을 보정한 상태에서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인구학적, 임상적 변인을 비교하여 우울한 부모가 갖는 특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DMD 및 BMD 아동의 부모에게는 주관적 삶의 질 전체 영역이 우울증의 심각도에 의해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음이 시사되며, 추후 대규모, 장기 조사를 통해 이 대상군에서 임상적인 우울증의 유병율과 더불어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주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의 대상에 적용시키는 조사사업 및 개입전략이 요망된다.
  • 본 연구에서는 DMD 및 BMD가 있는 아동의 부모에서 삶의 질을 조사하고, 연령, 성벌, 사회적 경제상태가 주는 영향을 보정한 상태에서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인구학적, 임상적 변인을 비교하여 우울한 부모가 갖는 특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MD와 BMD 아동 부모에서 최초로 주관적 삶의 질을 측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우울군에 비해 우울한 부모군에서 WHOQOL-BREF로 측정된 삶의 질이 전체 영역 상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임상 현장에서 주요 우울증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우울 증상을 갖는 만성 신체질환자 에서 나타난 낮은 삶의 질 소견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 치료법이 없고, 점진적인 악화로 부모의 전적인 도움이 요구되며, 부모의 정신사회적 스트레스가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높아 삶의 질의 저하가 예상되는 DMD와 BMD 부모에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삶의 질 전반을 다축으로 측정하고, 어떠한 요인이 삶의 질 저하를 매개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아울러, 삶의 질에 영향을 주로 미치는 요인으로 구분되는 아군을 구분하고 이들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과거 DMD 아동 부모에서의 연구 결과 및 삶의 질 관련 문헌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 치료법이 없고, 점진적인 악화로 부모의 전적인 도움이 요구되며, 부모의 정신사회적 스트레스가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높아 삶의 질의 저하가 예상되는 DMD와 BMD 부모에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삶의 질 전반을 다축으로 측정하고, 어떠한 요인이 삶의 질 저하를 매개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아울러, 삶의 질에 영향을 주로 미치는 요인으로 구분되는 아군을 구분하고 이들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우선, DMD와 BMD 아동 부모에게서 삶의 질은 그들의 우울 증상 수준과 연관될 것이다(가설 1). 또한, 우울한 DMD와 BMD 아동 부모에서 삶의 질은 전 영역에 걸쳐 저하되고(가설 2), 가족 관계와 상호작용은 저하되며(가설 3), 아동의 정신병리가 높을 것이다(가설 4).
  • 과거 DMD 아동 부모에서의 연구 결과 및 삶의 질 관련 문헌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다. 우선, DMD와 BMD 아동 부모에게서 삶의 질은 그들의 우울 증상 수준과 연관될 것이다(가설 1). 또한, 우울한 DMD와 BMD 아동 부모에서 삶의 질은 전 영역에 걸쳐 저하되고(가설 2), 가족 관계와 상호작용은 저하되며(가설 3), 아동의 정신병리가 높을 것이다(가설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MD 남아의 부모는 어떤 스트레스와 질병을 갖게 될 수 있는가? 과거 연구에서 DMD가 있는 아동 부모에서 정신사회적 곤란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DMD 남아의 부모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보고한 바 있는데, 이는 정상대조군뿐만 아니라 만성 신질환 또는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와는 정량적, 정성적으로 상이한 수준이었다.9) 또한, 부모에게서 분노, 죄책감, 공포, 슬픔, 낮은 자존감, 적응 부진, 사회적 고립, 특히 우울증 등의 정신사회적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0-13) 또, 이러한 부모의 주관적 곤란에는 아동의 행동 문제와 가족 내 의사소통 부족 등의 요인이 관여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DMD의 경우 어느 시기에 시작되는가? 아동과 가족의 삶에서 단절은 근위부 근육약화가 일상생활을 저해하기 시작하는 시기, 즉, DMD의 경우 만 3세, BMD의 경우 만 12세 무렵부터 이미 시작되며,5,6) 임종기가 가까워질수록 보다 특수화되고 시간 소모가 많은 간병을 필요로 하는 복합적 만성 질환으로 분류된다.7) 성인기 초반에 사망하는 사례가 많지만 최근 다양한 형태의 호흡기 관리 및 간이형 인공호흡기기가 보편화되면서 여명이 DMD의 경우 20대 후반, BMD의 경우 3~40대 이상으로 연장된 결과,5,8) 환아와 가족은 치유에 대한 희망없이 다양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원에 노출되는 기간이 오히려 늘게 되었다.
DMD와 BMD 아동 부모에서 최초로 주관적 삶의 질을 측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DMD와 BMD 아동 부모에서 최초로 주관적 삶의 질을 측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우울군에 비해 우울한 부모군에서 WHOQOL-BREF로 측정된 삶의 질이 전체 영역 상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임상 현장에서 주요 우울증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우울 증상을 갖는 만성 신체질환자 에서 나타난 낮은 삶의 질 소견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겠다.25-28) 우울증은 부모의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대처능력을 저해하므로, 우울한 부모군에서 신체적, 정서적 부담은 동일한 상태의 우울하지 않은 부모에 비해 현저하게 가중될 수 있다.10) 그러나, 과거 연구에서는 DMD 및 BMD 아동 부모에게 미치는 우울증의 실질적 영향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조사된 바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Emery AEH. Duchenne Muscular Dystroph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93. 

  2. Panigrahi I, Mittal B. Carrier detection and prenatal diagnosis in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 Indian Pediatr 2001;38: 631-639. 

  3. Norwood FLM, Sutherland-Smith AJ, Keep NH, Kendrick- Jones J. The structure of the N-terminal actin-binding domain of human dystrophin and how mutations in this domain may cause Duchenne or Becker muscular dystrophy. Structure 2000;8:481-491. 

  4. Cotton S, Crowe SF, Voudouris N. Neuropsychological profile of Duchenne muscular dystorphy. Child Neuropsychol 1998; 4:110-117. 

  5. Emery AE. The muscular dystrophies. Lancet 2002;359:687-695. 

  6. Bothwell JE, Dooley JM, Gordon KE, MacAuley A, Camfield PR, MacSween J. Duchenne muscular dystrophy-parental perceptions. Clin Pediatr (Phila) 2002;41:105-109. 

  7. Gravelle AM. Caring for a child with a progressive illness during the complex chronic phase: Parents' experience of facing adversity. J Adv Nurs 1997;25:738-745. 

  8. Simonds AK, Muntoni F, Heather S, Fielding S. Impact of nasal ventilation on survival in hypercapnic Duchenne muscular dystrophy. Thorax 1998;53:949-952. 

  9. Holroyd J, Guthrie D. Family stress with chronic childhood illness: Cystic fibrosis, neuromuscular disease, and renal disease. J Clin Psychol 1986;42:552-561. 

  10. Abi Daoud MS, Dooley JM, Gordon KE. Depressi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 Pediatr Neurol 2004;31:16-19. 

  11. Thompson RJ Jr, Zeman JL, Fanurik D, Sirotkin-Roses M. The role of parent stress and coping and family functioning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to Duchenne muscular dystrophy. J Clin Psychol 1992;48:11-19. 

  12. Reid DT, Renwick RM. Relating familial stress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 Int J Rehabil Res 2001;24:83-93. 

  13. Witte RA. The psychosocial impact of a progressive physical handicap and terminal illness (Duchenne muscular dystrophy) on adolescents and their families. Br J Med Psychol 1985;58:179-187. 

  14. Nereo NE, Fee RJ, Hinton VJ. Parental stress in mothers of boys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 J Pediatr Psychol 2003;28: 473-484. 

  15. The WHOQOL Group.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 Sci Med 1995;41:1403-1409. 

  16.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 Med 1998;28:551-558. 

  17. Min SK, Kim KI, Lee CI, Jung YC,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s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nd WHOQOL-BREF. Qual Life Res 2002;11:593-600. 

  18.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 4:561-567. 

  19.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 98-113. 

  20. Shaw BF, Vallis TM, McCabe SB. The assessment of the severity and symptom patterns in depression. In Beckham EE, Leber WR, editors. Handbook of depression: Treatment, assessment, and research. Homewood: Dorsey Press;1985. p.372-407. 

  21. Yang OK. Study on development of the Family Relationship Scale. Korean J Soc Welfare 2001;8:117-145. 

  22. Achenbach T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4- 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Vermont;1991. 

  23. Oh KJ, Lee HR, Hong KE, Ha EH. Manual for K-CBCL: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Choong-Ang Publisher;2001. 

  24. Kuehner C. Subjective quality of life: validity issues with depressed patients. Acta Psychiatr Scand 2002;106:62-70. 

  25. Eryilmaz MM, Ozdemir C, Yurtman F, Cilli A, Karaman T.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renal transplantation patients. Transplant Proc 2005;37:2072-2076. 

  26. Sim K, Mahendran R, Siris SG, Heckers S, Chong SA.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first episode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with comorbid depression. Psychiatry Res 2004;129:141-147. 

  27. Naumann VJ, Byrne GJ. WHOQOL-BREF as a measure of quality of life in older patients with depression. Int Psychogeriatr 2004;16:159-173. 

  28. Yen CF, Tsai JJ, Lu PL, Chen YH, Chen TC, Chen PP, et al. Quality of life and its correlates in HIV/AIDS male outpatients receiving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in Taiwan. Psychiatry Clin Neurosci 2004;58:501-506. 

  29. Hinton VJ, De Vivo DC, Nereo NE, Goldstein E, Stern Y. Poor verbal working memory across intellectual level in boys with Duchenne dystrophy. Neurology 2000;54:2127-2132. 

  30. Roccella M, Pace R, De Gregorio MT. Psychopathological assessment in children affected by Duchenne de Boulogne muscular dystrophy. Minerva Pediatr 2003;55:267-273. 

  31. Halterman JS, Yoos HL, Conn KM, Callahan PM, Montes G, Neely TL, et al. The impact of childhood asthma on parental quality of life. J Asthma 2004;41:645-653. 

  32. Greenley RN, Cunningham C. Parent quality of life in the context of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Pediatr Psychol 2009;34:129-136. 

  33. Mah JK, Thannhauser JE, Kolski H, Dewey D. Parental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neuromuscular disease. Pediatr Neurol 2008;39:102-107. 

  34. Skevington SM, Wright A.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receiving antidepressant medication in primary care: validation of the WHOQOL-100. Br J Psychiatry 2001;178:261-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