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hlorella vulgaris의 지질 추출 후 부산물의 영양학적 및 관능적 평가
Nutritional and Organoleptic Evaluations of the By-products from Chlorella vulgaris after Lipid Extra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920 - 926  

오성호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최운용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서용창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김가빈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  이신영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  정경환 (충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강도형 (한국해양연구원) ,  이현용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단한 세포벽을 이루고 있어 지질 추출 및 유용 물질의 용출이 어려운 C. vulgaris를 이용하여, 1200 psi의 압력으로 1회 및 2회의 homogenization 전 처리가 이루어 졌으며, chloroform-methanol 혼합 용액으로 기존 $65^{\circ}C$ 온도에서 짧은 시간(1 hr) 동안 비등이 이루어지던 것과는 달리, $35^{\circ}C$ 온도조건에서 적정시간(5 hr) 동안 교반하는 최적용매추출법으로 얻어낸 지질 추출 부산물에 대한 식품영양학적 가치 평가와 세포독성, 면역 활성 탐색을 통하여 식품첨가물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일반성분 및 무기질, 아미노산 함량 분석결과 대부분의 유용 물질의 용출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HCM-35는 총 열량의 감소와 함께 carbohydrate와 crude protein이 각각 30.8%, 56.8%로 높았으며, 그 외 필수 mineral 및 아미노산 함량의 증가를 통하여 다이어트 및 건강식품 첨가물로서 높은 가치를 확인했다. 또한, 정상세포(HEK293, HEL299)에 대한 세포독성은 16% 이하로 낮으며, 면역증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면역 B세포와 T세포에서 각각 $12.8\times10^4$ cells/mL, $11.9\times10^4$ cells/mL로 6일째 가장 높은 생육도를 보였으며, 추출 전 C. vulgaris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C. vulgaris의 부산물은 높은 식품학적 및 생리활성 가치가 있다고 사료되며, 부산물의 소재화 가치가 높고, 특히 식품첨가물 이용 시, 다이어트 및 면역 기능을 통한 건강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색깔, 매끈한 정도, 향기에 관한 관능 성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다이어트 및 건강보조식품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부산물 이용은 환경 친화적 자원 내 에너지 절약형 산업으로 환경오염문제 해결 및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lga, Chlorella vulgaris, was extracted by chloroform-methanol (2:1, v/v) solvents for lipid extraction at $35^{\circ}C$ for five hours (HCM-35) and its process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lipid extraction condition such as chloroform-methanol (2:1, v/v) at $65^{\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로서 경쟁력을 가지며, 균체의 생육이 빠른 것으로 알려진 Chlorella종을 이용하여 지질 추출 부산물의 식품 영양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지질 추출 방법인 용매추출법은 클로로포름, 핵산, BF3, 메탄올 등의 다양한 유기용매가 사용되어 지질 추출 부산물의 독성을 증가시키며, 고온 추출에 의한 식품영양학적 조성의 파괴를 가져와 부산물의 식품첨가물로서 활용 가치가 매우 낮으며, 두꺼운 세포벽을 이루고 있어 지질 추출 수율이 매우 낮았다(7).
  • 기존의 지질 추출 방법인 용매추출법은 클로로포름, 핵산, BF3, 메탄올 등의 다양한 유기용매가 사용되어 지질 추출 부산물의 독성을 증가시키며, 고온 추출에 의한 식품영양학적 조성의 파괴를 가져와 부산물의 식품첨가물로서 활용 가치가 매우 낮으며, 두꺼운 세포벽을 이루고 있어 지질 추출 수율이 매우 낮았다(7).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용매추출법과는 달리 homogenization 전처리 과정과 최적화된 추출 용매로 얻어진 부산물의 식품영양학적 가치 평가를 통하여 앞으로 식품첨가물 및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 등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양미세조류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환경 친화적 자원, 에너지절약형 산업으로 환경오염문제 해결 및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lorella종을 이용하여 지질 추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로서 경쟁력을 가지며, 균체의 생육이 빠른 것으로 알려진 Chlorella종을 이용하여 지질 추출 부산물의 식품 영양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지질 추출 방법인 용매추출법은 클로로포름, 핵산, BF3, 메탄올 등의 다양한 유기용매가 사용되어 지질 추출 부산물의 독성을 증가시키며, 고온 추출에 의한 식품영양학적 조성의 파괴를 가져와 부산물의 식품첨가물로서 활용 가치가 매우 낮으며, 두꺼운 세포벽을 이루고 있어 지질 추출 수율이 매우 낮았다(7).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용매추출법과는 달리 homogenization 전처리 과정과 최적화된 추출 용매로 얻어진 부산물의 식품영양학적 가치 평가를 통하여 앞으로 식품첨가물 및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 등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양미세조류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환경 친화적 자원, 에너지절약형 산업으로 환경오염문제 해결 및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광합성 미세조류란? 광합성 미세조류는 식품 및 동물사료, 고도불포화지방산, 화학 및 제약 산업에 필요한 유용물질들을 생산할 수 있는 중요한 생물자원이다(1). 다양한 지질 조성을 갖고 있는 미세조류 중에서 Chlorella는 녹조류의 단세포 식물로 분류학상 Chlorolhycea강, Chlorococcm목, Chlorella속으로, 종(species)으로는 vulgaris, pyrenoidosa와 ellipsoidea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2~10 μm의 구형 단세포 조류로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을 정도이다(2).
Chlorella의 특징은? 광합성 미세조류는 식품 및 동물사료, 고도불포화지방산, 화학 및 제약 산업에 필요한 유용물질들을 생산할 수 있는 중요한 생물자원이다(1). 다양한 지질 조성을 갖고 있는 미세조류 중에서 Chlorella는 녹조류의 단세포 식물로 분류학상 Chlorolhycea강, Chlorococcm목, Chlorella속으로, 종(species)으로는 vulgaris, pyrenoidosa와 ellipsoidea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2~10 μm의 구형 단세포 조류로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을 정도이다(2). 이러한 Chlorella는 초기 일본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건강관련 식품 중 하나로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이 대량 함유된 영양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다른 식품원료와는 달리 증식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미래 식품으로 기대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ung WJ, Wang MS, Choi SI, Kim JK, Jeong BC. 1999.High cell density cultures of micro-algal Dunaliella bardawil.Korean J Biotechnol Bioeng 14: 160-166. 

  2. Lee MC. 2007. The effects of chlorella supplements for human. International Journal of Coaching Science 9: 31-40. 

  3. Kim JS. 2004. Preparation of chlorella drink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 Nutr 17: 382-387. 

  4. Justo GZ, Silva MR, Queiroz ML. 2001. Effects of the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on the response of the host hematopoietic system to intraperitoneal ehrlich ascites tumor transplantation in mice.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23: 119-132. 

  5. Hasegawa T, Okuda M, Nomoto K. 1994. Augmentation of the resistanc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by oral administration of a hot water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in mice.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16: 191-202. 

  6. Kim HJ, Kim IH, Lee JH.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the seawater algae, Chlorella elliposidea C020.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125-130. 

  7. Sialve B, Bernet N, Bernard O. 2009. Anaerobic digestion of microalgae as a necessary step to make microalgal biodiesel sustainable. Biotechnol Adv 27: 409-416. 

  8. Juan RR, Belarbi EH, Sanchez JLG, Alonso DL. 1998. Rapid simultaneous lipid extraction and transesterification for fatty acid analyses. Biotechnol Tech 12: 689-691. 

  9. Yi YJ, Yin H, Luo K. 2005. Culture conditions effect on the mycelium dry weight activating proteins produce. Journal of Hunan Agricultural University 31: 76-78. 

  10. Tan W, Hogan GD. 1998. Dry weight and N partitioning in relation to substrate N supply, internal N status and developmental stage in jack pine (Pinus banksiana Lamb.) seedlings: implications for modelling. Ann Bot 81: 195-201. 

  11. Iverson SJ, Lang SLC, Cooper MH. 2001. Comparison of the bligh and dyer and folch methods for total lipid determination in a broad range of marine tissue. Lipids 36: 1283-1287. 

  12. Cohen Z, Vonahak A, Richmond A. 1988.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red alga Porphyridium cruentum correlation to growth rate. J Phycol 24: 328-332. 

  13. Thompson RH, Merola GV. 1993. A simplified alternative to the AOAC official method for cholesterol in multicomponent foods. AOAC Int 76: 1057-1068. 

  14. Park SJ,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 Ahn JH, Yoon WB, Lee HY. 2009. 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6-400. 

  15. Prosky L, Asp NG, Schweizer TF, DeVries JW, Furda I. 1998.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interlaboratory study. J Assoc Off Anal Chem 71: 1017-1023. 

  16.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Lee HY. 2004.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6-42. 

  17. Han BH, Park MH, Cho JY, Park JS, Yoo ES, Baiik KU.1988. Effect of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on TNF- ${\alpha}$ production and T cell proliferation. Yakhak Hoeji 42: 296-301. 

  18. Kwon SY, Lee HS, Lee SH, Im GI, Kim SN, Kim HS, HwangSW, Hwang SY. 2006. Analgesic effect and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2 activity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by ethyl alcohol extract from new herbal formula.Kor J Pharmacogn 37: 136-142. 

  19. Park SO, Kim KO. 1988. Effects of added corn starches onsensory characteristics of acorn mooks. Korean J Food SciTechnol 20: 613-617. 

  20. Lee JS, Kim DK, Lee JP, Park SC, Koh JH, Ohh SJ. 2001. $Co_{2}$ fixation by Chlorella KR-1 using flue gas and itsutilization as a feedstuff for chicks. J Microbiol Biotechnol 11: 772-775. 

  21. Atsushi M. 1999. What is chlorella. Food Ind 9: 122-138. 

  22. Han JG, Kang GG, Kim JK, Kim SH. 2002.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of chlorella. Food Sci Ind 6: 64-69. 

  23. Kim HS, Kim CH, Kim JH, Kwon MC, Cho JH, Gwak HG,Hwang BY, Kim JC, Lee HY. 2006. Comparison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the culture and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Spirulina platensi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143-149. 

  24. Jamroz D, Wiliczkiewicz A, Wertelecki T, Orda J, SkorupinskaJ. 2005. Use of active substance of plant origin in chicken diets based on maize and locally grown cereals. Br Poult Sci 46: 485-493. 

  25. Guo FC, Kwakkel RP, Williams BA, Li WK, Li HS, LuoJY, Li XP, Wei YX, Yan ZT, Verstegen MW. 2004. Effects of mushroom and herb polysaccharides, as alternatives for an antibiotic,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Br Poult Sci 45: 684-694. 

  26. Rhodes MJC. 1996. Physiologically-active compounds in plant foods: an overview. Proc Nutr Soc 55: 371-384. 

  27. Best P. 2000. Health boosters from botany. Feed Int June:15-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