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 마늘 첨가에 따른 마늘 젖산 발효물의 물성 및 기능성평가
Effects of Black Garlic on the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864 - 871  

손세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전통 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전통 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흰 마늘/흑 마늘 첨가에 따른 김치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물을 제조하여 품질 및 기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17% 흰 마늘 습식분쇄물과 22.63% 흑 마늘 습식분쇄물이다. 마늘 혼합물에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젖산 발효시킨 발효물의 생균수와 점도는 흑 마늘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흑 마늘을 10% 수준으로 첨가한 경우에 생균수는 $1.6\times10^{11}$ cfu/mL, 점도는 9.31 $Pa{\cdot}s^n$를 나타내었다. 마늘 발효물의 물과 70% EtOH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은 각각 6.29 mg/mL, 5.99 mg/mL이며, DPPH 소거 활성은 $IC_{50}$ 값이 1.03 mg/mL, 1.07 mg/mL, ACE 저해 활성의 $IC_{50}$값은 68.54 mg/mL과 72.78 mg/mL이다. ACE 저해활성은 흑 마늘이 많이 첨가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70% EtOH 추출보다 물 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 발효물의 sucrose 전환율은 흑 마늘 첨가 농도가 낮을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흑 마늘 20%, 10%, 0% 첨가에서 각각 20%, 65%, 85%를 보였다. 흑 마늘 10% 함유 발효물의 저장 중 점도는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생균수는 냉장저장 1주 후 $1.6\times10^{11}$ cfu/mL에서 $6.5\times10^{10}$ cfu/mL로 감소하였으며, 냉동저장이 냉장저장보다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te and black garlic pastes wer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evaluated for its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consistency,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The pH, acidity and solid content of black garlic paste were 4.60, 1.23%, 22.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된 냄새 없는 흰 마늘과 마늘을 숙성시켜 제조한 흑 마늘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이를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로 젖산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물의 품질, 물성 및 기능성을 평가하며, 냉장 및 냉동 저장 중에 마늘 발효물의 생균수 및 점도를 평가함으로써 가공식품 원료뿐 아니라 다양한 식품 소스로 활용이 가능한 기초 베이스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유용성분은 무엇인가? )은 전통적으로 동양 요리를 비롯한 그 밖의 여러 가지 요리에서 양념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향신료로서 다양한 생리활성 및 약리적인 기능이 잘 알려지고 있다(1). 마늘의 유용성분으로 다양한 유황화합물이 존재하며, 특히 마늘에는 alliin이 있어서 이것이 마늘 조직의 손상에 따른 allinase라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allicin으로 변하여 마늘의 독특한 풍미와 맛, 유익한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2).
마늘 가공품에서의 갈변은 무엇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가? 마늘 가공품에서의 갈변은 캬라멜 반응, 마이얄 반응 등의 비효소적 갈변과 polyphenoloxidase(PPO)에 의한 효소적 갈변 등으로 분류되는데, 마늘 가공 시 높은 온도에서는 아미노산의 peptide, 단백질의 α-amino group과 당과의 반응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 반응이 주로 일어난다(5). 이러한 마늘의 갈변은 온도, 수분함량 및 환원당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6) 마늘 가공 중 갈변 억제를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7,8).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마늘이란? 마늘(Allium sativum L.)은 전통적으로 동양 요리를 비롯한 그 밖의 여러 가지 요리에서 양념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향신료로서 다양한 생리활성 및 약리적인 기능이 잘 알려지고 있다(1). 마늘의 유용성분으로 다양한 유황화합물이 존재하며, 특히 마늘에는 alliin이 있어서 이것이 마늘 조직의 손상에 따른 allinase라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allicin으로 변하여 마늘의 독특한 풍미와 맛, 유익한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YD, Seo JS, Kim KJ, Kim KM, Hur CK, Cho IK. 2005.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Korean J Food Preserv 12: 161-165. 

  2. Kim KJ, Do JR, Kim HK. 2005.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Korean J Food Sci Tehnol 37: 228-232. 

  3. Hwang IG, Woo KS, Kim DJ, Hong JT, Hwang BY, LeeYR.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ance from heated garlic. Food Sci Biotechnol 16: 963-966. 

  4. Cho JR, Kim JH, In MJ. 2007. Effect of garlic powder on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J KoreanSoc Appl Biol Chem 50: 48-52. 

  5. Bas SK, Kim MR. 2002. Effects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browning of garlic juice concentrate during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73-80. 

  6. Kim HK, Jo KS, Shin DB, Kim IH. 1987. Effects of phosphate complex treatment on the quality of dried garlicflak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75-80. 

  7. Kim YA. 1998.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the browning reaction of enzymatic garlic hydrolyzate. J KoreanSoc Food Sci Nutr 27: 201-206. 

  8. Bae RN, Lee SK. 1990. Factors affecting browning and its control methods in chopped garlic. J Kor Soc Hort Sci 31:213-218. 

  9. Yamaguchi N, Tokoo Y, Koyama Y. 1964. Studies on the browning reaction product yielded by reducing sugar and amino acid. Part 1. Effect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on the stability of fats contained in biscuits and cookies.J Food Sci Technol Japan 11: 184-189. 

  10. Wattenberg LW. 1980. Inhibitors of chemical carcinogenesis.J Environ Pathol Toxicol 3: 35-52. 

  11. Lee JW, Do JH. 2006. Current studies on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acidic polysaccharide in Korean red ginseng.J Ginseng Res 30: 41-48. 

  12.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Kim JG, Sung NJ. 2008.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ournal of LifeScience 18: 1123-1131. 

  13. Lee EH, Nam ES, Park SI. 2002.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from milk added with maesil (Prunus mume).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19-424. 

  14. Lee IS, Park KY. 2003.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Korean JFood Sci Technol 35: 235-241. 

  15. Yoon MH, Koo YM. 1994. Mechanism of dextran synthesisby dextransucrase. Korean J Biotechnol Bioeng 9: 1-7. 

  16. Santos M, Teixeira J, Rodrigues A. 2000. Production of dextransucrase, dextran and fructose from sucrose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NRRL B412(f). Biochem Eng4: 177-188. 

  17. Kim D, Thomas S, Fogler H. 2000. Effects of pH and trace minerals on long-term starv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ppl Environ Microbiol 66: 976-981. 

  18. Son MJ, Jang EK, Kwon OS, Seo JH, Kim IJ, Lee IS, ParkSC, Lee SP. 2008. Characterization of dextran produced from Leuconostoc citreum S5 strain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vegetable. Eur Food Res Technol 226: 697-706. 

  19. Jo SJ, Oh SM, Jang EK, Hwang K,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10-216. 

  20. Oh SM. 2006. Optimization of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of the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Bacillus sp.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1. AOAC. 200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7.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3. Kwon GS, Joo HK, Oh TK. 1992. Isol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illus polymyxa KS-1 and some properties of exopolysaccharide. Korean J Appl MicrobiolBiotechnol 20: 34-39. 

  24.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25. Kim BS, Yang SB. 1998. Heat effects for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garlic and kimchee. J Korean Env Sci Soc 7: 615-622. 

  26. Jeong CH, Bae YI, Lee JH, Shim JH, Roh JG, Shin CS, CholJS. 2009.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of garlics from different cultivated area. J Agric Life Sci43: 51-59. 

  27. Shon MY, Seo JK, Kim HJ, Sung NJ. 2001.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17-720. 

  28.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29. Lee JW, Do JH, Shim KH.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1. DPPH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scavenging. J Ginseng Res 23: 176-181. 

  30. Ma SJ.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95-400. 

  31. Vermeirssena V, Campb JV, Verstraetea W. 2002. Optimization and validation of 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ssay for the screening of bioactive peptides. J Biochem Bioph Meth 51: 75-87. 

  32. Erdos EG, Skidgel RA. 1987.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Lab Inverst 56: 345-348. 

  33. Kunio S. 199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dipeptides derived from Allium sativum L. (garlic). J Nutr Biochem 9: 415-419. 

  34. Jang EK, Seo JH, Lee SP. 2008.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35. Kwon HS, Koo SJ. 1988. Comparative studies o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gellan gum and agar. Korean J Soc Food Sci 4: 17-26. 

  36. Bae RN, Choi SY, Hong YP. 2008. The qualities of northern and southern ecotype garlic bulbs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Korean J Food Preserv 15: 635-6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